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절
절멸
몰살
박멸
제거
절제
말살
뉴스
"
멸종
"(으)로 총 86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
2018.01.09
DNA 분석 결과는 오늘날 늑대와 개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기 때문에(따라서 이 계열은
멸종
했을 가능성이 크다) 잠정적으로 늑대개라고 부른 것이다. 개와의 협력이 현생인류의 성공에 중요했다는 가설을 담고 있는 ‘침입종 인간’이 최근 번역출간됐다. 2015년 출간된 원서의 표지로 개가 늑대처럼 ... ...
[그것을 알려줄개 ③] 본능과 이성 사이, 개는 억울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5
개’였습니다. 개의 조상이 처음 사람과 함께하게 된 계기는 아직 아무도 모릅니다.
멸종
위기에 놓였던 고대 늑대 중 한 종이 생존 수단으로 인간에게 길들여지기로 결정했을지, 아니면 야생 늑대를 인간이 데려다 키웠을지 알 수 없습니다. 개와 늑대가 공통 조상에서 갈라져 나왔다지만 두 ... ...
2018년 황금 개의 해 아닌 황금 늑대의 해일 수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5
부를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 개의 기원을 쫓고 있는 애덤 보이코 미국 코넬대 교수는 “
멸종
위기에 처한 과거 개의 조상(늑대)이 생존을 위해 인간에게 길들여져 오늘날 개가 됐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드레이크 연구원도 “7000~9000년 전 개부터 진짜 ‘개’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그것을 알려 줄개②] 늑대개는 개일까, 늑대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1.03
늑대개라는 개가 있습니다. 늑대와 개를 교잡해 만든 종입니다. 개 유전자에 늑대 유전자가 섞이면 늑대개라고 하는데, 만드는 방법(?)은 아주 ... 견과 비슷하지요. 북아메리카와 유럽과 아시아 북부 전역에 서식하며, 우리나라에서는
멸종
위기 1급 종으로 지정돼 있습니다. Peter Trimming(W) ... ...
크리스마스 트리의 고향은 제주?!
동아사이언스
l
2017.12.21
여기에 어린 나무도 거의 없는 상황이다. 2011년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는 구상나무를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하기도 했다. 제주도 한라산에 자생하는 구상나무 숲. 많은 수가 말라 죽은 모습이다. - 국립산립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제공 한라산 구상나무가 말라 죽어가는 이유는 명확히 ... ...
[짬짜면 과학 교실] 인어 공주와 펭귄 신사 이야기
2017.12.16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다양한 전설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종류가 18종이나 되는 펭귄은
멸종
되지 않는 한 남극 지역을 비롯해 지구 남반부의 바닷가에서 계속 살아갈 겁니다. 펭귄은 원래는 바닷가에 사는 큰 새였습니다. 그런데 물수리처럼 수면의 물고기 사냥 능력이 탁월하지 못했는지 아예 ... ...
[카드뉴스] 노래 가사 태반이 사랑 타령인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12.08
구르는 타이밍이 완벽하게 맞아야, 즉 리듬감이 있어야 하지요. 미슨 교수는 약 3만 년 전
멸종
한 네안데르탈인이 현대인류보다 음악능력이 탁월했다고 추정합니다. 해부학적으로는 현생인류와 가깝지만 언어가 없기 때문인데요. 이들은 리듬과 운율이 실린 발성이나 제스처로 의사소통을 했으며 ... ...
바이오인공장기ㅣ“의사선생님, 제 장기는 새 것으로 교체해 주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7.12.06
않았다. 그렇다면 인간과 가장 닮은 영장류가 가장 적절하지 않을까? 영장류는
멸종
위기에 처했을 정도로 수가 적을 뿐 아니라 감염 위험이 커 제외됐다. 에이즈를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영장류인 원숭이에서 문제가 없다가 사람으로 이동해 병원성을 갖게된 사례 등이 있기 때문이다. 영장류를 ... ...
애써 보호한 수마트라 호랑이 또 사라지나
동아사이언스
l
2017.12.06
자바호랑이와 발리호랑이는 약 100년 전, 중동에 살았던 카스피호랑이는 1970년대에
멸종
한 것으로 확인됐다. 루스킨 박사는 “동남아 최남단 지역에서 유일하게 남았던 수마트라 호랑이에 대한 보호 노력 덕분에 호랑이 개체수는 지난 24년간 증가했다”며 “100년 전에 비해 두 배가까이 개체수가 ... ...
“역사상 가장 큰 곰” 깜짝
팝뉴스
l
2017.12.03
제공 ‘지구 역사상 가장 큰 곰’이라고 불리는 악토테리움의 모형이다.
멸종
된 이 거대 곰은 남아메리카가 주요 서식지였는데 11,000년 전까지 북아메리카를 어슬렁거리며 사냥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두 발로 서면 4.2미터 높이가 되었을 것이라는 과학자들의 추정. 최대 2톤까지 무게가 나갔을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