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에너지
에네르기
뉴스
"
내부에너지
"(으)로 총 1,070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연구팀, 17분만에 코로나19 감염 판별하는 진단기술 확보
동아사이언스
l
2020.12.03
환자 1명 검체 17분 안에 진단, 정확도 기존 RT-PCR 기기만큼 정확 국제학술지 네이처바이오메디컬엔지니어링 게재 천진우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의학 연구단 단장 합동 연구팀이 코로나19를 17분 만에 진단할 수 있는 '나노 PCR 기기'를 개발했다. 왼쪽부터 이재현 나노의학 연구단 연구위원, 정지 ...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안정성·효율 향상 첨가제 개발
연합뉴스
l
2020.12.03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안정성·효율 향상 첨가제 개발 UNIST, 첨가제로 페로브스카이트 '경계면 결함' 현상 줄여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울산=연합뉴스) 김용태 기자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받는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태 ... ...
피부에 붙여 전기 만드는 열전소자 유연성·효율성·대량생산 세 마리 토끼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1
연구진이 개발한 유연한 열전소자. K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소재의 온도 차이로 생성되는 전압으로 전력을 생산하는 열전소자의 유연성을 극대화해 대량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피부에 붙이면 체온으로도 전기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정승준 ... ...
[소재의 미래]⑵친환경 냉방 소재 혁명 이끄는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11.25
흡착식 냉난방기에 필요한 흡착제인 금속 유기 골격체(MOF)를 개발한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기반 미래소재연구단 소속 한국화학연구원 올레핀분리팀. 남윤중 제공 기상이변과 지구온난화로 여름철 에어컨 사용량이 급격히 늘고 있다. 2018년 국제에너지기구(IEA)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기 ... ...
한국형 인공태양 1억도서 20초간 플라스마 발생…세계 최초 세계 최장 기록
동아사이언스
l
2020.11.24
한국형초전도핵융합장치(KSTAR)로 1억 도의 초고온 플라스마를 발생시키는 실험을 진행 중인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연구원들. 올해 10월 세계 최초로 20초간 플라스마 연속 발생에 성공했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제공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이 한국형초전도핵융합장치(KSTAR)를 이용해 1억 ... ...
페로브스카이트 성능과 안정성 모두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6
조길원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와 송성원 박사과정생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결정에 ‘유기스페이서’라는 유기물을 첨가해 수분 저항성을 늘리면서도 결정 결함은 낮춰 성능도 높고 안정성도 커진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구현했다. 포스텍 제공 태양전지에 활용되는 페로브스카이트에 유 ... ...
[한 토막 과학상식]열을 전기로 바꾸는 '하프호이즐러 합금'
동아사이언스
l
2020.11.11
최벽파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왼쪽) 연구팀은 이승훈 경북대 교수와 공동으로 하프 호이즐러 열전재료의 나노구조를 제어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 KAIST 제공 열전소자는 열전소재를 이용해 열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는 소자다. 소자 양끝에 온도차가 생기면 내부 전하가 이동하면서 전기를 ... ...
[인간·공감·AI]⑧동물 눈 모방한 카메라로 '시각혁명'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0
물고기 눈의 구조를 모방해 120도의 넓은 시야각을 가지면서 작고 가벼운 초광각 카메라가 개발됐다. 사진은 이 카메라를 이용해 원본 그림(작은 사진)을 관찰한 이미지다. 네이처 일렉트로닉스 논문 캡쳐 스마트폰과 몸 속을 들여다보는 내시경, 빠르게 기동하는 드론이나 자율주행차에서는 작지만 ... ...
[대학의 과거와 미래]⑥미래의 인재상: 대학 교육의 변화 방향은?
2020.11.03
2019년 서울대 입학식 모습이다. 연합뉴스 대학을 플랫폼과 네트워크에서 바라보는 관점은 미래 인재들의 역량에 대한 재정립도 가능하다. 4차 산업혁명으로 변화하는 미래에 필요한 인재 역량에 관해서는 수많은 연구와 의견이 있다. 그중 가장 많이 인용되는 보고서는 세계경제포럼(WEF)이 2015년 출 ... ...
[이덕환의 과학세상]후쿠시마 오염수 처리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2020.10.28
동일본 대지진 당시 후쿠시마 원전 폭발 모습. 플리커(deedaveeeasyflow) 제공 일본 정부가 후쿠시마 오염수의 해양 방류 결정을 보류했다. 일본 국민의 반발과 우려가 예상보다 훨씬 심각했던 모양이다. 해양 방류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았고, ‘국민적 합의’에 대한 요구도 무시할 수 없었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