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도구"(으)로 총 562건 검색되었습니다.
- 3짱 프로젝트-다이어트, 운동이 최고야!어린이과학동아 l20061114
- 물론 다리의 근력과 근지구력을 높여 성장발달을 도와 줍니다. ● 달리기 30분 168㎉ = 생과일 오렌지 주스 1잔(무설탕) 특별한 기술이나 도구가 필요 없어요. 심장과 허파에 적당한 자극을 주어 심폐 지구력을 높여 주지요. ● 수영 30분 189㎉ = 삼각김밥 1개 온몸을 사용하기 때문에 신체를 고르게 발달시켜 줍니다. 또한 물 속에서 움직이 ...
- 3짱 프로젝트-살은 왜 찌는 걸까?어린이과학동아 l20061012
- 있는지 측정해 봅니다. 몸무게는 적어도 근육의 양은 적고 지방의 양이 많다면 비만이랍니다. 가장 정확한 비만 판단 방법이지만 측정 도구가 없으면 하기 어려워요. 2. 비만도 그래프로 알아보기 키와 몸무게가 만나는 점이 어딘가요? 그 곳이 바로 내가 뚱뚱한지, 정상인지, 마른 것인지를 알려 주는 지점이랍니다. 살 왜 빼야 해? {BIMG_R10} ...
- 마이크로맨의 눈에 비친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060928
- 하지만 마이크로맨도 그에 뒤지지 않는다. 아주 작은 것까지 확대해서 볼수 있기 때문이다. 마이크로맨의 눈, 그 눈을 모방한 도구인 현미경은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세계를 열었다. 세포가 모여 생물이 되고 멀리 수많은 사람들이 보인다. 모두 붉은 옷을 입고 있어서 누가 누구인지잘구분이안간다. 10배로 당겨 볼까? 그러자 구체적인 얼굴이 나타나기 ...
- 역사를 바꾼 무기의 과학 (1)어린이과학동아 l20060914
- 무기를 만들자 인류는 구리와 철을 발견하고 그것을 사용하면서 기나긴 석기 시대를 벗어나게 됩니다. 금속을 녹여 여러 가지 편리한 도구를 만들면서 비약적으로 생활 수준이 높아지고 문명이 발달하게 됩니다. 금속을 사용하게 되면서 생긴 가장 큰 변화는 무기의 발전이었습니다. 돌보다 훨씬 단단하고 날카로운 금속으로 만든 칼과 창의 위력은 대단했습니다. ...
- 현미경과 망원경이 보여 주는 놀라운 세계(1)어린이과학동아 l20060628
- 한번 보세요. 아무리 눈이 좋은 친구라도 손등의 털과 주름을 볼 수 있지만 피부를 이루고 있는 세포까지 는 볼 수 없죠. 하지만 도구를 사용하면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세상도 볼 수가 있어요. 보통 크기의 작은 물체라면 돋보기로 충분하고, 작은 미생물면 학교에서 사용하는 광학 현미경으로 볼 수 있지요. 그러나 나노미터 크기의 물체를 관찰하 ...
- 2006 동물 월드컵(2)어린이과학동아 l20060530
- 펴고 살랑 살랑 흔들고 있어요. 뜨거운 응원에 지친 친구들에게 시원한 바람을 일으켜 주려나 봐요. 무늬와 색이 멋진 깃털은 응원도구도 되지만 시원한 부채도 된답니다. 멋진 머플러 응원 , 군함조・목도리도마뱀 {BIMG_l16}저기 멋진 응원 머플러를 두르고 응원하는 친구들이 있네요. 군함조는 목에 새빨간 머플러가 터질듯이 부풀어 있고 목도리 도 ...
- 강철과 같은 의지,변신의 귀재, 변하지 않는 믿음어린이과학동아 l20060511
- 같은 의지로 참살이시의 내일을 책임지겠습니다! 사랑하는 시민 여러분! 흔히 인류역사의 단계를 그 시대에 중요하게 사용한 도구의 재료에 따라 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로 나눕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현재는 아직까지 당연히 철기시대라할수있습니다. 왜냐하면 도시를 만드는 건축물 재료의 90% 이상이 철을 기본소재로 만들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
- 줄무늬와 점무늬 옷을 입은 자연어린이과학동아 l20060414
- 고대 수학자들은 이미 소라나 고둥에서 나타나는 황금비를 알고 이를 건축에 응용했다. 사람의 몸은 비례를 연구하는 수학적 도구로써 매우 유용했다. 우리가 수를 발명한 것도 알고 보면 손가락과 발가락을 쓰면서부터였으니 수학은 자연의 일부분인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나아가 그리스의 수학자였던 피타고라스는 이 세계의 근원을 수라고 보고 자연을 ...
- 설의 과학(1)어린이과학동아 l20060111
- 밤새도록 돌아 다닙니다. 이것을 사서 벽에 걸어 두면 1년 동안 복이 많이 들어온다고 믿었지요. ‘조리’는 쌀에서 돌을 거르는 도구인데, 조리로 돌을 거를 때처럼 복을 골라 소복이 쌓는다는 소박한 소망을 담아‘복’자를 붙인 것입니다. ▶야광귀 쫓기 설날 밤에‘야광’이라는 귀신이 인간 세상에 내려와 자기 발에 맞는 어린이의 신을 신고 가면 신을 ...
- 가마솥 밥맛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051213
- 사람에게는 이것일 것입니다. 바로 가마솥으로 갓 지은 따끈따끈한 쌀밥이지요. 옛날부터 쌀이 주식이었던 우리 민족에게 밥을 짓는 도구인 가마솥은 아주 친밀한 존재였답니다.아무리 가족이 많은 집이라도 가마솥 하나만 있으면 거뜬히 모두가 먹을 양의 밥을 해 냈고 잔치라도 있을 손치면 돼지고기니 닭고기니 수많은 재료들을 삶아 내는 부엌의 터줏대감이었죠 ...
이전525354555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