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구별
분할
분리
부분
갈라내기
선별
어린이과학동아
"
구분
"(으)로 총 747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 동작,준형제] 170730-9 서울 올림픽공원 매미 탈피각 암수
구분
탐사기록
l
20170730
서울 동작 준형제팀 매미 2017.07.30 오후 5시 49분매미 탈피각으로 암수
구분
오른쪽 산란관 흔적 있는 것이 암컷 ...
지구를 위한 과학 - 정기강좌 1강 '장이권 교수님의 강연'
놀이터
l
20170707
지사탐 대원들과 함께 생물 서식처 문제를 고민했답니다. 장이권 교수님은 '서식처를 잃은 동물들'이라는 주제로 서식처의 다양한
구분
법과 서식처를 잃은 동물들이 어떤 위기에 처했는지 알려 주셨어요. 하나씩 알아갈 때마다 더욱 깊어지는 생물 서식처 문제를 강연이 통째로! 담긴 영상을 통해 알아 보세요. 지구를 위한 과학은 어린이과 ...
선운산 바이오블리츠로
기사
l
20170607
마리 잡았다. 어쩌다보니 새끼 메뚜기를 잡게 되었고 새끼 여치도 잡게 되었다. 이 시간을 통해 전부터 헷갈려 했던 메뚜기와 여치를
구분
하는 방법을 확실히 알게 되었다. 더듬이가 짧으면 메뚜기, 길면 여치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 다음 시간에는 지의류에 대해 배웠는데 나는 지의류라는 것을 이번 시간에 처음 알게 되었다. 지의류는 우리가 ...
[서울 아침우주네]180523-2
탐사기록
l
20170523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05230700 도심 화단 양달개비위 동영상은 등에 아래 사진과 동영상들은 벌인지 등에인지
구분
이 안 됨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
경기도 안양.펭귄가족 170425-2
탐사기록
l
20170425
운동장쪽 화단 모과나무 꽃에서 벌2마리. 벌목인지 파리목인지
구분
안되는 곤충 4마리 발견 ...
한지의 비밀
기사
l
20170421
3~4방울 정도 떨어뜨립니다. 3.잠시 후 각각의 종이가 어떤 색으로 바뀌었는지 관찰합니다. *여기서 잠깐!!! 산성,중성,염기성을
구분
할 수 있는 물질을 지시약이라고 합니다. 지시약 중 BTB용액은 산성에서 노란색을, 중성에서는 녹색을, 염기성에서는 푸른색을 띕니다. 실험 결과 한지는 녹색을 , 일반 종이는 푸른색을 띕니다. 한지는 섬 ...
장이권 교수님의 수원청개구리 탐사 방법
놀이터
l
20170412
서쪽의 논에서 깽깽!하는 수원청개구리의 노래를 들을 수 있어요 개굴개굴~하며 우는 청개구리의 노래도 함께하지요. 이 둘을 어떻게
구분
할 수 있을까요? 이 둘의 노래를 어떻게 녹음해서 공유할까요? 궁금증이 가득한 탐사 대원들을 위해 지구사랑탐사대의 수원청개구리 탐사를 이끌고 있는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장이권 교수님이 생생한 영상을 통해 수원청개구리 ...
칼조개 미국갈 준비 마쳤습니다.
탐사기록
l
20170408
미국의 민물조개 박사님께서.. 일본, 중국 샘플은 있는데.. 한국의 샘플이 필요하시다고 하시어.. 새롭게 종이
구분
되고 있는 칼조개.... 미국으로 보낼 준비 마쳤습니다... ...
루시드 드림에 관한 무서운 이야기
포스팅
l
20170403
기사 보고 새각난건데 얬날에 본 어떤 글에서 꿈속에서 꿈을꾸고 꿈속에서 꿈을꾸고 이런게 반복되고 꿈에서 죽으면 꺠어나고 그 꿈에서 다시 죽으면 또 그 꿈에서 깨고 이런식으로 반복되는 꿈을 꿔서 꿈과 현실을
구분
못해서 현실을 꿈인줄 알고 꿈에서 꺠려고 자살을 했는데 현실이었다는 ㅎㄷㄷ ...
우주쓰레기 청소위성을 연구하고 계신 박사님을 만났다
기사
l
20170313
답해주셨고 나의 궁금증도 풀어주셨습니다. 가장 궁금했던 점은 수많은 우주쓰레기들 중에서 쓰레기와 쓰레기가 아닌 것을 어떻게
구분
하여 청소할까 였는데 청소위성에 설치된 카메라로 사진을 찍어 비교하여 처리한다고 설명해 주셨습니다. 그 밖의 내용들은 내가 간단히 메모한 내용으로 대신 하려고 합니다. 사진을 찍고 싶었지만 연구소의 특징상 휴대전화사용이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