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양"(으)로 총 1,916건 검색되었습니다.
- [Focus News] 해수 온도 급상승 한반도 위험주의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어렵게 됐다”고 설명했다. 허창회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팀과 부산대, 한국해양대, 극지연구소,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홍콩시립대 공동연구팀은 “2100년경에는 한 해에 한반도와 일본을 향하는 열대성저기압, 즉 태풍의 숫자가 지금보다 4개 가량 늘어날 것으로 ... ...
- [교과연계수업] 작을수록 더 위험한, 미세플라스틱의 위협!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안녕하세요. 디사이언스입니다. 혹시 미세플라스틱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나요? 미세먼지는 많이 들어보았지만, 미세플라스틱은 조금 낯설 수도 있어요. 미세플라스틱은 말 그대로 미세한 플라스틱, 아주 작은 플라스틱 조각들을 뜻하지요. 최근 이런 미세플라스틱이 바다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해양은 넓고 큰 바다를 뜻해요. 해수욕장과 같은 작은 바닷가가 아니라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과 같은 큰 바다를 모두 통틀어 이르는 말이지요.먼저 ‘바다 해(海)’는 ‘물 수(氵=水)’와 ‘每(매→해)’로 이루어져 있어요. ‘每(매양 매)’는 ‘母(어머니 모)’에서 싹이 올라가는 모양의 한자예요. ... ...
- [Origin] 호주 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 해양대기조사연구소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있으니 호바트에 간다면 꼭 들러보시길 바랍니다. 여행에 식도락도 빼놓을 수 없겠죠. 해양대기조사연구소 바로 옆에서 매주 토요일 살라망카 시장이 열립니다. 생선부터 꽃, 옷까지 수백 개의 노점이 들어서는데, 신선한 굴과 같은 먹을거리도 즐비하다고 합니다. 또 참고로 호바트는 12월 부터 ... ...
- Part 2. 5人 5色 인터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단절이 연구사는 부경대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부경대 수산과학대 생물공학과에서 해양미생물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2002년 일본 문부과학성 연구장학생으로 선발돼 도쿄대 어류 생리학연구실 박사과정에 입학했다. 참복과 물고기인 자주복이 어떤 원리로 체내 삼투압을 조절하는지 연구해 2 ... ...
- [Career] 63빌딩보다 큰 선박, 어떻게 설계할까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노명일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 교수 연구실은 진정한 ‘배 덕후(마니아)’의 방이었다. 요트부터 잠수함까지 각양각색의 배 모형들이 연구실을 ... 프로그램은 파도의 높이, 바람의 세기 등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설계됐다”며 “이제 조선해양 분야에서도 융합 연구는 필수”라고 강조했다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오로라의 충격 고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계획을 계속 시도하고 있지요. 일본의 지큐호는 2012년 해양지각을 2111m까지 뚫어 해양지각 시추 최고 기록을 세우기도 했답니다.●시추 : 지층을 조사 하거나 자원을 얻기 위해 땅속 깊이 구멍을 뚫는 일. 콩으로 메주를 쑨다 해도 믿지 않는 사람들지구가 구 모양이란 사실은 어린이들도 잘 아는 ... ...
- Part 2. 세상을 數(수) 놓다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적정 전기요금부터 첨단 요트 설계, 원전 관리까지 우리가 몰랐던 사이 수학은 세상을 수 놓고 있습니다. 좀 더 나은 미래를 위해 힘쓰는 수학을 소개합니다.게임이론으로 정한 전기요금 체계남호주 지역에 전력을 공급하는 SA파워네트웍스(SAPN)는 친환경 에너지를 사용해 고객에게 최대한 전기를 ... ...
- Part 2. 갯바위 층층이 사는 생물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물 몇 방울만이라도…! 상부 조간대지구상에 수많은 조간대는 각기 환경이 다르긴 하지만, 한 가지 공통점이 있어요. 해안선을 기준으로 어느 높이인지에 따라 살고 있는 생물 종이 다르다는 것 이지요. 바닷물이 잘 닿지 않는 상부, 규칙적으로 물이 차고 빠지는 중부, 대부분의 시간 동안 물에 잠 ... ...
- [과학뉴스] 2004년 수마트라 대지진 원인 밝혔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특이하게도 2004년 수마트라 대지진(규모 9.15)은 지하 10~20km에서 발생했다. 국제공동해양탐사프로그램(IODP) 연구팀이 그 원인을 최초로 밝혀 ‘사이언스’ 5월 26일자에 발표했다.IODP에 참여한 송인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CO2지중저장연구단 책임연구원은 “수마트라 섭입대에서 천부지진을 유발하는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