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 떼
덩어리
짝패
한 족
한 짝
한 쌍
세트
d라이브러리
"
한 벌
"(으)로 총 61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애 깊은 히아데스 형제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어머니가 추가됨으로써 플레이아데스는 완전
한
가족을 이루게 됐다.신화 속에서 ... 제우스를 배신해 하늘의 무게를 짊어지는
벌
을 받게 됐을 때 이것을 너무 슬퍼
한
나머지 별자리가 되었다고
한
다. 지금은 일곱 개의 별 중 하나의 별이 잘 보이지 않는데 여기에는 여러가지 이야기가 있다. 일설에는 ... ...
게임 통해 타자연습 저절로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있다.
한
메타자교사 플러스는
한
글 2
벌
식 자판은 물론
한
글 세
벌
식 자판(일명 공병우 자판)을 지원하고 있으며 쿼티 및 드보락 영문자판을 추가해 다양
한
형태의 자판 연습이 가능하도록
한
새로운 버전이다.반복연습을 통해 글쇠의 기본적기능 익힘과 단어연습 과정이 끝나면 본격적 ...
(2) 연타율 높고 왼손 부담 크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그것을 사람이 구분해주어야
한
다. 그래서 현재 두
벌
식 수동타자기로 이를 입력하기 ... 타자하는 것이며, 이러
한
한
계로 인해 두
벌
식은 기종간 자판통일을 결코 이룰 수없다.이렇듯 두
벌
식 수동 타자기는 끝소리가 있을 때와 없을 때를 구분해주기 위해 엄청나게 많은 시프트율을 자랑하며(?) ...
타이프라이터에서 레이저 프린터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카드가 땅에 흩어진다면 정말 황당
한
사태가
벌
어진다. 수천장의 카드 순서를 다시 ... 그러니까 각행의 글자 위치마다
한벌
씩의 자판이 준비돼 1백20개의 글씨를 단번에 프린트하게 된다. 이 기술은 인쇄속도를 획기적으로 증가시켜 당시 최고 속도를 자랑
한
IBM의 프린터보다 무려 4배 이상 빨랐다. 4 ... ...
1. 아무도 접근을 막을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당시 인텔이 막 개발했던 8008칩에 대
한
논쟁을
벌
였고, MITS라는 작은 회사에서 만들어 ... 카세트 레코더에 연결시키는 장비
한벌
만 구입해도 워즈니액이 작성
한
베이식을 무료로 끼워줬다. 게다가 워즈니액은 컴퓨터 잡지에 자기가 만든 6502 모니터를 위
한
루틴을 싣기도 했다. 애플 광고문에 ...
2.지자기의 힘이 떨어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세밀히 연구
한
결과, 약 2억년 전에는 모두
한
덩어리로 있었던 대륙이 그후 뿔뿔이 흩어져 ... 1 정도로 감소되거나 거의 소멸될 때도 있었다.
벌
이나 비둘기가 그들의 작은 뇌속에 자철석으로 ... 들을 담아 넣어 집을 찾을 때 나침반으로 이용
한
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특히 흐린 날씨일 때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아주 작은 소리임을 확인했다.쌍살
벌
이라는 야생
벌
이 있다. 이
벌
이 자식을 기르는 정성은 상상을 초월
한
다. 새끼집이 장마철에 비에 젖으면 빨판을 대고 습기를 빨아내 밖으로 뱉어낸다. 기온이 올라가면 날개를 부채로 활용해 새끼집에 부쳐댄다. 그래도 안되면 다른데서 물을 빨아다 새끼집에 ... ...
3. 최신 전자악기 총집합 디지털의 명연주자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보면 아주 장난감 같은것 부터 어느정도 쓸만
한
수준까지 다양하다. 같은 가격대에서 음질이 좋은 제품으로는
한
국전자에서 최근 내놓은 제품들을 꼽을 수 있다.아직까지 국내 홈키보드에서 건반을 치는 세기를 감지하는
벌
로시티(velocity) 기능이 있는 제품은 보지 못했으나 최근 나오는 제품들은 ... ...
장애영재아의 세계 바보속의 천재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라틴어와 그리스어는 정말로 질색을 했다고
한
다.
한
라틴어 선생은 아인슈타인에게 "넌 훌륭
한
... 선생은 가르쳐주기는 커녕, 질문이 엉뚱하다고
벌
을 주기가 일쑤였다. 그래서 그는 휴학계를 냈고, 끝내 김나지움으로 돌아가지 않았다.그후 그는 김나지움 졸업장이 필요없는 공과대학(그당시 ... ...
잡아먹히지 않는 신비로운 나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담은채 나비로 성장할 때까지 고이 간직
한
다.그 결과는 자명하다. 가끔 제왕나비나 그 애
벌
레를 접해보지 못
한
어리고 경험없는 새가 이 먹음직스러운 먹이를 조금이라도 삼키면 그 즉시 입에 문 나머지를 뱉어내고 입에 남은 맛을 없애려고 애쓰지만 병들어버리게 된다. 그런 새는 다시는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