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KAIST, 서울대 동시 합격 비결은?수학동아 l2023년 05호
- 책이었나요? 김민형 교수님이 쓰신 과 그 후속작인 이에요. 이 책을 읽고 엄밀한 수학의 불완전한 면을 처음 알게 됐어요. 유클리드 기하학에는 공리 5개가 있고, 이를 부정하면 그 체계가 무너지는 게 아니라 비유클리드 기하학이라는 새로운 분야가 ... ...
- [Space Math] 지구 밖으로 나간 AI, 우주 정착 앞당긴다!수학동아 l2023년 05호
- 인간의 통찰력은 여차하면 테라바이트 규모가 되는 빅데이터를 대상으로도 마찬가지로 필요하다. 이처럼 인간과 AI는 함께 학습하며 상호 보완해야 한다. AGI가 화성 개척 앞당긴다! AI는 우주 분야에서도 위력을 발휘하고 있다. 특히 장비를 더 작고 가볍게 만드는 최적화 설계와 관측을 통해 얻은 ... ...
- 대덕연구개발특구 50주년, 땅 이야기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앞으로 핵융합에너지가 상용화되기 위해선 중수소-삼중수소 기반의 핵융합 연구가 필요하다”며 “대덕특구 내에선 연구 시설을 확보할 공간이 전혀 없어 분원 설립을 알아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50년 전 대덕연구단지는 집적효과를 구상하며 만들어졌습니다. 출연연 간 교류를 활성화해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호기심에는 나이도, 종도 없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나타나기 때문에, 우리는 인간 영유아, 비인간 영장류의 호기심부터 다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비인간 영장류가 인간과 유사한 호기심을 보이는지,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방법론을 그대로 적용하기보다는 비인간 영장류의 행동과 사회적 구조를 반영해 그들의 시선에서 접근하는 것도 중요하다 ... ...
- [DGIST@융복합파트너] 민들레와 얼룩말을 본딴 미래전자소자연구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전자소자로서 기능을 하되, 땅으로 떨어진 후 적절한 시간 내에 썩어 없어지는 비행체가 필요하다. 김 교수는 “기능과 환경,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줄무늬의 불규칙성을 본딴 복제 방지 기술 얼룩말은 각기 다른 무늬 패턴을 갖는다. 패턴의 불규칙성은 얼룩말을 ... ...
- [독자기고] 과학이 수월해지는 프로젝트, 과학잡지 만들기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문과일까? 이과일까?’라는 기사가 특히 기억에 남는다. 이과가 각광받는 요즘, 문과의 필요성도 고민해보자는 내용으로 학생들의 이목을 끌었다. 물음에 대한 화끈한 답은 없었다. 대신 문과와 이과 대표 선생님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문과와 이과의 조화를 강조한 훈훈함으로 기사를 마무리 지었다. ... ...
- 맛있게 먹고, 재밌게 운동해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차이가 있지요. 하루 필요 열량이 2100kcal인 9세 남자 어린이가 오늘 2200kcal를 먹었다면, 필요한 열량보다 100kcal 더 많이 먹은 거예요. 반대로 1444kcal만큼 먹었다면 656kcal만큼 적게 먹은 거랍니다. 오늘 너무 많이 먹은 것 같다고요? 걱정마세요. 우리는 운동을 통해 열량을 쓰기도 하니까요. 달리 ...
- [지구사랑탐사대 X SK하이닉스] 내가 만든 데이터가 생물을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내가 만든 데이터가 생물을 지키는 데 활용된다면 어떨까요? 이런 멋진 아이디어가 현실로 일어났어요! SK하이닉스는 지난 10월 5일부터 31일까지 ‘생물다양성 데이터 분석 경연’을 열었어요. ... 뚜렷할 것으로 예상되는 종. 이를 지표화한 후 정부에서 지속적인 조사와 관리가 필요하 ... ...
- [디지털 바른생활] 영화처럼 온라인 미디어에도 연령 제한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창진초 교사)안전하고 신나는 디지털 세상을 꿈꾸는 초등학교 선생님입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와 미디어 리터러시는 무엇인지 고민하며 학습자료를 만들고 수업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 ...
- [기획] 풍선, 우주를 보는 제3의 눈과학동아 l2023년 04호
- 특성을 포착해 별이 탄생할 때 먼지의 중력 외에도 자기장과 같은 외부적인 구속력이 필요했을 것이라는 아이디어를 제시한 것이다. 국제연구팀은 이어 2009년, BLASTPol을 개발했다. BLASTPol은 일종의 편광카메라다. 관측 대상으로부터 반사돼 나오는 빛의 파동이 특정 방향으로 더 우세하게 진동하는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