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파악"(으)로 총 3,4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시 3D 지도 나왔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 각 사진의 시차를 파악해 촬영 카메라로부터의 거리를 계산한다. 항공사진에서 시차를 파악하는 과정엔 ‘밀집정합(Dense Matching)’ 알고리즘을 사용했다. 밀집정합 알고리즘은 특징점이 부족한 사진을 분석할 때 사용한다. 사실 항공사진에는 나무나 건물, 도로 등 비슷한 물체가 반복되기 때문에 ... ...
- [융복합파트너@DGIST] 스테레오 카메라로 자율주행차 가성비 높인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인식하는 카메라 센서와, 도로의 형태나 보행자의 위치 등 복합적인 환경을 3차원으로 파악하는 시각인지 센서 기술 등이 있다.시각인지 센서로는 레이저를 이용해 거리를 측정하는 라이다(LiDAR)가 대표적이다. 라이다는 특정 레이저 신호를 보낸 뒤 반사되는 신호의 폭과 거리, 높낮이를 계산해 ... ...
- 튀어다니고, 기어다니고! 튀는 탐사선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가벼운 물질로 만들어진 것이죠. 이를 알면 과학자들은 태양계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파악할 수 있어요. 그뿐만 아니라 미래에 유용한 광물을 채취하려 하는 소행성 채굴 업체들에도 소중한 정보가 되죠. Q로봇의 모습은 어떻게 생겼을까요?정확한 형태는 정해지지 않았지만, 탱탱볼 같은 고무 ... ...
- [기획] 사건3. UC 버클리 성차별 의혹 사건수학동아 l2020년 11호
- 반면 여학생은 약 35%만 합격했어요. 중요한 것은 이 값이 성차별 없이도 나올 수 있는지 파악하는 일이었는데, 성차별이 없고 두 학생 집단의 학력이 근본적으로 차이가 없어 합격 기대 확률이 동일하다고 가정했을 때 44%와 35%의 결과가 자연적으로 나타날 확률은 약 10억분의 1이라는 사실이 ... ...
- Science Festival│ SF가 그린 디스토피아? 두려워 말고 준비하세요!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역시 편견을 학습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예를 들어 최근 사람의 표정으로 감정을 파악하는 인공지능이 한창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전 세계 사람들의 표정이 공통된 특징을 갖고 있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인종별, 민족별로 표정이 제각각 다릅니다. 유럽 일부 ... ...
- [기초과학의 힘] 베일에 싸여있던 물리량 양자 거리를 재다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않는다. 전자는 파동의 형태로 넓은 공간에 퍼져서 존재한다. 따라서 전자의 상태를 파악하려면 전자의 파동함수 모양부터 알아야 한다.전자의 파동함수를 운동량과 그에 따른 에너지로 3차원 좌표에 표시하면 고깔, 고리, 구와 같은 다양한 입체 구조를 나타낸다. 이 입체 구조는 다시 곡률과 양자 ... ...
- AI가 수학 문제, 대신 풀어드립니다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작동한다. 특히 수학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sin, cos과 같은 기호와 수식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하는데, 포토매스 앱은 이를 위해 종이 청구서를 스캔하는 등 금융권에서 주로 쓰는 프로그램을 탑재했다.이미지에서 문제를 인식한 뒤에는 문제 풀이를 위해 필요한 공식을 추출해 낸다. 예를 들어 x2+3x−1 ... ...
- Science Future│ 현실에 나타난 SF 과학기술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밝혀졌기 때문이다.박주용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팀도 올해 9월부터 한국인의 감정을 파악하는 인공지능을 개발하기 위해 데이터 수집을 시작했다. 일반인과 전문배우 등 2500명이 참여해 감정 학습을 위한 얼굴 데이터를 만들 계획이다. 최종 데이터와 인공지능 학습 모델, 프로그래밍 코드 등 ... ...
- [수학뉴스] 우주비행사 인체 메커니즘 수학 모형으로 밝혔다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이끈 스카르솔리오 교수는 “향후 달과 화성 등을 탐사할 때 우주비행사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최적의 대응을 하는 데 유용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지 ‘npj 극미중력’ 10월 1일 자에 게재됐습니다. ... ...
- 지구 떠난 지 8개월 천리안 2B호가 보낸 영상 편지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자신의 위치를 더 정확히 알기 위해 태양이 아닌 멀리 떨어진 별을 기준으로 위치를 파악하는 지구지향모드로 전환했다.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니다. 이때의 위성 위치는 동경 118.78도로, 목표 경도(동경 128.25도)에 정확히 맞지 않기 때문이다. 목표 경도는 적도 상공의 정지 궤도에서 우리나라와 가장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