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통신"(으)로 총 3,42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수학기반 산업데이터해석 연구센터는 2017년 7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으로 개설됐으며, 천 교수가 센터장을 맡아 산업계가 당면한 문제의 해법을 수학에서 찾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현재 MS, IBM 등이 개발한 프로그램은 정수를 연산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는 반면, ... ...
- [Tech] 요즘 뜨는 나노 기술 3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떠올렸던 나노기술을 실제로 구현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나노기술연구협의회는 나노기술에 대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육성하기 위해 ‘나노영챌린지 2018’을 개최한다. 직접 고안한 나노 기술로 창의성을 겨루는 이번 대회는, 심사를 거쳐 시제품을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있는 과학 대중서 ‘이지 아이티(Easy IT)’ 시리즈의 51번째 책이다.이번 시리즈는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에 얽힌 50개의 연구 주제를 그림과 함께 풀어냈다. 특히 이번 책은 ETRI의 연구 성과를 국민에게 알리는 역할을 해온 성과홍보실이 저자로 참여했다는 점에서 더 믿고 볼만하다.책은 크게 4차 ... ...
- [Culture] 너의 목소리가 잘 보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달라 오차가 생겨도 정확한 답을 찾아낼 확률이 높다. 지난해 4월 김상훈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음성지능연구그룹 책임연구원팀은 사람의 음성을 실시간으로 문자로 바꾸는 ‘9개 언어 음성인식기술’을 개발했다. 이는 2012년 개발한 ‘지니톡’ 기술을 업그레이드시킨 것이다. 지니톡은 ... ...
- Part 1. 자율주행자동차, 직접 타보니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핸들이 돌아가더니 ‘에트리카(Etri-Car)’가 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개발한 자율주행자동차다. 5인승 자동차의 뒷자리에 덩그러니 혼자 남겨졌다. 시속 15km, 에트리카가 천천히 움직인다. 하지만 체감은 고속 질주다. 전방에 사람이 보일 때마다 ‘으헉’ ‘앗’ 같은 감탄사가 ... ...
- Part 4. 미래 산업의 열쇠, 암호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소수 형태의 제곱수를 가지는 임의의 순환군에 디피와 헬먼이 고안한 방식을 적용해 비밀통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공개키 암호를 개발했다. 순환군집합에 속하는 원소 하나의 거듭제곱 형태로 다른 모든 원소들이 표현되는 집합을 말한다. 또 1978년 미국의 암호학자 로널드 라이베스트, 아디 ...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X 기술이 있으면 신호등도 필요 없고, 사고 위험도 현저히 줄어들 것”이라며 “현재는 5G 통신 규약을 정하고 있는 단계로, 이 기술이 전국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10년 정도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프리미엄 리포트] 자율주행자동차, 얼마나 안전할까Part ... ...
- 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열린 ‘동형암호 표준화 국제회의’에 참석한 미 해군 산하 정보통신기술 연구개발기관인 우주및해전시스템사령부(SPAWAR)의 사이버보안 담당인 로저 홀먼 박사는 “미군은 미국 내에 많은 토지와 건물을 보유하고 있다”며 “여기에 쓰이는 전력 시스템도 동형암호를 ... ...
- Part 3. 개인정보보호법 갈등 해결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때문이다. 현재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법률은 크게 개인정보보호법과 신용정보법, 정보통신망법, 위치정보법 등 네 가지로 나뉘어 있다. 이들 법에는 GDPR처럼 사용자가 자신의 정보를 열람, 정정, 삭제, 처리 정지를 요구할 권리를 명시하고 있다. 게다가 각 법은 신용정보 등 초점을 맞춘 분야가 ... ...
- [인터뷰] “파격적인 입학전형이 DGIST의 경쟁력”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연구하겠다는 학생이 상당한 프로그래밍 실력도 갖추는 식”이라며 “신물질, 정보통신, 로봇, 뇌·인지, 에너지, 뉴바이올로지 등 다양한 부문을 고루 배운 결과”라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최 입학처장은 “다양한 분야와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융복합 인재만이 차세대 리더가 될 수 있다”며 “한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