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옆
옆면
경사면
사이드
가장자리
변두리
횡면
d라이브러리
"
측면
"(으)로 총 1,774건 검색되었습니다.
행복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밝혀 지난해 ‘사이언스’11월 23일자에 발표했다. 뇌의
측면
과 중앙에 분포하는 보상센터는 좋은 경험을 계속 갈망하게 만드는 작용을 하는 영역. 기분을 좋게 하는 화학물질인 도파민도 분비된다.연구자들은 실험참가자들에게 퀴즈를 내 맞추면 상금을 줬다. 이때 다른 ... ...
이산화탄소 배출 주범은 주요 산업국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것은 아니지만 동시에 두
측면
을 보는 것은 모순되는 듯이 보이기도 한다 이 때 이 두
측면
은 서로 상보적이라고 하고, 자연에 이러한 상보성이 보편적으로 존재한다고 주장하는 것이 상보성 원리이다 보어의 상보성 원리는 모호한 면이 많고 과장된 부분이 많아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지 ... ...
주방이 '실험실'인 분자요리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프랑스 화학자 에르베 티스와 헝가리 물리학자 니콜라스 쿠르티는 요리의 물리·화학적
측면
에 대한 국제 워크숍을 준비하던 중 이 분야에 적합한 이름을 짓기로 했다. 에르베 티스가 ‘분자요리’(Molecular Gastronomy)라는 용어를 제안하자 니콜라스 쿠르티는 화학 냄새만 난다며 ‘분자물리요리’라고 ... ...
특집02 세포창조 무한도전 성과 있을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밝혔다.과학자들은 일부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서는 생각이 다를 수 있지만 원론적인
측면
에서는 그에게 공감하고 있다. 생명유지에 꼭 필요한 유전자만 갖춰 세포가 살아가는데 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크게 줄이고, 원하는 물질을 대량으로 빠르게 생산하도록 합성최소세포를 설계할 수 있기 ... ...
매운 고추 먹고 땀 흘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진행하고 있다. 오 교수는 “온도수용체의 미스터리를 규명하는 과정은 순수과학의
측면
에서도 가치가 클 뿐 아니라 응용면에서도 잠재성이 크다”며 “아직 미개척영역이 많아 도전해볼 만한 분야”라고 설명했다.절대영도(-273.16℃)에서 별의 내부온도인 수억 도에 이르기까지 온도의 범위는 매우 ... ...
말랑말랑한 젤리가 위험하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세게 여러 번 친다➋ 위의 방법이 실패한 경우 다시 환자의 입을 벌리고 손가락을 입의
측면
을 따라서 조심스럽게 목구멍 깊숙이 집어넣어 이물질을 제거한다.※사고가 일어나면 즉시 위의 요령에 따라 응급조치를 하면서 119 등에 긴급 도움을 청할 것 ... ...
소음 잡은 블루투스 헤드셋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위해 선체 뒤에 늘어뜨려 예인하는 TAS(Towed Array Sonar)와 물고기의 옆선처럼 잠수함의
측면
에 소나를 일렬로 배열해 성능을 향상시키는 FAS(Flank Array Sonar)도 개발돼 사용되고 있다 영화 '붉은 10월' 등에 등장하는 소련 잠수함의 선미 수직타 위에 동그랗게 붙어있는 것이 바로 TAS를 격납하는 곳이다함교 ... ...
헬리콥터 100년史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의 피질에는 황(黃)의 함량이 다르고 화학반응성도 서로 다른 2종의 조직인 정상피질과
측면
피질이 있다 이것들은 양모의 성장과 함께 서로 꼬이면서 자라난다진동의 마디점이나 배 등의 위치가 공간적으로 이동하지 않는 파동 진동이 항상 0인 장소를 마디, 진폭이 최대가 되는 점을 정상파의 ... ...
초음속기 상승 비밀 발견돼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초음속비행기는 날개 밑면을 울퉁불퉁하게 만들어야 더 쉽게 상승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미국 브라운대 연구자들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초음 ... 연구자들은 “표면이 거칠면 양력은 커지지만 마찰력도 커져 속도가 느려진다”며 두
측면
을 모두 고려해야 함을 강조했다 ... ...
그녀에게 자꾸만 끌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수컷 공작의 화려한 꼬리깃털은 포식자의 눈에 잘 띄어 생존에 불리하지만 짝짓기
측면
에서 보면 오히려 유리할 수 있다. 암컷의 마음을 사 자신의 유전자를 많이 퍼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수컷공작은 미래를 위해 모험을 선택한 셈이다.인간의 경우는 좀 더 복잡하다. 전통적으로 남성은 아이를 잘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