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최초로 별을 기록한 천문학자 히파르코스는 누구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4호
인류
처음
으로 일식을 예측하는 방법을 개발했어요. 또한 오랜 기간 정밀한 관측을 통해
처음
으로 지구의 세차운동을 발견했어요. 16~18세기에 이르도록 천년이 넘는 시간 동안 천문학자들의 지침서가 된 에는 1000개가 넘는 별들의 좌표가 기록돼 있는데, 대부분 히파르코스의 기록을 ... ...
[이달의 과학사] 1869년 12월 28일 추잉 껌에 관한 첫 특허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4호
부드러운 질감을 낼 수 있는 장점이 있죠. 우리나라 최초의 껌은 해태제과가 1956년에
처음
생산한 ‘해태 풍선껌’입니다. 국내 껌 시장은 갈수록 성장해 2015년에 정점을 찍었지만, 이후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어요. 젤리나 카라멜 등 대체 간식이 늘어났으며, 마스크를 낀 채로는 껌을 씹기 ... ...
[광고]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과자 봉지를 만드는 곳에 다녀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4호
관찰한 안익희 어린이 기자는 “즉석밥 용기가 여러 층으로 되어 있는 것을 오늘
처음
알았다”고 말했어요. 알갱이가 페트병이 되는 과정!“여기서부터는 보안경을 쓰고 들어가야 합니다.”웅웅 기계들이 움직이는 소리가 가득한 공장으로 기자단이 들어갔습니다. 플라스틱을 녹여 원하는 ... ...
[기획] 올해로 40년 한국은 공룡 발자국 천국!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4호
화석 산지 중 하나라는 재밌는 이야기를 해주러 왔어.우리나라에서 발자국 화석이
처음
발견된 지 올해로 40년이 됐거든!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올해로 40년 한국은 공룡 발자국 천국!Part1. [기획] 우리나라 발자국 화석의 40년 역사Part2. [기획] 발자국에서 단서를 찾아라! 발자국 ... ...
[가상 인터뷰] 우주의 유령 ‘중성미자’가 남극 얼음에서 발견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3호
A은하에서 날아온 중성미자 79개를 검출했다고 발표했어요. 아이스 큐브는 2018년에
처음
으로 지구로부터 37억 광년 떨어진 오리온자리 블랙홀에서 나온 중성미자를 발견했는데, 이번에는 100배나 가까운 곳에서 나온 중성미자를 확인한 거랍니다. 왜 중성미자를 찾으려고 혈안인 거죠?우주와 ... ...
[가상 인터뷰] 호박벌은 공놀이를 좋아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3호
포유류나 조류가 놀이 행동을 보이는 건 흔하지만, 곤충이 사물을 갖고 노는 건 이번이
처음
이었다고! 특히 태어난 지 사흘 미만인 어린 벌들이 태어난 지 열흘 이상 된 벌보다 더 공놀이에 적극적이었어. 이건 어릴 때 놀이를 더 많이 즐기는 인간이나 새끼 포유류, 조류와 비슷해. 연구를 이끈 라즈 ... ...
플라스틱 다이어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3호
지구를 지키는 영웅이 되어 주세요! 따분행! 캠페인 한정숙 기자첫 따·분·행 인증
처음
으로 따·분·행을 실천했어요. 생각보다 쉽고 간단하게 참여할 수 있는 따로 분리하면 행복해! 여러분도 도전해 보세요. 따분행! 캠페인유승민 기자음료수병 따·분·행포도 주스를 다 마시고 나서 ... ...
[이달의 과학사] 1904년 12월 10일 크리스마스 씰의 시작!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3호
일으켰습니다. 우리나라는 1932년 12월, 일제강점기 때 캐나다 선교의사 셔우드 홀이
처음
으로 크리스마스 씰 모금 운동을 시작했어요. 2022년 지금까지도 매해 씰이 발행되고 있지요. 올해 우리나라의 크리스마스 씰은 손흥민 선수가 모델이랍니다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나노를 탐구하는 양자나노과학연구단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3호
쓸 거란 예상과 달리, 오히려 연구를 위해 미팅하는데 시간을 더 많이 쓴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다”며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어요.양자나노과학연구단 과학자들은 주사터널링현미경(STM)이라고 하는 특수한 현미경을 이용해 나노미터 크기의 두 원자가 가까이 있거나 혹은 멀리 있을 때 어떻게 서로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섭섭박사님은 차가운 도시 광부?! 시리얼에서 광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3호
있는 금속 자원을 재활용하는 개념입니다. 1986년 일본 도호쿠대학교 난조 미치오 교수가
처음
사용했죠. 전자제품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금이나 백금 등 귀금속과 지구에 거의 없는 희귀금속을 회수해 재활용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지난 2020년 도쿄올림픽에서 선수들에게 수여된 메달은 모두 도시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