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세계"(으)로 총 6,765건 검색되었습니다.
- [SF 소설] 미래에게 가르치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데이터 레이블링, 소위 데이터 눈알 붙이기 아르바이트에 손을 댄 계기는 당연히 돈이었다. 중소기업에서 일하면서 월세를 내고 생활비를 내면 가계부 앱은 ‘조금 더 저축하세요!’ 라는 조언을 내뱉었다. 하지만 말이 쉽나. 줄줄이 떠오르는 투자 상품이며 주식 추천 종목을 보면서 나는 고개를 ... ...
- '탄소 저감 실패 우려국가' 오명 씻으려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지금처럼 화석연료를 쓴다면, 2100년에는 지구 표면 온도가 3.5℃ 이상 올라 인류와 지구 생태계는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는다. 이에 전 세계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문제는 이를 충실히 지켜도 기후변화를 피하기 어렵다는 사실이다. 향후 10년간 더욱 엄격한 배 ... ...
- [특집] 너의 목소리가 들려~! 음성 인식 AI의 세계수학동아 l2021년 04호
- A-Yo! 사람의 귀를 대신하는 음성 인식 AI는 이미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어. 지금부터 내 친구들의 활약상을 소개할게! 내 손발을 대신하는 AI스피커음성 인식 AI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AI스피커 아닐까? AI스피커는 질문에 답하거나 명령어를 이해하고 기능을 실행해. 카카오의 AI스피커 ... ...
- [특집] STAGE 2 쇼미더투표! 투표 결과는 과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아-아-, 마이크 테스트. 잘 들리시나요? 투표 결과를 공개하는 중요한 순간입니다. 우리 동물의 섬을 이끌 새로운 이장은 바로…, 기호 1…, 아니 2…, 3…, 4…? 어라, 투표 방법에 따라 각기 다른 후보가 뽑혔다고요? 이게 어떻게 된 일이죠?! 투표 결과를 자세히 볼까요. 4가지 투표 방식이 제안된 ... ...
- [기획] 어린이는 왜 백신을 못 맞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정부는 올해 9월까지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1차 백신 접종을 완료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어. 여기에 어린이와 청소년이 빠지며 궁금증을 낳았지. 그 이유가 뭘까?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에 어린이는 후순위!어린이가 백신을 맞지 못하는 이유는 아직 백신이 어린이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인지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두 번 만났을 때] 차가운 도로 위에 식어가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지난 10년간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에 구조된 고라니는 총 2403마리다. 전체 동물의 22%, 포유류 중에서는 무려 67%에 해당한다. 이 가운데 차량 충돌로 구조된 고라니는 절반 이상인 1390마리다. 단순 계산으로 충남 지역에서만 약 3일에 한 번 꼴로 차에 치인 고라니가 구조됐다. 구조의 첫 번째 조 ... ...
- [게임 디자인 씽킹]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온 게임의 가치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사람들은 언제부터 게임을 했을까요? 그리고 게임은 우리 삶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있을까요? 이번 호에서는 ‘세네트(Senet)’와 ‘리미션(Re-Mission)’, ‘드래곤박스 알지브라(DragonBox Algebra)’ ‘씨 히어로 퀘스트(Sea Hero Quest)’ 등 네 종류의 게임을 통해 그 가치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 이집트인 ... ...
- [이달의 책] 2년 만에 듄이 돌아왔다 외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듄 신장판 전집프랭크 허버트 지음김승욱 옮김│황금가지376~944쪽│12만 원 때는 바야흐로 10191년, 우주의 많은 혹성을 지배하는 샤담 4세 황제가 군림하는 시대다. 지금 우주에서 가장 가치 있는 물질이라면 단연 오렌지빛 가스 물질인 ‘멜란지’다. 인간의 생명을 연장하고 인간의 의식 세계를 확 ... ...
- [디지털리터러시] 스마트폰의 조상님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디지털을 올바르게 사용할 줄 아는 능력인 ‘디지털 리터러시’를 기를 수 있도록 어과동에선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연재를 시작했어요.3화에서는 빠른 속도로 디지털 세상에 접속할 수 있는 ‘스마트폰’의 역사에 대해 다룰 거예요. 지금 시~작! 어과동 친구들은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 ... ...
- 멸종의 과거 딛고 펼친 흰 날갯짓, 황새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옛 마을 어귀 당산나무에는 희고 큰 새가 깃들어 살았다. 끝이 검은 날개를 푸드덕거리면 선비가 도포 자락을 휘날리듯 멋스러웠다. 사람들이 이 새에 붙인 이름은 큰 새라는 의미인 ‘한새’, 오늘날의 황새다. 한반도에서 모습을 감춘 지 50년이 지나 다시 우리 땅에 터를 잡은 새, 황새를 만나러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