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의학"(으)로 총 2,97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그럴 것이다’라고 적혀 있다. 마루야마 과장은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를 통한 재생의학이나 지난해 새로 개설한 인공지능(AI)센터 등을 통해 미래사회를 바꿀 기초과학 연구에 더욱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자동차 ‘덕후’들의 성지로 알려진 독일 남서부 도시인 슈투트가르트에는 벤츠,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후에야 그의 연구가 맞았다는 것을 알았지요.매클린톡은 이 공로로 1983년에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했어요. 그의 발견 덕분에 유전학은 크게 발전할 수 있었답니다 ... ...
- [Origin] ‘신의 저주’도 옛말, 에이즈 예방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만성염증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해 동맥경화 같은 질환이 악화될 수 있다. 김신우 경북대 의학전문대학원 내과학교실 교수는 지난해 대한내과학회지 제90권 제6호에 발표한 ‘HIV 감염자에서 발생하는 비에이즈 합병증’이라는 논문에서 “HIV 감염인이 사망하는 원인으로 에이즈 연관 질환보다 ... ...
- [Issue] 동물정신과 측면에서 본 공격성과 치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공격성을 보이는 개가 마지막으로 오게 되는 곳이 ‘동물들의 정신과’인 이곳, 동물행동의학과이기 때문이다. 주치의나 훈련사가 의뢰한 환자들이 대부분이고, 안락사를 결정하기 직전에 마지막으로 ‘상담’을 받으러 온 환자, 사람이나 다른 동물을 심각하게 해쳐 고발을 당한 환자도 있다 ... ...
- [과학뉴스] 상처엔 꿰매지 말고 ‘엘라스틴’ 하세요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수술 중 절개하거나 상처가 난 부위를 꿰매지 않고 봉합하는 방법이 있을까. 최근 미국 과학자들이 상처를 간단하게 붙이는 접착제를 개발했 ... 실험에 성공했으며, 임상시험을 앞두고 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중개의학’ 10월 4일자에 실렸다. doi:10.1126/scitranslmed.aai746 ...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0월 4일. 여느 때와 다름없는 수요일 오전이었다. 필자는 영국 케임브리지에 있는 의학연구위원회(MRC·Medical Research Council) 산하 분자생물학연구소(LMB·Laboratory of Molecular Biology)에서 오후에 있을 전자현미경 실험을 위해 시료를 준비하고 있었다. 그때 갑자기 복도 여기저기서 환호성이 터져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차세대 전극 물질에 대한 연구라고 밝혔다. 생리의학상 : 면역학 연구에 거는 기대생리의학 분야에서는 ‘T세포의 분화, 기능 및 대사’ 연구와 ‘흑색종 면역관문 억제요법의 PD-1 억제제’ 연구가 꼽혔다. T세포는 우리 몸을 지키는 면역 반응의 중심 역할을 하는 림프구 중 하나다. 전체 림프구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발표됐다. 중력파는 검출된 시점부터 물리학상을 받을 걸로 예상돼 왔다. 화학상과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극저온전자현미경, 생체시계 연구도 ‘왜 진작 노벨상을 받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중요한 업적이다. 그런데 사실 강력한 수상 후보가 하나 더 있다. 바로 ‘유전자 가위’다. ... ...
- [Future] ‘부정맥 모음곡’으로 부정맥 조기 진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treatments for arrhythmias so as to improve patient outcomes. 과동 : 심장박동으로 작곡한 음악을 의학적으로도 사용할 수 있을까요? 츄 교수 : (부정맥 데이터로 만든) 음악은 듣는 이에게 부정맥에 대한 다양한 느낌을 줍니다. 우리는 부정맥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형태를 이 ‘음악적으로 표현한 것 ...
- Part 4.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고체일까, 액체일까?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느끼는 과정을 연구한 장-피에르 로이트 프랑스 리옹신경과학연구센터 박사팀이 의학상을 받았고, 나이 든 남자의 귀가 큰 이유를 연구한 영국의 물리학자 제임스 히스콧 박사는 해부학상을 받았다. 일란성 쌍둥이가 멀리서도 각자의 사진을 구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낸 마테오 마티니 영국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