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세대"(으)로 총 7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왜 생명과학자는 단백질에 유독 관심을 가질까과학동아 l2002년 01호
- 지난해 과학계는 인간게놈을 99% 해독해 인간게놈프로젝트가 거의 완성에 이르는 기쁨을 맛보았다. 그리고 이제는 인간게놈프로젝트 이후, 즉 포스트게놈 연구에 생명과학자가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그것은 바로 단백질 연구. 왜 단백질 연구가 포스트게놈 시대의 주역일까.2001년 한해 동안 과학계 ... ...
- Ⅱ 21세기 첫 노벨상 수상자들 : 생리·의학 - 세포분열 조절 메커니즘 규명과학동아 l2001년 11호
- 지난 10월 8일 노벨상 선정위원회는 미국 워싱톤주립대 부설 프레드 허치슨 암연구센터의 릴랜드 하트웰(Leland H. Hartwell) 박사, 영국 왕립암연구재단의 티모시 헌트(Timothy Hunt) 박사와 폴 너스(Paul M. Nurse) 박사 등 3명을 2001년 노벨 생리·의학상의 공동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세포가 ... ...
- 항암제 선두주자로 나선 제약계의 최고참 '동화약품'과학동아 l2001년 10호
-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 과정을 통해 어느 정도 투여해야 가장 효과가 큰지가 밝혀졌다.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등에서 진행된 간암 치료에 대한 임상 2상 결과 79.3%의 유효율을 보였다. 유효율이란 의약품이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를 보여주는 수치다. 보통 항암제의 유효율이 20-30% 정도고 50%만 돼도 ... ...
- 1 탄생 : 원자 주무르는 초소형 로봇과학동아 l2001년 10호
- 인간은 확대현상을 발견하고 사물에 대한 시각을 점점 아래로 끌고 내려갔다.그리고 지금 원자현미경을 발명해 10억분의 1의 세계를 들여다본다.하지만 단순히 들여다보는 것만으로 끝나지 않는다.원자현미경은 나노세계를 조작하는 능력까지 갖고 있다.인류는 뛰어난 두뇌의 도움으로 다양한 도 ... ...
- 왜 물리학자는 암흑 속으로 파고들까과학동아 l2001년 10호
- 면목이 갖춰지고 있다. 비록 외국의 선발주자들보다 늦게 시작했지만, 서울대,연세대, 세종대, 이화여대, 성균관대의 20여명 연구진은 우리 땅에서 우리 손으로 우주의 신비를 벗길 수 있는 연구를 한다는데 자부심을 갖고 열정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있다.다행인 점은 윔프가 있다면, 미국이나, ... ...
- 물리학자는 왜 대칭성에 주목할까과학동아 l2001년 09호
- 두 가속기에는 벨(BELLE, KEK)과 바바(Babar, SLAC) 두 실험그룹이 결성됐으며,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성균관대,경상대, 경북대의 6개 대학 약 20여명의 한국의 연구자들이 대거 벨 실험에 참여했다.두그룹은 1999년부터 실험을 시작했고 지난 7월에 각각 B중간자의 붕괴에서 CP대칭성 깨짐 현상을 ... ...
- 수시모집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과학동아 l2001년 07호
- 2002학년도 각 대학별 1학기 수시모집 결과가 발표됐다. 그 결과 연세대, 고려대, 이화여대 등 주요 대학에서 심층면접이 당락을 좌우했다는 신문보도가 있었다. 대학입시의 새로운 변수로 등장한 심층면접. 이번호 과학동아에서는 기존에 출제됐던 가로따로 세로따로에 대해 설명하고, 출제가 ... ...
- 향수감별사가 손 휘저으며 냄새 맡는 이유과학동아 l2001년 06호
- 초기단계인 하구에서도 시각의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밝힌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연세대 인지과학연구소 감기택 교수는 “눈동자는 고개를 돌리지 않고서는 뒤를 볼 수 없기 때문에 소리를 감지하는 청각이 대강의 위치를 찾는 보조 수단이 된다”며 “청각이 찾은 곳으로 눈동자를 ... ...
- 대덕 바이오벤처 공동체의 촌장 인바이오넷과학동아 l2001년 06호
- 창업했다.구사장은 ‘미생물의 독소단백질을 이용한 생물농약개발’이라는 주제로 연세대에서 식품생물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구사장은 이 아이템을 들고 당시 대기업을 돌아다니며 기술을 사줄 것을 요청했지만 아무런 반응이 없었다고 한다. 그래서 아예 직접 창업을 하게 됐다. 그 결과 지난 9 ... ...
- 과학관 10개보다 중요한 Science Bookstart 운동과학동아 l2001년 05호
- 지내는 등 과학에 많은 관심을 보였던 그는 실제로 자연과학분야의 공부를 했고(연세대 치과대 졸업) 전기분야 기술면허가 6개나 있는 현장과학자 경력을 갖고 있다.김 장관은 취임초기부터 외국에 비해 뒤떨어진 과학대중화를 위해 힘쓰겠노라고 공언했다. 사실 우리나라의 과학문화는 아직까지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