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못"(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그리다 흰 도화지를 바라보니 도화지에 청록색 공이 나타나지 뭐겠어? 뭐지? 그림을 너무 못 그려서 빨간색 공의 유령이 나타난 건가? ‘보색’은 서로 섞었을 때 하얀색이나 검은색처럼 무채색이 되는 두 가지 색깔을 가리켜요. 색상표에서 서로 마주 보는 색으로, 주황과 파랑, 노랑과 남색이 ... ...
- [오일러 프로젝트]앞뒤가 똑같은 대칭수~못 만드는 ‘라이크렐 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3호
- 뒤집은 수인 74를 더해 만들어진다. 물론 모든 수가 한 단계 만에 쉽게 대칭수를 만들지는 못한다. 예를 들어 349의 경우 대칭수를 만들기까지 아래와 같은 3단계를 거쳐야 한다.그런데 196은 이런 과정을 아무리 반복해도 대칭수가 되지 않는 것으로 현재까지 알려져 있다. 이런 수를 ‘라이크렐 수 ... ...
- [SPACE] 21세기 우주경쟁 스타트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닦아놓은 길을 뒤따라 온 셈이었다. 하지만 창어 4호의 성공으로 중국은 미국이 하지 못한 새로운 성과를 거두며 진정한 의미에서 미국과 대등한 우주 경쟁을 할 수 있게 됐다. 중국의 우주 기술은 급작스럽게 성장한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중국은 오랜 기간 우주 기술을 차곡차곡 쌓아왔다. 부침도 ... ...
- [나의 중국 유학 일기] 1인실 기숙사에서 나 혼자 산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느껴진다면 벽과 옷장에 곰팡이가 생길 가능성이 크다. 다음으로 확인할 사항은 방에 못이 박힌 부분은 없는지, 망가진 가구는 없는지 살펴보는 일이다. 기숙사 방을 배정받을 때 보증금 500위안(약 8만 원)을 내는데, 퇴실할 때 방의 상태에 따라 돌려받는 보증금 액수가 차감될 수 있는 만큼 처음 ... ...
- Part 1. 이슈! 인간이 책임 못 진 동물 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기르다 버리거나 잃어버린 ‘유기동물’들이지요. 이처럼 인간이 끝까지 책임지지 못한 유기동물에는 고양이뿐만 아니라 개와 토끼, 라쿤 등 다양했어요. 2018년 한 해 동안 이슈가 된 유기동물을 정리해봤어요. 질병 | 독립생활을 하는 고양이가 좁은 지역에 밀집되면 ‘범백혈구 감소증*’과 ... ...
- Part 4. 인터뷰 - 저 멀리 ‘개토피아’를 찾아서! 언더독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살기에 어떠냐, 불만은 뭐냐, 다른 개랑 충돌은 없냐” 물어보고 싶었는데 얘네가 말을 못 하잖아요. 그래서 관찰하는 게 중요했죠. 개의 습성과 행태, 감정 등 연구된 자료도 공부했고요. 이런 기본적인 공부 뒤에는 의인화를 했어요. 버려진 사람의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 본다고 생각하고, 이런 ... ...
- [통합과학 교과서] 나쁜 왕비가 다시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죽어가요. 소장 상피세포가 제 기능을 못 하면 물이나 음식들이 소장에 제대로 흡수되지 못하고, 그대로 몸밖으로 나오지요. 그래서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면 구토나 설사를 하는 거예요. 한편, 겨울철 우리를 노리는 바이러스는 노로바이러스 뿐만이 아니에요. 노로바이러스처럼 장염을 일으키는 ... ...
- [이달의 PICK] 숙제할 때 찾는 위키백과 서로 못 믿어서 내용이 정확해졌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편집자들이 수정사항을 자세히 뜯어보고 출처와 근거를 제시하라고 요구한다”며 “잘못된 정보를 쓰거나 문서를 삭제해도 이를 빠르게 복구하는 장치가 마련돼 있다”고 말했다. 고의로 가짜 정보를 입력한 편집자는 활동이 정지된다. 원형감옥 ‘파놉티콘’처럼 위키백과의 사용자들 모두가 다 ... ...
- [Culture] 머리는 사람, 몸은 기계 다시 깨어난 사이보그 전사 알리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장인 정신이 없었다면 영화 ‘알리타’는 세상에 나오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가 꼽은 최고의 장면은 바로 사이보그들이 대결을 벌이는 ‘모터볼’이다. 화려한 CG와 압도적인 스피드로 이 장면 하나만 봐도 티켓 값이 아깝지 않을 거라고 ... ...
- Part 3. 세기의 난제 ‘짐 쌓기’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찾으려면 경우의 수를 일일이 따져봐야 하는데, 슈퍼컴퓨터를 이용해도 평생 답을 못 찾을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알고리듬으로 상자 채운다 답을 찾기 어려운 NP 문제라고 해서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건 아니에요. 정답은 아니더라도 해에 가까운 답을 구하면 좀 더 효과적으로 상자를 쌓을 수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