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만"(으)로 총 2,278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유전자 가위 기술의 등장으로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각종 유전자를 교정할 수 있게 됐다. 다만 유전자는 한 종류가 여러 기능을 갖는 경우가 많아 무턱대고 편집해 버리지는 않는다. 그보다 거부반응을 억제하는 유전자를 돼지에게 추가로 끼워 넣는 경우가 많다. 현재 급성 거부반응은 인간의 ... ...
- 위대한 수학자의 발자국, 괴팅겐을 걷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전신은 가우스와 베버가 1833년에 개발했고, 이를 이용해 통신하는 데도 성공했어요. 다만 상용화시키않아서, 널리 알려지지 못한 것뿐이에요. 모스부호는 1836년에 개발돼 1844년에 미국 볼티모어와 워싱턴DC 사이의 통신에 처음 쓰였어요. 암호화된 메시지를 품고 있는 ‘레이저-전신’은 가우스와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어둠 속에 남겨진 쪽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땅위를 걷지는 못해요. 근육이 없어진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어요. 다만 잘 날기 위해 몸무게를 줄이도록 진화하는 과정에서 근육이 퇴화되고 힘줄만 남았다고 추측할 뿐이지요. 한편 박쥐는 이렇게 오랫동안 거꾸로 매달려 있어도 어지럽지 않아요. 우리가 거꾸로 매달려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우리들이 살아가는 모습에 대해 많은 부분을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하고 있더라고. 다만 전에는 예측밖에 할 수 없었던 우리의 생활을 카메라와 비디오 등으로 연구하면서 하나씩 밝혀가고 있는 중이래. 하지만 앞으로는 단순히 호기심을 해결하는 연구보다는 우리를 보호할 수 있는 연구에 관심을 ... ...
- [Future] 인기 웹툰, 과학기자가 쓴다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캐스팅 라인업 때문에 공식 트레일러가 공개되기 전부터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데요. 다만 웹툰에서 저승 재판을 변호하는 진기한 변호사가 영화에서 빠진 것은 팬들에게 아쉬운 부분입니다. 머리가 비상하고 결단력이 탁월해 위기 때마다 주인공을 구해주는 매력적인 캐릭터를 볼 수 없다니요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인기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여전히 나는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곤충학자였다. 다만 약간의 자기합리화 방법을 배웠을 뿐. 생각해보니 곤충학자가 대중의 모든 질문에 꼭 대답해줄 필요는 없는 것 같았다. 오히려 과학자도 자기 전공 말고는 잘 모른다는 사실을 확실히 알려주는 게 ...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개발한 ‘안트라실’ 등이 있지만, 국내에서는 판매 허가가 나지 않은 상태다. 다만 시프로플록사신, 독시사이클린 등의 항생제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백신의 경우 미국에서 개발된 ‘AVA’, 영국에서 개발된 ‘AVP’, 러시아의 ‘LAAV’ 등 세 종류가 사용되고 있지만, 국내에서 개발된 백신은 ... ...
- Part 3. 손님이 기다리게 하지마라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야채볶음을 따로 요리하다가 합치기로 했다. 따라서 세 요리는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다만 갈릭새우는 다진마늘을 먼저 볶다가 새우를 추가해서 볶는다. 이와 같은 순서도는 일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는 법을 연구하는 산업공학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제 일을 분배할 차례다. ... ...
- [DJ CHO의 롤링수톤] 김소희의 ‘춘향가’ 판소리 명창의 비법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산속이나 폭포처럼 습도가 높은 곳에서 연습하면 목이 쉽게 망가진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판소리 명창이 되려면 득음을 해야 하는데, 득음을 하면 그 소리가 폭포수 떨어지는 소리를 뚫고 나가, 시끄러운 와중에도 목소리가 들린다고 합니다. 득음을 시험해 보느라 폭포수 앞에서 소리를 ... ...
- [Focus News] 초강력 태양폭풍 지구 강타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입자 수도 큰 변화 없이 안정적인 편이어서 오늘 우주 날씨는 전반적으로 괜찮습니다. 다만 오전 7시경부터 태양 입자 수가 조금씩 늘고 있어 향후 며칠간 주의해서 지켜봐야 합니다.” 10월 11일 오후 3시 대전 한국천문연구원(천문연) 우주환경감시실. 김록순 우주과학본부 태양우주환경그룹 ... ...
이전5253545556575859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