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설
건축
형성
확립
건립
설계
배제
d라이브러리
"
구축
"(으)로 총 1,23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새‘유전자 신분증’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한국에 사는 새의 종류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유전자 신분증’이 개발됐다.한국생명공학연구원 김창배 박사팀이 개발한 유전자 신분증은 새의 종류마다 다른 DNA 염기 ... 항공기충돌을 미리 막을 수있는 기술을 개발하고,철새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시스템도
구축
할 계획이다 ... ...
특집Ⅲ 2006 노벨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하지만 RNA 간섭 기술로는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 세포의 유전자결핍 라이브러리를
구축
할 수 있다. 덕분에 인간의 질병에 직접 관여하는 유전자를 쉽게 규명할 수 있고, 발굴된 유전자 중에서도 그 기능을 제어했을 때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타깃 유전자를 선별할 수 있다. 그래서 RNA 간섭은 ... ...
3. 달려라 달려, 무적 로봇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계획장거리 대잠 어뢰개발 2007년 예정용도 20km 이상 떨어진 적의 잠수함 공격.특징 한국형
구축
함(KDX-2)에 장착. 추진체 앞에는 경어뢰인 ‘청상어’부착.중거리 지대공 미사일 (일명 철매 II)개발 2010년 예정용도 지상 10~40km의 중거리 대공방어를 담당할 유도무기.특징 호크 미사일 대체.전자기탄(EMP ... ...
바다에 이산화탄소 저장하기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시스템 등 네트워크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시장에 진입한 뒤 완전히 새로운 영역을
구축
하면서 시장을 지배하게 되는 제품이나 서비스 PC, 전자우편, WWW 등이 20세기 정보화시대가 만들어낸 대표적 킬러앱이다관측소의 고도가 높아지면 공기가 줄어들어 기압이 낮아진다 이를 조정하기 위해 ... ...
3. 빛보다 빠르게 우주를 누비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양자물리에서는 음의 에너지가 가능하다. 물론 양자적 음의 에너지를 이용해 웜홀을
구축
하는 문제는 아직도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고속도로에 터널을 뚫어놓듯이, 실제로 우주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이미 자연히 존재하는 웜홀 외에 필요한 곳곳에 안정적인 웜홀을 건설해야 한다.이제 ... ...
식중독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함께 전산망을
구축
하고 있으며, 앞으로 2~4년 내에 완성할 계획이다. 펄스넷이
구축
되면 질병의 감염원과 감염경로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어 전염병 확산을 조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4. 다시 쓰는 農事直說(농사직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경영하는 전략도 필요하다. 현지 교포나 한국 유관단체와 긴밀한 협력 관계망도
구축
해야 할 것이다. 개발도상국에 우리 공산품 시장을 개척하는 경우 한국의 우수한 종자나 씨감자 등을 제공하고 현지의 농업 생산기술을 발달시키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농업의 통합적 성격을 이해하고 기획 ... ...
TV 화면 비율이 4:3이었던 이유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DMB 수신이 가능하다. 즉 20년 전과 지금의 차이는 휴대용 TV를 볼 수 있는 주변 기술이 잘
구축
돼 있다는 점뿐이다. 디스플레이의 종류디스플레이는 크게 프로젝션 타입과 다이렉트 뷰(direct view) 타입, 오프 스크린(off screen) 타입 등 3가지로 나눈다.프로젝션 타입은 작은 브라운관이나 LCD를 TV 스크린에 ... ...
제2의 대포동 쇼크의 진실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결국 2000년 부시 대통령이 당선된 뒤 NMD와 TMD를 통합한 개념의 미사일방어체계(MD)를
구축
하기로 했다.현재 미국의 미사일방어체계는 탄도미사일(ABM)에 대비하기 위해 장거리 요격미사일 11기가 알래스카와 캘리포니아에 배치된 상태다. 미사일 요격체계가 제대로 작동할지 의문이 있지만 초기 ... ...
3. 우리 농작물로 만든 위대한 밥상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꽃가루가 생기지 않는 ‘웅성불임’을 이용해 ‘교잡종 1세대’(F1)를 생산하는 시스템을
구축
했기 때문이다.그 결과 1960년에는 자가불화합성을 이용한 김장김치용 배추인 ‘원예1호’와 ‘원예2호’가 탄생했다. 그 뒤 계절에 관계없이 재배 가능하고 균일한 맛을 지닌 배추가 육종됐으며 이는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