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개요
요약
적요
개괄
귀결
추정
d라이브러리
"
결론
"(으)로 총 2,137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고흐의 진짜 해바라기를 찾아라! 명탐정 코난 화염의 해바라기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파리드 교수는 1~3번 얼굴은 화가 본인이 그렸지만 4~6번은 다른 사람이 그렸을 거라고
결론
내렸어. 또 세 점이 멀찍이 떨어져 있던 것으로 보아 각각 다른 사람이 그렸을 수도 있다고 추정했단다.다트무스대 연구팀이 개발한 수학모형을 ‘해바라기’에 적용해 보았더니 꽃 송이는 모두 고흐가 그린 ... ...
공기 나빠도 운동은 하고 보자!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도심 한복판처럼 공기의 질이 나쁘다면? ‘그래도 운동하는 게 낫다’는 게 과학자들의
결론
이다. 덴마크 코펜하겐대 공중보건학과 조라나 안데르센 교수팀은 정부가 코펜하겐과 아르후스 지역에서 실시한 대규모 코호트 조사를 분석했다. 코호트 조사는 50~65세 주민 5만2061명이 하고 있는 운동 ... ...
[지식] 안테나, 우주의 소리를 듣다!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발표했다. 여기서 여러 과학자와 함께 이야기를 나눴지만 그 어느 누구도 뾰족한
결론
을 내리지 못했다. 새롭게 시작하는 마음으로 다시 연구를 시작했다. 꼬박 1년을 투자해 자료를 모으고, 매일 밤 신호를 꼼꼼히 기록했다. 그 결과 1년 만에 잡음이 지구 밖 은하수 중심 근처에서 나온다는 사실을 ... ...
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전파 속도가 워낙 빠르다 보니, 공기전염이 아니냐는 의문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
결론
부터 말하자면 공기로 전파될 가능성을 배제할 순 없지만, 매우 낮은 확률이다. 메르스나 사스 등 호흡기계 전염병의 가장 보편적인 감염방식은 ‘비말감염(droplet infection)’이다. 비말은 날아 흩어지는 ... ...
[Knowledge] 내 이론은… 그런 뜻이 아니라고!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결과는 약 1.55초로 분석돼 아인슈타인이 옳았음이 밝혀졌다. 하지만 1919년의
결론
은 분명히 성급한 면이 있었다.상대성이론은 상대주의?실증에만 우여곡절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해석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도 온갖 오해가 있었다. 가장 흔한 오해는 상대성이론이 상대주의적이라는 것이었다. ... ...
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이식 받은 의학지식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환자의 병명을 판정한다. 어떻게 그런
결론
에 도달했는지 질문하면 추론을 통해 그 이유를 자세히 설명해준다. 실제 임상에는 쓰이지 못했지만, 처방의 효과성이나 과잉 처방 방지, 다른 병원균 견제 등의 항목으로 이뤄진 설문 조사에서 인간 의사들보다 ... ...
[Life & Tech] 바이오(Bio) 화장품의 진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이 시간 동안 성장인자가 자신의 특성을 간직한 채 우리의 피부에 닿을 수 있을까.
결론
부터 말하자면 ‘절대 그럴 리가 없다’. EGF나 FGF와 같은 성장인자는 구조가 불안정한 단백질에속한다. 연구실에서도 EGF는 영하 20°C의 극저온에서 보관한다. 이렇게 해야 고작 1~2년 버틸 수 있다. 미네랄이나 ... ...
18년 만의 슈퍼 엘니뇨 강타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모형을 이용해 1891~1990년, 1991~2090년 두 기간의 엘니뇨 발생 수를 비교한 결과 이 같은
결론
을 얻었다.연구팀은 슈퍼 엘니뇨 발생 수가 급증하는 이유를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되면서 태평양 전체의 수온이 올라가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태평양의 평균 수온이 오른 상태에서 엘니뇨 현상이 발생하면 ... ...
시계 또는 반시계? 노인 또는 젊은 여인? 아리까리한 그림의 비밀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첫 번째 모습을 인지하고, 약 340ms 뒤에 두 번째 그림을 의식적으로 인지한다고
결론
내렸다. 그리고 시각적으로 한계가 있어서 중의적인 그림임을 알더라도 두 모습을 동시에 볼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아주 작은 변화가 큰 변화로~그렇다면 왜 그림 하나가 두 가지로 보이는 걸까? 수학자들은 ... ...
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5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몇 년간의 실험 결과 그는 섬유에 포함된 불순물들이 빛 신호의 손실을 유발한다는
결론
을 얻었다. 이를 통해 순도가 높은 이산화규소 유리로 섬유를 만들면 빛 손실이 적어서 100km가 넘는 장거리까지 빛을 전달할 수 있다는 것도 알아냈다. 그의 연구는 이후 광섬유의 개발을 가속화시켰다.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