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연
강좌
강습
프로그램
일정
스케줄
진행표
d라이브러리
"
강의
"(으)로 총 1,284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focus] 포스텍 수학과 김민형 교수, ‘호암상’ 수상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파격적인 제안을 받아 2012년부터 옥스퍼드대와 포스텍을 한 학기씩 오가며
강의
와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포스텍 수학과의 학과장이자 국제수학자대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박형주 교수는 “해외 대학과 우리나라 대학 두 곳에서 정년이 없는 연산석좌교수를 모두 제안 받은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 ...
"나는 초신성 박씨"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우리 몸의 구성 요소를 대충이 아닌 이런 정밀도를 가지고 이해 할 수 있다는 것이.이쯤
강의
하고 나서, 학생에게 다시 물어본다.“학생은 성과 본이 무엇입니까?”지혜로운 우리 학생, 곧 수줍게 답한다.“초신성 박씨입니다 ... ...
‘부바’와 ‘키키’는 어떻게 생겼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대학 때 틈틈이 문과대학에서 문학전공 과목을 수강했는데, 유럽현대문학(독일소설)
강의
를 들을 때 강사가 했던 ‘스쳐가는 말’이 기억에 남는다.“카프카(19세기 말~20세기 초 독일 근대소설가. 19세기 말 유럽 사회의 관료주의와 폐쇄성을 기괴한 내용의 소설에 담았다. 중편소설 ‘변신’과 장편 ... ...
차세대 연료전지 나노 기술로 상용화 앞당긴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화학과 관련한 것이 아니라 글쓰기 능력과 글을 읽는 능력을 미리 준비하라는 것이다.“
강의
를 하다 보면 학생들이 가르치는 것만 이해하는 경향이 큽니다. 책을 읽고 스스로 그 책에서 요지를 찾아내고 정리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공학을 보다 넓게 이해할 수 있는 지름길이 될 겁니다.”성 ... ...
나는 과학고로 대학간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등으로 범위를 넓히면 더욱 그러하다. 과학고로 미리 진로를 결정하고 대학 수준의
강의
와 학습, 개별 연구로 최상위권 대학에 진학하는 것도 일종의 매력적인 대입전략이다. 과학영재교와 과학고 입시 초등학교나 중학교에서 수학·과학 분야에 두각을 나타내 자연계로 진로를 확정한 학생들은 ... ...
1919년 경성, 물리학과 첫 졸업식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계속 담당하게 된다.윤세원 박사의 회고에 의하면 이기억은 일본 교토제국대를 다닐 때
강의
가 끝나면 불이 나게 도서관으로 달려가서 학술지의 논문을 만년필로 베꼈다고 한다. 당시에는 복사기가 없었다. 윤세원이 그렇게 논문을 베껴 무엇을 하려느냐고 물었을 때 이기억은 “이 전쟁이 앞으로 1 ... ...
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약해지는 것을 막아준다. 타이타닉에 쓴 강철은 황에 대한 망간의 비율이 현대 저탄소
강의
2분의 1 정도로 낮았다. 이 때문에 빙산이 충돌했을 때 외벽이 쉽게 깨졌을 가능성이 있다.철판을 서로 결합시키는 리벳에 책임을 돌리는 의견도 있다. 제니퍼 후퍼 매카티와 팀 포이크라는 두 재료공학자는 2 ... ...
수학이 있어 더 행복한 날, π-day!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딴 3월 14일을 ‘파이데이’로 정해 수학의 의미를 되새기고 있다. 수학자의 특별한
강의
는 물론, 종이접기를 이용한 체험활동까지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었다. 고등과학원 근처의 서울 홍릉초등학교 학생 40명과 수학동아 독자 30명이 함께한 2012년 파이파티에서 어떤 일들이 있었을까?★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환자들을 돌보던 어느 날 그는 일본을 방문한 에드워드 모스라는 미국 고고학자의
강의
를 듣고 친구가 됐다. 동물학자이기도 한 모스는 갑각류를 연구하기 위해 일본에 왔는데 우연히 바닷가에서 조개무지(패총)를 발견하고 고고학자의 본능이 발동해 발굴에 뛰어들었다.폴즈도 틈틈이 현장을 ... ...
입시를 목표로 공부하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후보로 선발돼 국가대표 후보가 받는 겨울학교 교육도 받았다. 여러 교수의 이론
강의
를 들으며 심화 이론을 배웠고 다양한 실험도 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올림피아드를 준비하는 학생들은 학원에서 일반 생물학 책만 외우는 경우가 많다. ‘모 교수가 무슨 책에서 문제를 낸다더라’하는 소문이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