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실
실상
실재
실제
진실
실태
실질
d라이브러리
"
현실
"(으)로 총 2,705건 검색되었습니다.
중국이 이모작하면 한국엔 더 센 장마 온다
과학동아
l
201208
전부 일모작으로 바꿔서 20, 30년 지낸 뒤 지금 기후와 비교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현실
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기후모델을 사용해서 그 영향을 간접적으로 연구하기로 했다.기후모델은 미래 기후를 예측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지구에서 일어나고 있는 날씨 및 기후 현상을 수학으로 ... ...
2500m 초장거리 저격의 비밀은?
과학동아
l
201207
길이가 1065m다). 앞서 소개한 영국군 저격수 크레이그 해리슨 상병은 영화가 아닌
현실
에서 이보다 두 배 먼 2475m 거리의 저격에 성공했다.군사적으로 저격은 ‘1km 이상의 먼 거리에서 하는 정밀한 사격’을 뜻한다. 컴퓨터 게임에서는 마우스 클릭(우클릭-좌클릭)만 하면 되지만, 실제 저격은 그렇지 ... ...
Part 3. 우리은하가 안드로메다은하와 충돌한다면?
과학동아
l
201207
생명체가 살게 됐을 수도 있다. 2 우주의 팽창 속도가 변한다면? ››› 가정이 아니라
현실
◀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유명한 ‘허블 울트라 딥 필드’사진은 약 130억 년 전 우주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 당시의 우주는 현재의 모습과는 다르게, 막 태어나고 있거나 충돌하는 은하들이 많이 ... ...
최종 병기 애니멀
과학동아
l
201207
오른쪽으로 가게 하려면 왼쪽에 커다란 벽을 보여주는(착각하게 하는) 것이다.‘가상
현실
을 이용한 생물체 원격유도 기술’로 이름붙인 이번 연구는 동물의 뇌나 신경에 직접적으로 전기 자극을 주는 기존 실험과는 다르다. 또 신경이나 뇌를 자극하기 위한 칩을 몸속에 집어넣을 필요도 없다. ... ...
Part 1. 6가지 가정으로 예측해 보는 ‘만약에 지구가’
과학동아
l
201207
키다리 식물’의 기묘한 세계생명은 다른 방향으로 진화했을 것이다. 리처드 도킨스는 ‘
현실
, 그 가슴 뛰는 마법’에서 중력이 지구의 세 배인, 온통 금으로 된 가상의 행성을 상상하고 있다. 중력이 세 배이므로 생물은 중력을 지탱하기 위해 굵고 단단하고 납작해진다. 큰 몸집을 지닌 동물은 ... ...
잡생각 많은 당신, 걱정하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07
있다는 것. 예를 들어 자폐증인 경우 디폴트 네트워크의 연결이 부실하다고 한다. 따라서
현실
을 과거와 미래의 맥락에서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타인에 대해서도 무관심하다.반면 정신분열증은 디폴트 네트워크가 지나치게 활성화된 상태다. 그 결과 외부의 정보를 받아들이는 역할은 위축되고 ... ...
생각만으로 로봇을 조종한다
과학동아
l
201206
에반게리온’ 속의 한 장면이다.애니메이션에서나 가능할 줄 알았던 이런 모습이 벌써
현실
이 됐다.지난 5월 17일 과학저널 ‘네이처’의 홈페이지에는 한 편의 논문과 함께 지난해 4월에 촬영한 영상이 올라왔다. 영상 속의 50대 여성은 로봇 팔을 조종해 커피를 마셨다. 여성의 이름은 캐시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06
수학 지식은 감각적 지식과 달리
현실
에서나 꿈속에서나 똑같이 성립한다. 꿈속에서나
현실
에서나 ‘2+3=5’다.데카르트는 여기에서 악마를 불러냈다. 사람의 생각을 자유자재로 주물럭거리는 악마다. 이 악마는 본래 ‘2+3=4’인데, 사람들이 계산을 할 때마다 끼어들어 ‘2+3=5’라고 속일 수 있다. ... ...
Part 2. 생각하는 로봇
과학동아
l
201206
같다.튜링의 생각하는 기계에 대한 전망은 21세기에 뇌과학과 컴퓨터의 발달을 통해
현실
이 되어가고 있다. 물론 학습하는 인공지능은 인간만큼 학습시간이 필요할 수도 있다. 하지만 한번 학습을 끝낸 인공지능이 만들어지면 복제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쓰게 될 것이다. 이러한 학습 기계가 어느 날 ... ...
Part 5. 동해의 탄생에 얽힌 수수께끼
과학동아
l
201206
조사해 봐야 동해의 형성 과정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15km 깊이는 아직
현실
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래서 동해의 형성 과정에 대한 가설과 이론은 아직까지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동해에 해양지각이 먼저 형성됐다는 증거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밝혀지고 있다. 그림에서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