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지
오직
d라이브러리
"
다만
"(으)로 총 1,70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과학]에너지의 이유있는 변신
과학동아
l
200902
양을 열함량 또는 엔탈피라고 하며 H로 나타낸다. 엔탈피(H)는 절대값을 알 수 없다.
다만
화학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출입하는 열의 양으로 물질 사이의 엔탈피 변화를 알 수 있을 뿐이다. 예를 들어 수소 1몰이 수증기를 생성하는 화학반응은 H2(g)+O2(g) → H2O(g), △H≒-200kJ이다. (다) 켈빈이나 헬름홀츠 ... ...
통증 사냥꾼 진통제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02
입힐 수 있다. 흥미롭게도 아세트아미노펜의 정확한 작용 메커니즘은 아직 불분명하다.
다만
통증 자극을 받는 말초신경에 작용하는 효과보다는 통증 신호를 받는 중추신경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아편은 탁월한 진통제당나라 현종의 황후로 당대 최고의 미인이었던 양귀비. 이 ... ...
목숨을 담보한 뱀파이어와의 러브스토리
과학동아
l
200902
셰익스피어의 희곡 ‘로미오와 줄리엣’을 연상시키는 전형적인 러브스토리다.
다만
주인공이 뱀파이어이기 때문에 ‘로미오와 줄리엣’처럼 비극적인 죽음을 맞진 않을 거라는 기대감을 남긴다.그러나 영화는 이런 기대를 무색하게 만들려는 듯 기묘한 장치를 해둔다. 바로 벨라가 특별한 피를 ... ...
사회 곳곳에 흐르는 다윈의 향기
과학동아
l
200901
긴 여행을 하는 동안 나는 이 여행이 다윈의 비글호 항해와 비슷하다는 생각을 했다.
다만
다윈은 종이 어떻게 발생했는지 찾고 있었고, 180년 뒤 나는 종이 어떻게 멸종하는지 찾고 있었다. 매우 슬픈 일이다.3. 다윈이 말한 진화가 아직도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하나?진화는 모든 곳에 있다. 종이 ... ...
19세기 과학혁명의 출발점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901
역할이 컸다. 그랜트 교수는 모든 동물이 기본적으로 비슷한 구조로 이뤄져 있으며,
다만
고등동물은 그 구조가 더 복잡할 뿐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학생들에게 원시적인 형태의 동물 구조를 공부함으로써 인간의 기관과 조직의 기원을 알 수 있다고 가르쳤다. 다윈에게는 해면이 고등동물의 ... ...
웅웅~, 사막이 노래를 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23
않다니!”당황한 닥터고글이 달랜다.“아니에요. 노래하는 사막은 신비로운 현상이에요.
다만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거지요. 앞으로는 과학에 관심을 갖고 자연 현상을 관찰해 보세요. 생각과 달리 과학도 무척 신비롭다는걸 알 수 있을 거예요.”그러자 주먹을 불끈 쥐는 수비 자레타 ... ...
멜라민
어린이과학동아
l
200820
구분할 수 없다는 점을 악용했다고 할 수 있지요."멜라민에는 단백질 성분이 없어요.
다만
질소가 많을 뿐이지요. 보기 ❸은잘못된 말이군요."보기❹강서영 기자쌀과자에 분유가 들어간 이유는?멜라민이 왜 분유에 들어갔는지는 알 것 같아요. 그런데 분유에 들어간 멜라민이 우유와는 전혀 관계 ... ...
뻘뻘~ 비석이 땀을 흘린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4
낮았다가, 땀나는 날은 기온이 오르고 상대습도도 높아져 응결 현상이 일어난 거죠.
다만
추운 겨울보다는 온도 차이가 적기 때문에 땀의 양이 적었을 거예요.”“난 표충비가 명당자리에 있어서 좋은 기운을 받아 신통력을 발휘한 거라고 생각했는데….”아쉬운 표정으로 비명대사가 말을 잇는다. ... ...
백설공주 중독 사건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3
양은 매우 적어서 일상생활에서는 중독될 정도로 많이 먹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니까요.
다만
꾸준히 많은 양을 먹는 경우 장기적으로 건강에 나쁜 영향을 끼칠 수는 있어요. 아마 백설공주가 쓰러진 것도 장기 복용에 따른 부작용이 아닐런지….”그 때, 왕자가 큰 소리로 외친다.“백설공주가 ... ...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12
충돌, 쓰나미보다 무서워사실 지구가 형성된 이후 소행성들은 계속 지구와 충돌해왔다.
다만
천문학자들은 ‘대충돌시기’라는 태양계의 행성 형성과정 초기에 집중적으로 일어났으며 그 뒤 오랫동안 충돌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고 생각했다.그런데 최근 이런 생각이 바뀌고 있다. 지구와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