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땀띠
한창
칸
hahn
khan
스페셜
"
한
"(으)로 총 6,807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아니요. 저는 뽀뽀하기 싫어요!”
2017.04.09
잠시 개인적인 이야기를 하자면, 미국에 거주중이고 성폭력 피해자 지원 센터(Rape Crisis Center)를 기웃거리고 있다. 센터에서는 초중고학생들이나 성인들을 위 ... 심리학적 해답을 함께 알아가는 책입니다. 다친 내 마음을 돌보고 단련하게 도와줄 다양
한
실천코너를 만나보실 수 있어요. : ...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IBS 첨단연성물질 연구단 그룹리더 조윤경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 인터뷰- Q: IBS 첨단연성물질 연구단 스티브 그래닉(Steve Granick) 단장과 ... 바랍니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
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구독신청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
2017.04.04
대신 세포 내에 자리를 잡으며 엽록체가 됐고 그 결과 조류(algae)와 식물이 나왔다.
한
편 이들 세 그룹의 산소호흡, 즉 당을 산소로 산화해 에너지를 얻는 세포호흡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분석하자 각자 계열이 다른 것으로 드러났다. 즉 산소호흡은 세 그룹이 나뉜 뒤 독자적으로 진화했다는 말이다 ... ...
스스로를 비난하는 사람들, 어떻게 될까?
2017.04.01
오랫동안 우울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통제감은 낮게 느끼면서 죄책감은 높게 보이는 패러독스를 보인다고
한
다(Abramson & Sackheim, 1 ... 심리학적 해답을 함께 알아가는 책입니다. 다친 내 마음을 돌보고 단련하게 도와줄 다양
한
실천코너를 만나보실 수 있어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
2017.03.28
이제 그만 이런 관행을 끊자는 말이다. 옛날 같으면 100% 공감했겠지만 산불다양성에 대
한
논문들을 읽고 나니 우리 조상들이 수백 년 어쩌면 수천 년 동안 효과도 전혀 없는 일을 관습적으로 했다고 치부하기엔 좀 찜찜하다. 그리고 2005년 양양 대화재 역시 당시 초동 진화작전 미숙 등이 불을 ... ...
잠이 모자란 판사는 형량을 더 높게 선고
한
다?
2017.03.25
고등학교 때부터 만성적으로 적게 자는데 익숙해진
한
국인들에게는 잠이 모자란 것 정도는 아무 일도 아닌 것 같지만, 실은 그렇지 않다는 연구들이 있었다. ... 심리학적 해답을 함께 알아가는 책입니다. 다친 내 마음을 돌보고 단련하게 도와줄 다양
한
실천코너를 만나보실 수 있어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
2017.03.21
연구들을 접할 때마다 특정 호르몬이나 신호분자가 지나치거나(또는 수용체가 민감) 부족
한
(또는 수용체가 둔감) 유전형을 지닌 결과 사회적 기준에서 정상이라는 범위 밖의 욕구를 지니게 되고 그 결과로 이어진 행동 때문에 고생하는 사람들이 꽤 될 것 같아 안타깝다. 나 자신은 물론 타인의 ... ...
죽음의 바다가 된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
동아사이언스
l
2017.03.19
엘니뇨 때문에 색을 잃었다는 것이다. 휴지스 연구원은 “아직 표백 현상에 안전
한
지역은 수온이 상대적으로 낮은 남쪽 부분”이라며 “해양생태계의 상징인 산호초를 지구온난화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세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지난 해 2월 26일(왼쪽)과 4월 19일(오른쪽)에 찍힌 ... ...
30대, 50대가 외로움을 더 느끼는 이유는 이것 때문!
2017.03.19
인기리 연재했던 심리학 이야기를 동아사이언스에 새롭게 연재할 계획이다. 최근에는
한
주를 건강하게 보내는 심리학을 다룬 을 썼다 ... ...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
2017.03.14
두개골이 발굴된 지점과
한
반도는 1000km가 조금 더 되는 거리다. 그리고 10만 년 전이면
한
반도는 반도가 아니었다. 우리나라에서 데니소바인의 뼈가 나왔다는 소식이 들릴 날을 꿈꿔 본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 ...
이전
564
565
566
567
568
569
570
571
5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