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기
본인
자아
확신
자체
나
당사자
뉴스
"
자신
"(으)로 총 6,754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상] '마리텔' 김영만 아저씨의 1분 종이접기 강의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9.21
어린이들에게 가르치기도 하고, 직접 만든 작품을 모아 전시회를 열었지요. 지금은
자신
의 전공을 살려 종이접기를 다양한 과학 분야에 접목하기 위해 공학자들과 함께 연구하고 있답니다. 로버트 랭은 “실제 수업에서 배운 공학과 수학 지식이 종이접기를 하는 데 많은 도움과 영감을 준다”고 ... ...
인터스텔라는 해피엔딩… ‘마션’ 주인공은 지구 귀환 가능할까
2015.09.20
수 있을 만큼의 식량을 확보해야만 한다. 기계공학자인 동시에 식물학자인 와트니는
자신
의 식물학 지식을 총 동원하는 동시에 ‘맥가이버’와 같은 재치로 화성의 살인적인 환경에 맞서 싸운다. 와트니의 싸움은 짧은 상영 시간에 쫓긴 영화 보다는 598쪽에 이르는 소설 쪽이 좀 더 상세하고 ... ...
[2015 국정감사] 질책 앞서 모범 아쉬운 과학계 국회의원
2015.09.20
듣자 “그럼 나는 누구에게 질의해야 하느냐”고 재차 되묻기도 했다. 국회의원이
자신
이 질의하고 싶은 기관의 소속과 기관장도 올바르게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던 셈이다. 18일 배덕광 의원(새누리당)은 KAIST에 있는 ‘케이원(K1)빌딩에 비가 샌다’며 관리실태를 지적했다. 하지만 KAIST에 K ... ...
1953년 스탠리 밀러의 초기 지구 조건에서 아미노산 합성 실험
과학동아
l
2015.09.20
없는 사람이거나 노벨상 수상으로 모든 걸 이뤘기 때문이 아닐까. 밀러는 훗날
자신
이 유리 교수의 학생이 아니었으면 이 논문이 ‘사이언스’에 실리지 못했을 거라고 회상했다. 사실 논문이 1953년 5월 15일자에 실린 이유도 논문의 검토를 맡은 과학자들 가운데 한 사람이 실험 결과를 믿지 못해 ... ...
‘과학하고 앉아있네’ 부터 ‘과정남’까지
2015.09.18
기간에는 ‘국정감사 3부작’을 제작했다. 운영자인 정한별 씨는 “대부분의 연구자는
자신
의 연구 이야기를 공유할 공간이 없다”며 “연구자들을 직접 초대해 어떤 연구를 하는지, 연구하면서 어려운 일은 없었는지를 들어보는 사람 냄새 나는 방송이 되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내년 ... ...
내 아이 운동 적성 ‘스포츠 유전자’로 찾아볼까
2015.09.18
등을 알려준다. 영국 국가대표 선수의 능력치와 비교한 수치도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자신
의 운동 능력을 극대화하는 훈련 계획을 짤 수 있고 다이어트 전략도 세울 수 있다고 설명한다. 김욱 단국대 생명과학과 교수는 “운동 능력처럼 여러 유전자가 동시에 관여하는 유전형질의 경우 환경의 ... ...
[수학교육 논쟁] 수학 교육, 줄일 게 아니라 흥미롭게 만들어야
2015.09.16
문제풀이를 줄여서 학습 부담을 줄이되, 아이들이 폭넓은 내용을 재미있게 배우고,
자신
의 미래 설계와 연계하도록 돕는 게 포인트다. 내용을 줄이는 게 아니라 흥미롭게 만드는 게 초점이 돼야 한다. 문제풀이 반복을 줄이면 추가 시수도 필요 없다. 아이들의 생각의 재료에는 다른 과목도 ... ...
너 바람 폈지?
과학동아
l
2015.09.15
속이고 있다고 생각한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연애 상대를 속이는 일에 근거 없는
자신
감을 갖는다는 뜻이지요. 가만히 생각해보니 소년을 반겼을 때의 과장스런 태도, 평소와 달리 소년의 썰렁한 개그에 호들갑스럽게 반응한다는 점에서 위화감이 느껴졌습니다. 처음에는 그동안의 어색한 ... ...
[생활 속 한방보따리]자고 나니 온몸이 으슬으슬하다고요?
동아일보
l
2015.09.14
기운으로 인해 저하된 몸 상태를 고려하여 평소보다는 빨리 마치는 것이 좋다. 어젯밤
자신
도 모르게 창문을 열어놓고 자거나 이불을 걷어차고 자 오전 내내 몸이 으슬으슬 떨리는 사람이 있다면 점심 메뉴로 얼큰한 콩나물 국밥을 추천한다. 단, ‘소주에 고춧가루를 풀어 마시라’는 이야기는 믿지 ... ...
인류를 만든 건 ‘젤나가’일까?
2015.09.13
생명체가 싹트기 시작했다고 상상해 본다면, 이것은 정말 터무니없는 공상일까. 저자는
자신
의 과학적 지식과 상상력을 더하고 버무려 지구상에 생명체가 잉태되는 순간에 대한 가설을 늘어놓는다. 1981년 처음 출간됐지만 현대에 들어 더 흥미롭게 들리는 ‘원조’ DNA 전문가의 이야기에 귀 ... ...
이전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5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