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
- 왜 자식은 부모를 닮았으면서 똑같지는 않은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주근깨가 나타날 수도 있다. 그러나 교차가 일어날 확률은 연관에 비해 그다지 높지 않다.
생물
은 많은 유전 형질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유전자수는 엄청나게 많을 것이다. 그러나 염색체 수는 보통 수십 개에 불과하므로 수많은 유전자들이 모두 수십 개의 염색체 속에 들어있게 될 ... ...
3. 변화무쌍한 돌연변이로 '싸움'과 '공존'의 이중전략 구사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형태로 답이 나와 있지 않다. 그러나 1967년 노벨화학상 수상자이자 현 막스 프랑크
생물
물리화학연구소 생화학속도론연구소장인 맨프레드 아이젠은, 최근 수학과 화학의 분야에서 아이디어를 빌린 준종(準種, quasispecies)개념을 도입, 바이러스의 본모습에 다가가려는 시도를 하기도 한다.'사이언티픽 ... ...
인류 기원의 수수께끼 푼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때문이다. 멸종된
생물
의 부활은 아마도 인간의 능력을 넘는 일인 것 같다. 한번 사라진
생물
은 영원히 소멸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분자고고학의 진정한 목적은 옛DNA를 통하여 인류 진화과정의 수수께끼, 이를테면 초기인류의 기원이나 생활양식, 그들을 괴롭힌 유전병에 얽힌 궁금증을 푸는 데 ... ...
자지복, 사람 유전자연구에 큰 역할할 듯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맛을 가지고 고급요리로 각광받고 있는 복이 유전자연구의 실험
생물
로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우리나라 해안에서 고루 분포하는 자지복(참복과의 일종으로 길이는 약 70cm 정도)은 맛이 좋기로 유명하다. 또한 자지복은 난소와 간장에 강한 독을 가지고 있는 생선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이러한 ... ...
백악기 절멸기에도 거의 모든 곤충 살아남았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맞지는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주목을 받고 있다. 스미소니언 자연사박물관의 고
생물
학자인 콘라드 라반데이라는 "곤충류는 거의 멸종되지 않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1억년 이상 그 계통을 이어가는 것이 가능하다"고 밝혔다.그는 종의 영속성이란 관점에서, 왜 곤충류가 다양한 변화를 ... ...
설치류로부터 배우는 것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를 보자. 이 들쥐들은 보통 쥐와는 다르게 짧은 꼬리를 가지고 있는 한층 더 귀여운
생물
체다. 이들은 크기가 다양하고 나그네 쥐와 친척이다. 북미산 들쥐의 짝짓기와 어버이로서의 행동은 메릴랜드 국립정신 건강연구소와 메릴랜드대학 과학자들이 연구해왔다.실험용 생쥐들이나 일반 쥐들과는 ... ...
생물
- 수정란 1개의 무한한 잠재력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그 핵은 5차 난할의 생성물이었을지라도 완전한 배를 형성하였다. 32세포기까지의 핵은
생물
체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어떠한 유전자의 활성 능력도 잃지 않았다는 것이다(그림4). .(2) 브리그스와 킹(Robert Briggs와 Thomas King)의 실험 : 분리된 핵(${2}_{n}$)의 잠재성을 알아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 ...
1. 누가 뉴턴의 세계에 돌을 던졌나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찾아내는 것이다."고 제임스 글리크가 쓴 '카오스'란 책에서 밝혔다.요크는 의외로
생물
학자인 친구 로버트 메이와의 공동연구에서 카오스계에서 나타난 질서를 찾았다. 생태학에서는 고전적으로 아주 간단한 선형방정식을 애용해 왔다. 단적인 예가 먹이가 많아지면 개체수가 는다는 방정식이다. ... ...
삽살개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친척 관계가 멀어지는 것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겉모습으로 드러난 모든
생물
체들의 감추어진 본질은 염색체 속에 숨겨진 유전자들 속에 각안돼 있다. 유전공학이 발달하면서 사람들은 마침내 설계도인 유전자를 염색체 속에서 끄집어내 책을 읽듯이 읽어낼 수 있게 됐다.유전공학적인 ... ...
20조 예산들여 발트해 정화계획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스웨덴과 덴마크와의 사이가 좁아서 얕은 해협으로만 북해와 연결돼 있으므로 4분의 1이
생물
이 살 수 없을 정도로 극히 오염된 상태다.1950년 이후 연안의 급속한 공업화, 관광화에 더해 농업에 동반한 농약 등의 배출이 오염원이었다. 특히 동구권에서는 주민들의 건강을 무시한 생산제일주의가 ... ...
이전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5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