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의 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태양전지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었지만 대량생산에서의 문제는
빛
을 전기로 전환시키는 효율을 얼마나 싸게 얼마 만큼 높일 수 있는가 하는 점이었고 이 점에서 일본은 '쿠와노'의 개인 연구 덕분에 미국보다 한발 앞서 있었던 것이다. 태양전지를 이용한 상품은 1980년 ... ...
화산이 만든 낙원 화와이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있으며 그 위에 다시 길이 5m나 되는 잎이 뻗어 옆으로 벌어지면서 서로 엉켜 태양
빛
을 차단한다. 그 아래쪽에는 그늘에서 잘 견디는 식물이나 기생식물만이 성장한다. 쓰러진 나무나 낙엽은 급속하게 부식하며 달팽이, 거미, 곤충등이 이곳에서 서식한다. 석탄기(약3억5천만년 전부터 2억8천만년전) ... ...
머리가 좋다는 것은 어떤것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만드는 열쇠를 쥐고 있음이 판명되었다. 그러나 인간의 경우 생후 2년 정도의 기간
빛
의 자극을 받지 않으면 그 활동은 평생 불능이 되고 만다는 것까지 확인되었다. 그렇다면 전두엽 코럼은 어쩌면 사고나 창조의 토대를 만드는 역할을 하고있는것이 아닐까. 그러면 생후 2년간 전두엽에 유용한 ... ...
노벨과학상을 본다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있은 후 우주에 가득차있던
빛
이 우주팽창으로 한쪽으로 쏠리면서 파장이 길어져 지금은
빛
이 아니고 전파(마이크로파)가 되어 우주를 떠돌고 있는 것이다. 이 전파는 우주의 어느 방향에서이고 같은 모양으로 흐르고 있다. 과학자들은 보통 전파의 강도를 온도로 환산하여 나타는데 빅뱅의 흔적인 ... ...
'컴덱스'에서 활약한 아시아의 복병들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후광LCD는 균일하고 더 밝은 상을 내기 위해 형광 튜브를 이용하는데, 사용자는 어떠한
빛
의 상태에서도 쉽게 모니터의 내용을 읽을 수 있다. 소프트웨어 '마이애미'의 '인트라 코프'사는 '인트라코스'라는 제목의 프로그램으로 잠시 짜릿한 흥분을 일으켰다. 이 프로그램은 심리학자인 '조이스 ... ...
우주탄생의 새 이론 태초에 거품이 있었다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에 의하면 알맹이의 크기가 어느 한계 ${r}_{G}$보다 작으면 자신의 중력이 너무 커져서
빛
이 빠져나올 수 없어진다. 검은 구멍의 반경 ${r}_{G}$는 2Gm/c²(G : 중력상수)이다.이 두 값이 일치할 경우가 바로 플랑크의 길이에 해당한다. 이 길이는
빛
(정보)이 전달될 수 있는 최소한계에 해당한다.이 벽을 ... ...
VDT방지 편광필터 개발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VDT란 컴퓨터 유저가 계속 컴퓨터 화면을 들여다볼 경우 화면에서 나오는 자외선과 강한
빛
으로 눈에 무리가 와 눈이 충혈되고 두통까지 동반하는 안질환이다. 미국의 마이크로웨이브뉴스라는 전문지의 보도에 따르면 '시어즈로박' 회사에서 임신중이던 VDT작업자 대부분이 유산하고 뉴욕 ... ...
우리는 누구이며 어디에서?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해결의 실마리를 얻게 되지만 문제의 해결은 결국 역사학에서 적극적으로 나서야만
빛
이 보이게 된다.지난날 우리나라 민족의 기원이나 민족의 단위를 어떻게 보아왔는지를 한번 일별해보는 것은 뒤에 가서 우리나라 민족의 기원, 형성을 언급하는데 도움이 되므로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하겠다 ... ...
핼리혜성 다시오다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그러나 대표적인 혜성은 머리부분과 꼬리가 있고 머리의 중앙부에는 대단히 강한
빛
을 내는 핵이 있다. 이 핵이 바로 혜성이 본체이며 지름이 불과 10㎞정도밖에안되는 단단한 눈덩어리'이다. 핼리혜성의 핵도 지름이 불과 약6㎞인 것으로 밝혀졌다.이 고체의 눈덩어리 속에는 철, 망간, 니켈 등의 ... ...
랜새트(LAND SATELLITE)란 어떤것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돼있다. 스펙트럼의 파장을 보면 지표에서의
빛
을 필터를 통해 7가지로 분해해 그 각각의
빛
에 감응한다. 즉 한번에 7개의 화면을 보내는 것이다. MSS의 화면은 4개다. 어째서 이렇게 광선을 여러개로 분해하는가, 그것은 지표에서 비치는 여러가지 광선은 파장에 따라 각각 그 내용이 다르다. 즉 어떤 ... ...
이전
563
564
565
566
567
5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