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기
본인
자아
확신
자체
나
당사자
뉴스
"
자신
"(으)로 총 6,754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에서 유로파까지, 우주에서 물 찾아 삼만리
2015.10.02
마크 와트니는 불의의 사고로 화성에 홀로 남겨진 뒤 구조대가 도착할 날을 기다리며
자신
이 마실 물과 농사에 사용할 물을 만들기 위해 로켓 연료인 하이드라진에서 수소를 분리해낸다. 수소에 산소를 반응시켜 물을 만들기 위해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마크가 예상한 것보다 훨씬 강력한 폭발이 ... ...
[과학기술지주 출범 2년] 출연연과 대학, 창업 도와드려요
2015.10.02
제공 출범 2년째로 접어드는 과학기술지주가 안정화되자 과학기술계는 벤처 창업에
자신
감을 얻고 있다. 현재 두 과학기술지주가 출자한 기업은 총 19개. 자본금 530억 원의 KST는 심근경색 조기 진단기를 개발한 ‘스몰머신즈’, 얼굴인식을 이용한 출입단말기를 만드는 ‘네오시큐’ 등 7개 기업에 ... ...
남의 고통은 나의 행복?
과학동아
l
2015.09.28
해소할 수 있다는 뜻이다. 다카하시 교수는 “전공이나 동아리를 바꾸는 것처럼
자신
이 중요하게 여기는 분야를 바꿀 수도 있고, 열심히 노력해서 실력을 쌓는 것도 방법”이라며 “궁극적으로는 인생의 목표를 (경제적 성공이 아닌 다른 분야로) 재설정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
과학동아
l
2015.09.26
자연스레 곤충 이야기로 넘어간다. 왕벼룩잎벌레가 옻나무잎에서 얻은 독성물질로
자신
을 방어하는 원리를 소개하며 화학물질명과 각종 실험 결과를 덧붙인다. 수필과 논문을 자연스레 오가는 점은 파브르의 전매특허인데, 정 박사는 그마저도 빼닮았다. 정부희 곤충기는 재밌다. 먹이활동을 ... ...
‘황금연휴’ 알찬 여행의 팁을 알려주마
2015.09.25
하 교수는 “대안에 대한 평가가 어려울 때 비교하고자 하는 조건의 중간 대안을 선택해
자신
의 결정을 합리화하려는 심리가 강해졌기 때문”이라며 “경영학에서는 선택의 ‘타협효과’라고 부른다”고 설명했다. ● ‘줌’ 사진 아니면 눈에 담아라 여행객들은 여행지에서 평생에 남을 ... ...
‘한국의 파브르’ 정부희 곤충기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5.09.25
속하지 않고 중등학교의 물리 교사로 생계를 유지했다. 이런 그가 이름을 남긴 이유는
자신
의 연구를 철저히 글로 기록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마추어 곤충학자들이 책을 내긴 어려운 법. 장영철 충우곤충박물관장은 우리나라 최초의 아마추어 곤충학술지 ‘계간 곤충(昆虫)’을 6월 26일 창간해 ... ...
논문에서…내 이름이 사라졌다
과학동아
l
2015.09.24
4년 가까이 공들여 완성한 논문들이다. A 교수는 논문 세 편을 모두 빼앗아갔다. 한 건은
자신
의 제자에게 공동 제1저자 자리를 줬다. 그 제자란 사람이 논문에 기여한 건 그림 하나였다. 다른 한 건은 교수의 친구가 제1저자 자리를 꿰찼다. 마지막 한 건은 교수가 데이터를 흩어서 다른 논문에 ... ...
드론이 테니스를 칠 수 있는 비결은?
2015.09.22
방법입니다. 드론과 표적 물체의 거리를 10m로 정했다고 합시다. 드론은 표적 물체와
자신
사이의 거리가 12m일 때는 물체 방향으로 가속해 거리를 좁힐 겁니다. 그러다 9m 정도로 가까워지면, 10m 거리가 될 때까지 다시 속도를 줄이겠죠. 이 방법은 드론이 충돌하지 않으면서 물체를 따라갈 수 ... ...
[신나는 공부]취약한 단 하나의 유형을 극복하라
동아일보
l
2015.09.22
고민하며 풀었다. 정답을 맞혔어도 풀이과정에 확신이 서지 않으면 해설지의 내용이
자신
의 접근법과 다른 점은 무엇이었는지를 확인하고 그 내용을 메모한 뒤 반복해 푸는 연습을 했다. 지난해 9월 모의평가 때까지도 30번 문제를 곧잘 틀렸던 이 씨는 결국 추석연휴 이런 학습법을 통해 수능에선 ... ...
[신나는 공부]초등생 주의력·집중력·수학능력… 주판알 놓으며 잡는다
동아일보
l
2015.09.22
수포자’의 갈림길에 서 있는 학생도 주산을 배워 수학을 처음부터 다시 복습하면서
자신
감이 생기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이소영 교수는 “우리나라 교육은 책을 읽은 뒤 해당 내용을 암기하는 등 주로 언어나 문자와 관련된 왼쪽 뇌를 자극하는 교육에 편중된 경향이 있다”면서 “학생들이 ... ...
이전
562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