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조
조직
조립
기구
구상
합성
조성
뉴스
"
구성
"(으)로 총 7,813건 검색되었습니다.
“토성 고리에 물보다 유기물이 더 많아”
동아사이언스
l
2018.10.05
가장 바깥쪽의 포에베 고리까지 총 9개가 있다. 1997년 10월 발사된 카시니호에는 물질
구성
과 분포를 측정하는 ‘이온 및 중성질량분광계(INMS)’가 실려 있다. 토머스 크레이븐스 미국 캔자스대 물리천문학과 교수 연구진은 이 분광계를 이용해 토성 고리 성분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D고리에는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인간에 이로운 맞춤형 단백질 만들다
2018.10.04
통해 다양한 변형된 단백질들을 만들고 이런 변이 단백질들을 가진 세포나 그 세포들로
구성
된 개체들 중 주어진 환경에서 더 잘 살아남는 개체들로 진화해왔다. 1970년대 유전자 재조합 기술이 등장하면서 인간 유전자를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에서 발현시켜 단백질을 대량생산하는 방법이 ... ...
"창업하고 싶다면 누구나 오세요"…지원대상 울타리 없앤 KAIST
동아사이언스
l
2018.10.04
추구하는 아이디어를 가진 5명 이하의 예비 창업팀을 모집했다. 외부인사 5명으로
구성
된 심사위원단은 총 13개의 지원팀 중 스퀘어미터(대표 여정현) 등 8개팀을 최종 선정했다. 여성창업 2개 팀과 고교생 창업 1개 팀도 포함됐다. 이들 예비 창업팀은 앞으로 KAIST로부터 ▲창업 준비공간 ▲국내·외 ... ...
치매 치료 가능한 새로운 원리 찾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4
노화 동물모델의 혈장과 뇌조직을 분석한 결과 ASM의 비정상적 증가가 뇌혈관장벽을
구성
하는 ‘뇌혈관내피세포’와 관계가 크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진은 이를 알아보기 위해 세포의 투과성을 높이는 ‘카베올래’를 이용했다. 이 단백질 제재를 이용하면 뇌혈관장벽의 투과성도 증가한다 ... ...
노벨화학상 유도진화·항체합성 방법 알아낸 美아놀드·스미스·英윈터 수상(3보)
동아사이언스
l
2018.10.03
세포를 이용해 원하는 항체만 생성시키기는 기술을 개발했다. 모든 생물은 단백질로
구성
되어 있는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염기서열 일부가 바뀌고 이에 따른 유전형질의 돌연변이를 통해 진화한다. 두 사람은 이러한 무작위적인 돌연변이 현상을 인위적으로 모사하는 ‘유도진화’기술을 ... ...
KAIST 양자컴퓨팅 기반 AI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3
연구진은 교수 10명과 기업전문가 8명, 연구교수 2명, 석·박사과정 연구원 40여 명으로
구성
됐다. 이번 양자컴퓨팅 IRTC 개소는 양자컴퓨팅 기술을 통해 촉발될 사회적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노력을 하나로 풀이된다. 이준구 KAIST 양자컴퓨팅 IRTC 센터장(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은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레이저 기술 혁신 가져온 3人
2018.10.03
물체가 세포나 지름이 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밖에 안되는 작은 입자, 또는 물질을
구성
하는 분자나 원자인 경우 이를 잡을 도구가 없다. 하지만 세포나 작은 입자에 레이저 빛을 쪼여 초점을 맞추면, 원하는 위치로 옮기거나 특정한 위치에 붙잡아 둘 수 있다. 이 기술을 처음 제시한 사람이 ... ...
사람 다리를 가진 개?
팝뉴스
l
2018.10.02
사진이 해외 SNS에서 유포되면서 화제를 모으고 있다. 상체는 사람인 인어 공주와는
구성
(?)이 반대다. 다리가 사람이고 상체는 개다. 골든리트리버의 뒷다리가 사람 다리인데 실제로 이런 ‘개 공주’가 존재한다면 네발로는 뛰어다니기 어려울 것이다. 앞발을 들고 뒷다리로 달려야 한다. 물론 ... ...
[2018노벨상] 영화 속 주인공된 노벨상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상’으로 귀결된다”고 해석했다. 노벨상 수상 과학자들이 남긴 말이 메인 줄거리를
구성
하는 틀이 되기도 한다. 미국의 스릴러 영화 ‘아웃브레이크’(1995)는 “인류가 지구에서 삶을 계속 영위하지 못하도록 막는 유일한 장애물이자 가장 큰 위협은 바이러스”라고 말한 조슈아 레더버그(1958년 ... ...
뇌신경세포 모방해 더 똑똑한 AI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도 동물의 뇌파를 분석해 효율적으로 뇌신경모사칩 회로를
구성
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김재욱 KIST 선임연구원은 “뇌과학 연구가 발전하면서 차세대 인공지능 개발도 점차 수월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 ...
이전
562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