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성장
진보
진전
발육
향상
진화
d라이브러리
"
발전
"(으)로 총 6,906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가 연출하는 「영화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영화 '트론'(Tron, 1982년)도 상영 당시 청소년들에게 큰 호응을 받았다. 이렇듯 전자기술의
발전
은 영화예술에 커다란 변화를 주고 있다. 실제로 레이저 디스크(laser disc)와 고선명 TV(HDTV)의 등장은 영상의 새로운 시대를 예고하고 있다.영화의 매력은 첨단의 공상과학영화를 감독한 사람이나 특수효과를 ... ...
도구의 역사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인간의 역사는 도구의 역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간은 지상에 출현하면서부터 도구를 개발하고 사용해 왔다. 인간의 역사가
발전
함에 따라 도구와 ... 대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다양하고 복잡한 기계 도구들이 어떤 연관을 맺고 어떻게
발전
해왔는지는 그림과 함께 살펴보도록 하자 ... ...
3 지구밖 문명과의 교신도 시도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것은 리라라고 불리는 하프의 일종으로 4천5백년 전에 연주됐다고 하는데 후에 이것이
발전
하여 하프가 됐다고 한다. 금관악기의 조상은 동물의 뿔로 옛날부터 수렵이나 의식때에 많이 사용했다. 투탄카멘의 묘에서는 3천년 이상이나 된 트럼펫이 발견되었는데 현대의 밸브가 붙은 트럼펫은 1801년에 ... ...
오진, 불가항력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보이고 있는 선진국에 비하면 진단의 정확도는 오히려 앞선다. 국내 임상의학의
발전
상황을 반영하듯이 선진의료국에 비해 조금도 뒤지지 않는 진단의 정확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역시 특정사례에 치우쳐 있어 정확한 비교치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지난 87년 11월 미국의학협회지에 실린 ... ...
생물은 더 작아질 수도 더 커질 수도 없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밖에 줄어들지 않으니 말이다. 이것은 다 세제곱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다. 이러한 논의를
발전
시키면 '생물의 임계크기'에 대해 생각해 볼 수도 있다. 최소의 포유동물은 쥐고, 최대의 포유동물은 지상에서는 코끼리, 바다에선 고래인 이유에 대해서 추론해 볼 수 있는 것이다. 포유동물 중에서 제일 ... ...
(1) 21세기는 무선통신 천국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전파(radio wave)기술개발방향은 새로운 주파수대의 이용기술 개발과 스펙트럼이용효율 향상 그리고 새로운 통신방식 개발로 이루어진다.19세기중엽 맥스웰에 의해 ... 또 전문인력의 양성을 위해 92년부터 대학에 '전파공학과'가 신설돼, 장래의 전파 응용분야
발전
에 큰 역할이 기대된다 ... ...
핵융합
발전
에 큰 진전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세계 3대 토카막의 하나인 JET에서는 중수소와 삼중수소를 반응시켜 높은 효율의 핵융합을 실현시켰다. 지난해 11월 영국에서 날아온 뉴스하나 ... 것이고 경제성있는 핵융합로를 만드는 과정(2020년 예상)을 거치다보면 실용화된 핵융합
발전
은 21세기 중반에 가서야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
「찻잔속의 태풍」 인공지능 만들기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하이테크'라는 프로그램이 아슬아슬하게 패했다고 한다.인공지능의 초기 열기와는 달리
발전
은 더디게 진행되었고 화려하긴 하지만 제대로 되는게 없었다. 그리고 생각지도 않은 문제점들이 끊임없이 나타났다. 그때마다 연구자들은 보통 인간이 20여년동안 배우는 상식이 얼마나 대단한 것인가를 ... ...
1 에스컬레이터도 일종의 도르래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걸쳐서 우물에서 물을 퍼올리는데 사용됐다. 오늘날 이 바퀴축을 이용한 기계로는 수력
발전
의 터빈 풍차 치과용드릴 등이 있다.비퀴축의 중심은 회전하는 지레의 지점이다. 바퀴는 지레의 바깥 부분에 있고 바퀴축은 중심 가까운 부분에 있다. 즉 축을 돌리는 작은 힘으로 바깥 쪽에 있는 바퀴회전을 ... ...
이빨이 말해주는 것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많은 동물들은 음식물을 잡아당기고 찢을 수 있는 송곳니를 갖고 있다.이는 이상하게
발전
하기도 했다. 코끼리에겐 상아, 해마에겐 긴 송곳니가 있으며 일각고래에겐 나사모양의 송곳니가 하나 있다. 독사는 상대방을 쉽게 치명적인 상황으로 만들 수 있는 독을 송곳니를 통해 뿜는다. 그러나 이 ... ...
이전
562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