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를 매료시킨 ‘상상의 동물학’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이상한 생각이 든다. 매년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 수십~수백 종의 ‘신종생물’을
발표
하지만, 코쟁이류처럼 희한한 생물을 본 적이 드물기 때문이다. 코쟁이류처럼 코로 걷거나 코로 먹이를 흡입하고, 코로 점프하는 동물 정도는 나와 줘야 신종생물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이에 대한 해답은 ... ...
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이러한 생물속생설과 자연발생성의 대결은 프랑스의 루이 파스퇴르의 연구가
발표
되면서 일단락됐다. 파스퇴르는 영양액을 플라스크에 넣고 플라스크의 목 부분을 가열해 길게 늘인 뒤 구부렸다. 이때 플라스크의 끝은 항상 열려있어 공기가 들어갈 수 있도록했다. 이 플라스크 용액은 공기에 ... ...
Part 3. 지구 살리는 구원투수 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 라젠드라 파차우리 IPCC 의장은 지난 해 10월 방한했을 때 “2014년
발표
될 5차 평가보고서에서 지구공학과 재생에너지, 해수면의 변화, 극한 기후 등을 중점적으로 다루기로 했다”고 밝혔다. IPCC의 보고서는 국제 협약이나 국가 정책에도 영향을 미칠 만큼 신뢰도가 높은 ... ...
Part 2. 숙주 특이성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부분)의 상피세포에 가장 먼저 침투한다는 사실을 밝혀 ‘수의병리학지’ 2010년 11월호에
발표
했다. 인테그린은 상피세포 표면에 집중적으로 분포한다.같은 바이러스라도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에 속하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숙주 세포 표면의 다른 분자를 인식한다. 즉 바이러스 표면의 ... ...
달에 있는 물, 혜성에서 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모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를 ‘네이처 지올로지’ 1월 9일자에
발표
했다.테일러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를 들어 달이 45억년 전 혜성 같은 천체와 부딪쳐 지구에서 떨어져 나갔다는 기존 학설 역시 부정했다. 달에 있는 물 성분을 조사한 결과 태양계 외부에서 혜성과 충돌해 ... ...
뚱뚱하면 뇌 줄어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콘비트 교수팀은 비만이 뇌 구조에 영향을 미친다고 ‘뇌과학저널’에 2010년 12월
발표
했다. 비만인 사람의 식습관과 충동조절을 담당하는 뇌 부위는 마른 사람에 비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콘비트 교수팀은 44명의 비만 환자와 19명의 정상인의 뇌 자기공명영상을 비교했다. 두 그룹의 나이나 ... ...
홍역바이러스는 새로운 항암제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홍역바이러스가 숙주 세포에 침투하는 방법을 ‘네이처 구조분자생물학’ 1월 13일자에
발표
했다. 연구팀은 바이러스 부착단백질의 어떤 부위가 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하는지 알아내기 위해 단백질 구조를 분석했다. 그 결과 부착단백질의 윗 부분이 숙주 세포와 결합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연구진은 ... ...
3차원 영상으로 암모나이트의 식성 밝혀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버린 암모나이트 화석의 3차원 영상을 찍어 분석한 결과를 1월 7일자 ‘사이언스’에
발표
했다.연구 결과 암모나이트는 단단한 성분으로 된 주둥이를 가졌다. 또 아래턱이 위턱보다 크고 뭉툭하며 아래턱 부분에 가느다란 수염 모양의 이빨이 여러 겹으로 나 있다. 현존하는 두족류에서는 볼 수 없는 ... ...
neutrino 중성미자 경쟁, 한국이 1등 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수 있다”며 “처음에는 외국 과학자들이 의구심을 표했지만 지금은 학회에서 세 나라가
발표
하면 우리나라가 가장 주목을 받는다”고 말했다.늦게 출발해서 경쟁자를 따라잡을 수 있었던 데는 지리적인 이점도 컸다. 김성현 부산대 물리학과 교수는 “영광은 중성미자검출기를 건설하기 위한 ... ...
1987년 살바도르 몬카다 박사의 일산화질소의 근육이완 효과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만들까. 몬타나 박사팀은 꼭 1년 만에 이 비밀까지 밝히는 데 성공했다는 논문을
발표
했다(1988년6월 16일자 ‘네이처’). 아미노산의 하나인 아르기닌이 분해되면서 일산화질소가 만들어진다는 것. 이번에도 아르기닌이 결핍된 상피세포는 EDRF를 제대로 만들어내지 못한다는 기존 다른 팀의 연구 ... ...
이전
561
562
563
564
565
566
567
568
5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