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
경매
한메일
한멜
다음다음
아름다음
아름
뉴스
"
다음
"(으)로 총 6,295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테로이드의 유혹
과학동아
l
2015.03.01
약물을 허용하는 것은 어떨까. 한국도핑방지위원회는 금지약물을 지정하는 기준을
다음
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1. 선수의 경기력을 향상시키거나 경기력을 향상시키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 2. 선수의 건강에 실제적 또는 잠재적인 위험이 되는 경우 3. 스포츠 정신에 위배되는 경우 ... ...
유인원에서 인간으로 진화시킨 ‘뇌확장 유전자’ 찾았다
2015.03.01
작동하지만 쥐의 뇌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는 찾을 수 없는 유전자 56개를 확인했다. 그
다음
연구팀은 56개의 유전자 중 뇌신경줄기세포가 신피질로 많이 분화하도록 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유전자 ‘ARHGAP11B’를 최종적으로 찾아냈다. 이 유전자를 가진 동물은 오직 인간뿐으로 쥐는 물론 ... ...
스트레스 유발요인 6가지… 너저분한 공간, 산만하게 만든다
동아닷컴
l
2015.02.27
유발요인 6가지가 누리꾼들 사이에서 화제다. 스트레스 유발요인 6가지를 정리하면
다음
과 같다. 첫번째 유발요인은 너저분한 공간이다. 자신이 살고 있는 주변이 잡동사니로 가득 찼다면 뇌는 이것에 대한 정보를 해석하기 위해 혼란 상태에 빠져들게 된다. 너저분한 공간은 사람의 집중도를 크게 ... ...
장갑 끼고 드론 조종해봤나
2015.02.27
수 있다”면서 “2~3년 안에 상용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성과는
다음
달 ‘어드밴스트 머티리얼스’ 표지 논문으로 실릴 예정이다. ... ...
내년에 ‘자기부상 엘리베이터’ 나온다
2015.02.27
정해진 노선을 따라 순환하는 서울지하철 2호선처럼 엘리베이터 한 대가 지나가면
다음
엘리베이터가 그 뒤를 따라간다. 케이블도 없다. 멀티 엘리베이터를 움직이는 원리는 자기부상열차와 같다. 자기부상열차는 열차 아래에 달린 전자석이 레일을 잡아당기는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레일 위로 ... ...
“누구나 ‘가슴’ 하면 그녀를 떠올릴 수밖에”
2015.02.27
비어있는 난자에 체세포의 핵을 주입하는 핵치환 기법 - 영국 네이처 제공 그런
다음
전기(電氣)를 가해 핵과 난자를 융합하는데요. 이렇게 얻은 수정란은 마치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한 것처럼 세포분열이 일어납니다. 이 수정란을 다시 암양의 자궁에 착상시키는데, 이후 단계부터는 ... ...
산책 땐 ‘아메리카노’보다 ‘라떼’를…
2015.02.25
실험을 설계했다. 유리 용기에 물을 넣고 여기에 밀도를 높이는 글리세롤을 첨가했다. 그
다음
주방세제를 이용해 지름 3mm짜리 거품으로 이뤄진 거품층을 만들어 액체 위에 얹은 뒤 용기를 흔들어 액체가 흔들리는 모습을 초고속카메라로 촬영했다. 액체가 든 용기를 흔들 때 액체의 움직임을 ... ...
“우주의 지름길 웜홀, 언젠가 인류가 만들 날 올겁니다”
동아일보
l
2015.02.25
우주의 비밀은 항상 우리가 전에 보지 못한 새로운 현상이 드러나면서 풀렸어요.
다음
세대에서는 더 많은 우주의 비밀이 풀릴 겁니다. 젊은 과학자들의 멘토 역할에 집중하고 있어요. 그들을 통해 우주에 대한 인간의 이해를 더 넓히고 싶습니다.” 김윤종 기자 zozo@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 ...
[3월 운영, 경주 방폐장 르포] 지하 130m 거대 ‘사일로(silo)’에 묻혀
2015.02.25
양북면에 위치한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방폐장) 내부가 공개됐다. 정부가
다음
달 경주 방폐장을 본격 운영하기로 결정하면서 1985년 건립 계획이 수립된 지 30년 만에 가동을 앞두고 있다. 국내 원전에 임시 보관 중이던 원전 부품과 작업복 등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12만 드럼이 올해 500 ... ...
스마트폰으로 오존, 자동차 매연 측정 척척
2015.02.24
박 교수팀은 수백 μm(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크기의 초소형 가열장치를 개발한
다음
, 공기오염 측정 센서로 흔히 사용되는 ‘반도체성 금속산화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 기술을 이용해 머리카락 굵기보다 작은 금속을 가열해 기체 흐름을 조절하면 스마트폰 등에 내장해도 ... ...
이전
560
561
562
563
564
565
566
567
5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