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우리 생물자원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23호
- 생물바코드를 찍어 보면 반찬이 국내산인지 외국산인지도 바로 알아 낼 수 있다. 2007년 6월 우리나라는 국제생물바코드협력체에 가입했다. 앞으로 5년 동안 50만 종의 생물바코드 정보를 구축하는 계획에 참여하는 것이다. 이로써 우리나라의 생물자원 관리기술도 더욱 발달할것이다.생물자원 찾아 ... ...
- 순록들의 크리스마스 선물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23호
- 가진 로보 보아는 온가족에게 최고의 선물입니다.로보 판다미국 와우위, 크기 : 40×37㎝동물 중에서 가장 귀엽다는 판다가 로봇으로 탄생했어요. ‘귀염둥이’로 타고난 로봇인 만큼 외모뿐 아니라 행동도 너무 사랑스럽답니다. 함께 들어 있는 곰인형을 알아보며 곰인형을 빼앗아 가면 돌려 달라고 ... ...
- 초등학생 과학영재 늘어난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22호
- 계획이지요. 획안에 따르면 정부는 2012년까지 전국 초·중·고교 학생 중에서 평균 0.7%를 과학영재로 선발하기로 했어요. 구체적으로 초등학생 4〜6학년 과학영재는 학년 당 현재의 5074명에서 8100명(1.3%)으로, 중학생은 4903명에서 6300명(1%)으로 늘어나요. 고등학생 이상은 1585명에서 2100명(0.3%)으로 ...
- 태와사신기 - 사신의 부활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21호
- 걸 잘 기억해 두라구.” 주작“기하와 수지니가 모시는 주작은 남쪽을 상징합니다. 7개 별자리 중에서 바다뱀자리가 긴 목과 몸을, 컵자리가 날개를 이루지요.” 현무“나는 북쪽의 별자리에서 탄생한 현무를 모시는 현고라고 해. 물병과 페가수스자리에서 뱀과 거북이 얽혀 있는 모습이 ... ...
- 오줌으로 손 씻는 멋쟁이 원숭이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21호
- 오줌을 손에 비비는 행동은 상대의 관심을 끌기 위한 것이라고 과학잡지‘네이처’9월 7일자에 발표했어요.아니, 그걸 어떻게 알아 냈죠?연구팀은 우리가 오줌으로 손발을 씻을 때 주변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했어요. 그 결과 오줌으로 손을 씻어도 주변의 온도나 습도가 변하지 않았다는 말 씀! ... ...
- 고그린맨의 모험 - 제7화 고그린맨의 대활약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21호
- In all of GreenVille, Water Woman always had the biggest water sprinkler (remember, her garden is made out of water and she waters it with water!). With Water Woman’s water, her sprinkler and his Gree ...
- 시속 300㎞ 위그선 2011년 나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20호
- 기술로 만든 작은 위그선 이 처음 선을 보였죠. 앞으로 만들 대형 위그선은 길이 77m, 폭 65m로 대형 항공기와 비슷한 100톤의 화물을 싣고 시속 250~300㎞로 운항하는 것이 목표예요. 2011년 이후에는 위그선을 타고 중국이나 일본에 갈 수 있을까요 ... ...
- 첨벙! 고향 땅이 물에 잠겼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20호
- ”제트의 조사 결과를 보고 깜짝 놀라는 살라노 씨. 하지만 닥터고글은 1993년부터 2007년 2월까지 투발루 바닷물이 1년 동안 평균 5.3㎜씩 올라가고 있다는 자료에 더욱 충격을 받았다. 이대로라면 60년 뒤에 투발루는 영영 물에 잠기고 만다!“후~. 그러니까 원래 이 작은 섬나라가 가진 지형적 ... ...
- 오락가락 변덕쟁이 가을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20호
- 무너지기도 해. 가을 태풍‘나리’가 할퀸 남부지방 은 사망자 3명을 비롯해 피해액이 597억 원에 이르렀단다. 일단 육지로 올라온 태풍은 더 이상 열과 습기를 얻지 못해 힘이 약해진단다. 이런 태풍은 서쪽에서 부는 바람을 타고 동쪽으로 빠져 나가면서 일생을 마쳐.약 주는 태풍큰 피해를 주는 ... ...
- 과학자들의 수다 최초과학자 3인은 누구?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19호
- 찾아 냈거든. 한 줄기에서 나오는 완두콩이라도 생긴 모양과 크기가 왜 조금씩 다른지를 7년 넘게 연구했지. 결국 완두콩의 특징은 부모 세대로 부터 물려받은 형질 때문이란 걸 알아 냈어. 물론 이 형질을 결정하는 게 유전자라는 것까지는 알아 내지 못했지만, 이것만으로도 당시에는 최고의 ... ...
이전559560561562563564565566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