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두 얼굴의 글자를 해독하라!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사람들은 196도 언젠가는 팰린드롬 수가 되리라는 믿음으로 알고리즘을 수차례 시도하기 시작했다. 존 워커는 1987년부터 1990년까지 컴퓨터로 무려 100만 자리가 될 때까지 연산을 해 보았고, 1995년 팀 어빈은 두 달 동안 200만 자리까지 계산했다. 또 2001년 제이슨 도세트는 1300만 자리까지, 반 랜딩험은 ... ...
- 세상 모든 입체도형의 전개도를 그릴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3년 07호
- 그러다 서서히 학문의 틀 안에 갇힌 기하학을 세상 밖으로 꺼내는 방법을 찾아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 첫 번째 도구가 바로 종이다. 종이와 전개도만 있으면 대부분의 입체도형은 제작이 가능했다.1966년 독일의 수학자 매그너스 웨인저는 입체도형 중 ‘다면체’를 총정리했다. 고대 그리스의 ... ...
- [환상 퍼즐여행2] 종이와 연필이 만든 환상을 탈출하라!수학동아 l2013년 07호
- ”펜슬맨은 하루를 향해 칭찬을 하더니, 팔을 분주하게 놀리며 캔버스에 하루를 그리기 시작했다. 하루는 예쁘다는 칭찬이 좋으면서도 괜스레 수줍어서 말을 돌렸다.“여긴 너 혼자 사니? 혹시 벽에 건 그림들도 다 네가 그린 거야?”하루의 말에 펜슬맨은 고개를 끄덕이며 계속해서 하루를 그렸다. ... ...
- [생활] 데카르트가 들려주는 무지개 이야기수학동아 l2013년 07호
- 모습은 다양하게 변하죠.저는 1637년부터 무지개에 대해 본격적으로 연구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가장 먼저 무지개를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하는 미세한 물방울 하나를 거대하게 확대해 그려 보았지요. 그리고 앞에서 설명한 굴절의 법칙을 적용해, 무지개를 이루는 빛은 물방울을 통과하면서 두 번의 ... ...
- [독자탐방] 미니 브릿지 융합 수학을 맛보다!수학동아 l2013년 07호
- 동안 준비한 끝에 수학과 미술, 음악, 과학 등 다양한 분야가 어우러지는 브릿지 학회를 시작하게 되었답니다.브릿지는 ‘다리’라는 뜻이에요. 수학이 그저 어려운 문제를 푸는 것이 아니라, 수많은 분야를 연결하는 다리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뜻에서 학회 이름을 브릿지라고 지었지요.브릿지 ... ...
- 무인항공기 만드는 땅 위의 파일럿 항공로봇비행단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동아리 활동을 시작하며 선생님이 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단순히 재밌을 것 같아서 시작했지만 선배들이 직접 알려주는 모습을 보며, 자신도 앞으로 들어올 후배를 잘 가르쳐 주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 나아가 이 재미를 다른 사람에게도 알려주고 싶다고 했다.항공로봇비행단을 지도하는 최순재 ... ...
- [섭섭박사가 간다!] 힘을 분산시켜 튼튼! 현수교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현수교를 만들어 보자!다리는 튼튼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사실, 잊지 말고 만들기 시작~!3 섭섭박사를 올려라!섭섭박사님~! 직선 모양 케이블과 포물선 모양 케이블 현수교 중에 어떤 게 더 튼튼할지 궁금해요!궁금하면 지금 바로 실험 Go Go~!4 힘을 분산시키자!섭섭박사님! 저는 주 케이블이 직선으로 ... ...
- INFO - 우리는 어떻게 초끈이론에 이르렀을까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아주 먼 세계를 볼 수 있게 되면서, 고전역학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 눈에 띄기 시작했다. 그러자 다시 과학자들은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을 찾았다. 이처럼 물리 이론의 발달이란, 인간이 관찰하는 세계의 범위가 늘어나면서 기존 이론이 들어맞지 않게 되면그보다 더 포괄적인 이론을 ... ...
- "멍멍 멍멍멍 멍멍 멍!" 내 마음 알겠니?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죽은 개가 말을 한다?이걸 보니 애니멀 커뮤니케이터라는 사람들에게 의심이 들기 시작했습니다. 동물행동학인 줄 알았더니 갑자기 말도 안 되는 심령술로 빠졌으니까요. 좀 더 찾아보니 TV프로그램인 ‘동물농장’에서 이런 애니멀 커뮤니케이터를 다룬 적이 있다고 하더군요. 동물의 속마음을 ... ...
- 저녁형 인간이 손해 보는 세상과학동아 l2013년 07호
- 해당하는 이야기는 아니다. 현대 사회에 사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른 아침부터 일과를 시작한다. 이처럼 개인의 생활리듬과 사회 환경이 일치하지 않는 현상, 즉 생체시계와 사회적 시계의 불일치를 사‘ 회적 시차’라고 부른다.지난 2006년 독일 뮌헨대와 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대 등이 참여한 ... ...
이전559560561562563564565566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