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jean
진토닉
gin
정령
귀신
대열
무리
d라이브러리
"
진
"(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4차 마방
진
만드는 방법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이렇게 16까지 쓰면 가로, 세로, 대각선의 합이 각각 34인 4차 마방
진
이 완성된다.마방
진
은 숫자의 신비를 널리 알기기 위해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공부를 하든 일을 하든 잘 하려면 먼저 그 공부나 일과 친해져야 한다.숫자와 친해지는 것도 수학을 잘 할 수 있는 지름길 중 하나다 ... ...
국내 최대 공룡알 화석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한번 상상해 봐. 43㎝의 큰 알을 낳을 정도의 몸집을 가
진
육식 공룡이라…. 과연 어떤 공룡일까?*박편 : 암석이나 광물을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0.02~0.03㎜두께로 자른 것.*수각류 : 발로 서서 걷는 육식 공룡으로, 새 같은 몸과 긴 꼬리뼈를 가지며 대부분 ... ...
미로를 체험하러 떠나요~!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블레넘 궁전은 윈스턴 처칠이 태어난 곳으로도 유명하다.서귀포 공원 동백나무로 이뤄
진
서귀포 미로공원. 10월부터 5월까지는 붉은동백꽃을 감상할 수 있다. 미로공원 안 전망대에는 종이 있어 미로를 탈출해 가장 먼저 종을 울리는 사람이 이기는 시합을 할 수 있다. 전망대에 오르면 한라산과 ... ...
난제에 영웅 난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굳게 잠긴 자물쇠를 열고 숨겨
진
수학의 비밀을 밝혀 내는 영웅의 이야기가 펼쳐
진
다. 다같이 외쳐 보자. “난제는 영웅을 필요로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천재 식물에게 배운다 식물의 운명은 숫자에서 시작해 도형이 제일 쉬웠어요나무그늘도 수학 실력 식물에게 한 수 ... ...
난제의 비밀을 찾아서#2 수의 세계는 넓고 난제는 많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쓴다.5. 모서리에 막혔을 때는 아래 칸으로 이동해 쓴다.★규칙에 따라 5×5, 7×7, … 마방
진
도 만들어 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천재 식물에게 배운다 식물의 운명은 숫자에서 시작해 도형이 제일 쉬웠어요나무그늘도 수학 실력 식물에게 한 수 배우기 난제에 영웅 난다?! 은둔의 ... ...
수학의 영웅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수학 영웅들이 있다. 그들이 난제를 하나씩 해결할 때마다 수학의 비밀이 한 꺼풀씩 벗겨
진
다. 과연 모든 수수께끼가 풀리고 궁극의 비밀이 드러나는 날은 언제일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천재 식물에게 배운다 식물의 운명은 숫자에서 시작해 도형이 제일 쉬웠어요나무그늘도 수학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실험 결과 적당히 제조된 레이저광은 비교적 큰 변화 없이 공기 중에서 수백m를
진
행하고 물속으로 들어가면 신속히 압축돼 음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따라서 이 레이저 장비는 항공기에 탑재돼 잠수함과의 통신에 활용될 수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 ...
노벨상 석학 아다 요나트에게 듣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돌파하는 놀라운 성과를 낼 수 있다”고 설명한다. 7년 정도 이 연구소에서 근무한 김
진
철 박사는 “연구소는 실적보다 잠재력을 보고 연구원을 뽑으며 7년간 중간에 별도의 심사 없이 과감하게 지원한다”며 “볼펜 한 자루 지급부터 실험동물 관리, 논문 데이터 정리까지 도와주며 연구원을 ... ...
원자번호 117번 원소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117번이 확인됨에 따라, 2000년 확인된 116번과 2002년 확인된 118번 사이의 빈자리가 채워
진
셈이다. 연구자들은 5개월 동안 초당 7조 개의 칼슘-48 이온을 버클리움-249 원자핵에 충돌시켜 얻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117번 원자 6개를 확인했다.핵융합 과정에서 중성자 3개가 소실되며 형성된 Uus-294(양성자 ... ...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앞쪽에서 망토에 비춰준다. 그러면 우리 눈에는 촬영된 배경화면이 보이면서 사람이 사라
진
것처럼 착각을 일으킨다. 이 기술은 원래는 ‘광학 위장(optical camouflage)’라고 하며, 2003년 ‘타임’이 쿨 발명품으로 선정해 화제를 모았다 ... ...
이전
558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