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방
구역
지대
지구
고장
존
시골
d라이브러리
"
지역
"(으)로 총 6,494건 검색되었습니다.
4월의 밤하늘 꼬리가 긴 두마리의 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북극'이 있는데 이곳은 우리 은하의 회전축과 평행한 선이 천구와 만나는 지점이다. 이
지역
은 은하수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하늘이기도 하다. 우리가 머리털자리에 있는 별을 볼 때 평평한 원반 모양을 한 우리 은하의 바깥을 직접 보고 있는 것이다. 이 사실은 이 부분의 하늘에 밝은 별이 없는 ... ...
농사를 돕는 흰개미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Natural Resources Institute))의 톰 우드와 피터 브린 두 사람이 보츠와나 공화국의 크가파마디
지역
을 조사하기에 이르렀다. 이들은 곧 흰개미가 토양을 변화시키는 생물학적 제제(biological agent)의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NRI의 생태학자인 헬라이나 블랙은 "지금까지 곤충학자들은 흰개미를 고약한 ... ...
쌍안경활용법 봄철의 은하여행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봄철하늘에서 특별한 장소를 향하면 소위 은하단이라 불리는, 은하들이 가장 밀집된
지역
을 볼 수 있다. 이 은하단의 중심은 머리털자리 남쪽에서 처녀자리 서쪽으로 놓여져 있다. SKY Atlas 2000.0이나 Uranometia 2000.0과 같은 상세한 성도로 은하의 분포를 조사해 보면, 북두칠성, 사냥개자리 머리털자리 ... ...
수수께끼의 과학자가 만든 19세기 서울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고려대학교 박물관에 보존돼 있다. 수선전도는 북쪽 도봉(道峰)에서 남쪽 한강에 이르는
지역
을 오늘의 종로거리가 가로지르는 것으로 서울을 그렸다. 또 종로를 남북으로 하여 지명(地名)을 새겨 놓고 있다. 그래서 서울거리를 북쪽은 북악(北岳)을 중심으로 보고 남쪽은 목멱산(木覓山), 즉 남산 ... ...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환경테러(ecoterror)란 가공할 신조어를 낳은 걸프전은 국지적인 환경파괴가 결코 한
지역
의 문제에 그치지 않음을 확인시켰다. 최악의 경우를 예상한 '죽음의 시나리오'들은 환경문제에 대한 인류의 경각심을 고취시키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그러나 주로 다국적군측이 제공한 제한된 정보를 바탕으로 ... ...
혜성·신성·변광성을 관찰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3.6등급에서 최소 5.1등급까지 변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별은 광해가 많은 도시
지역
에서도 쉽게 관측할 수 있다. 이 별은 전혀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항상 관측해야 한다. 변광성 관측은 당신에게 새로운 경험을 갖게해 줄 것이다.많은 변광성들은 최대 광도시에 적은 쌍안경으로도 충분히 ... ...
고립된 과학기술 탈피해야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유럽공동체(EC) 등이 이미 진행되고 있으며 동구권과 아시아
지역
도 이에 대응하는
지역
공동체 결성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공동체의 형성은 지금까지 국가단위로 개발했던 과학기술시스템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국가단위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욱 대담한 대단위 연구개발이 가능해진 ... ...
허블 망원경이 찍은 대폭풍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얼룩덜룩한 띠들로 보인다. 목성의 가장 큰 폭풍은 "대 홍점"으로서 지구보다도 더 큰
지역
에 걸쳐 지난 수세기동안 지속되어온 허리케인이다.토성은 태양에서 더 떨어져 있으며 목성보다는 훨씬 작고 그 공전속도도 조금 더 느리다. 이러한 현상들은 토성의 대기가 목성보다 더 조용하고 ... ...
전자전의 첨병 군사위성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생중계로 보게된 것이다.적지의 정확한 지도는 전쟁수행에 필수도구다. 페르시아만
지역
지도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미 국방성은 민간상업용지구관측 위성인 미국의 랜드셋 위성과 프랑스의 스팟 위성을 사용하고 있다. 이들 지구관측위성은 해상도에서 군사정찰위성에 못 미치지만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태백
지역
)를 발견해 환경연구원에 보호 요청해 놓고 있다. 대관령의 '동미나리', 반월
지역
의 '깽깽이풀'등 멸종돼가는 식물은 사진기록과 더불어 채종해 번식시키기도 한다. 예술성도 추구치과의사인 임운경씨(57)는 꽃만을 전문으로 찍는 꽃사진 작가다. 60년대 개업 초기에는 폭포 사진을 찍었으나 ... ...
이전
558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