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뉴스
"
기존
"(으)로 총 11,664건 검색되었습니다.
늘리거나 굽히면 전구가 반짝…스스로 전기 만드는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4
특성이 큰 고분자 소재를 다양한 형태변형이 가능할 수 있도록 새롭게 디자인해
기존
소재 한계를 극복하고 고출력 에너지 하베스팅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며 “4차 산업혁명에 필수적인 자가발전 소재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 ...
코로나 확진자 1천명 넘어 어디까지…전국에 공포감 엄습
연합뉴스
l
2020.12.13
못 했다"고 설명했다. 부산의 한 30대 공무원은 "확진자와 자가격리자가 급증하면서
기존
업무는 그대로 하면서 방역과 점검 현장을 챙기기가 갈수록 힘이 들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직원끼리 돌아가면서 재택근무를 하거나 점심도 3교대로 하고 있다"며 "코로나19가 도무지 나아질 기미가 ... ...
[의학바이오게시판] 서울보라매병원 '핸드 인 핸드' 캠페인 참여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2.13
김병관 서울보라매병원장. 서울보라매병원 제공 ■서울보라매병원은 11일 ‘핸드 인 핸드’ 캠페인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이 캠페인은 사 ... 대한 복제약을 뜻한다. CT-P17은 아달리무맙 성분 바이오시밀러로는 고농도 제형이다.
기존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제품들이 모두 저농도로 출시됐다 ... ...
[전문가 진단] "3단계 올려도 당분간 효과 미미…병상확보에 총력 기울여야"
동아사이언스
l
2020.12.13
등에 협조를 구하고 있다. 민간병원 가운데 코로나19 전담병원을 하겠다는 곳도 있는데
기존
환자를 이송하고 시설을 정리하는 데 시간이 더 걸린다. 앞서 대구·경북을 중심으로 발생한 '1차 대유행' 때는 고령자, 기저질환자들이 먼저 입원할 수 있도록 환자 분류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는데 ... ...
크리스마스 트리는 알고보면 '한국산'··· 멸종위기의 구상나무를 구하라
과학동아
l
2020.12.12
채집한 표본이 이름이 붙지 않은 채 보관돼 있었다. 윌슨은 이 표본들을 보고 구상나무가
기존
에 학계에 보고된 나무와 다르다는 점을 포착했다. 1917년 윌슨은 한라산과 지리산에서 구상나무를 관찰한 뒤, 이를 전나무속 분비나무와 구분되는 하나의 새로운 종이라고 결론지었다. 그리고 1920년 ... ...
항우연 노조 “원장 자중하고 과기정통부는 과도한 간섭 멈춰야”
동아사이언스
l
2020.12.11
빚어진 폭언과 폭행은 개인적인 문제를 떠나 현 원장과 전 원장으로 대표되는
기존
발사체 연구 조직 간 갈등이 격화되면서 벌어진 일이라고 해명했다”며 “노조는 어떤 이유를 막론하고 항우연 수장이라는 위치에서 올바르지 못한 행위를 범한 부분에 대해 원장은 깊이 반성해야 한다고 보며, ... ...
해조류 먹어 치우는 게를 풀자 산호가 살아났다
2020.12.11
후 게를 풀어놓았을 때에는 덮인 면적의 80%가 줄어들었다. 해조류의 면적이 줄어들자
기존
보다 산호나 산호초와 공생하는 해양생물의 수와 밀도가 약 3~5배가량 늘어난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2016년부터 1년간 첫 실험장소서 15km 떨어진 곳에서 같은 실험을 진행해 게와 사람의 조합이 ... ...
물질 근원 밝힐 장치 '앨리스' 부품 국내서 양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12.11
포착할 수 없었다. 권 교수 연구팀이 개발에 참여한 알피드는 고온에 견디면서 화소 수가
기존
센서보다 10배 많고 데이터도 100배 많이 수집한다. 권 교수는 미국이 주도하는 입자 충돌 실험인 피닉스(PHENIX)에서 수행하던 센서 연구를 기반으로 씨온을 비롯한 국내 중소기업과 힘을 합쳐 알피드 ... ...
수도권 14일부터 증상없어도 진단검사...타액·신속항원검사 도입
동아사이언스
l
2020.12.10
적용하되, 희망자는 타액검사나 신속항원검사를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타액 검사는
기존
PCR 검사에서 비인두 검체 대신 침을 이용한다는 게 핵심이다. PCR 검사에서는 콧속이나 못 뒤 깊숙이 면봉을 넣어 검체를 채취한다. 타액검사는 침을 뱉어 검체를 채취한다. 그외에는 PCR 검사와 동일하다. ... ...
[랩큐멘터리] 개인 맞춤형 의학의 시대를 실현하는 첨단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12.10
잘 듣는다면, 약이 잘 듣는 환자의 특성을 찾아내 약의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기존
에는 같은 병을 가진 환자라면 비슷한 의료를 제공했다면 이제는 사람별 ‘정밀치료’가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아직은 피부에 닿을 정도로 효과가 높지 않았던 것도 사실이다. 생물정보학연구실은 전국민 ... ...
이전
557
558
559
560
561
562
563
564
5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