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물질
"(으)로 총 8,140건 검색되었습니다.
장기이식용 돼지 복제 성공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transferase)를 생산하는 유전자다. 따라서 이 유전자를 제거해 거부반응의 표적이 되는
물질
이 근본적으로 차단된다면, 인간은 돼지의 장기를 이식받더라도 초급성 거부반응을 보이지 않는다는 원리다.바이러스 장벽 넘어야하지만 이번 연구성과로 이종 간 장기이식의 거부반응이 모두 해결된 것은 ... ...
과학논술로 미래 내다보는 안목 형성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관찰할 수 있는 연소현상 대부분이 높은 열을 내기 때문이다.하지만 연소현상은 탈
물질
과 불이 붙기에 충분한 양의 산소가 있고, 불이 붙기 위한 최소 온도인 발화점 이상이면 일어날 수 있다. 때문에 아리스토텔레스가 차갑다고 표현한 물 속에서조차 충분한 양의 산소만 공급되면 탈 수 있다. ... ...
해리포터 vs 반지의 제왕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믿었다. 비록 연금술은 실패했지만 연금술사들은 연구와 실험의 과정에서 여러 화학
물질
을 발견했다. 그리고 영구기관이 현대 열역학의 기본 원리들을 이끌어낸 것처럼 연금술은 현대 화학의 모태가 됐다. 현대의 과학자들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적도 현자의 돌과 다르지 않다. 무한한 ... ...
두명의 과학자와 결혼한 여성 - 마담 라부아지에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이론인 필로지스톤설에서는 물체가 타는 현상인 연소를 물체로부터 필로지스톤이라는
물질
이 방출되는 것으로 설명했다. 하지만 연소 이전과 연소 이후에 물체의 총 무게를 정량적으로 측정한 라부아지에는 연소 후의 무게가 더 증가한다는 사실을 밝혀냈고, 그것은 바로 물체가 공기중의 산소와 ... ...
사람의 혀를 대신할 전자혀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마찬가지로 전자혀에 있는 4가지 센서가 나트륨, 염소, 칼슘 등 식품에 들어있는 각종
물질
에 반응한다. 센서에서 나온 신호는 맛을 나타내는 그래프의 좌표 위에 점으로 표시된다.예를 들어 단맛은 그래프에서 위의 왼쪽, 신맛은 위의 오른쪽 등에 나타난다. 증류수와 석수의 경우 실제 사람이 맛을 ... ...
2 칩 속으로 들어간 생물학 실험실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분석 디바이스를 발표했다. 그리고 1981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에서 미세 채널에 의해
물질
을 분석해내는 캐필러리 전기영동(CE) 칩을 발표하지만 큰 관심을 얻지 못했다.이후 1994년 미국 오크리지 국립연구소의 마이클 램지 연구팀이 미량의 샘플을 분리해내는 마이크로 채널 칩을 개발하기에 ... ...
줄기세포의 새로운 보고 탯줄과 태반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다양한 생체
물질
로 가득하다. 오래전부터 과학자들은 태반에서 무언가 신비스런
물질
을 찾아내고자 했다.카를로스 미야레스 캬오 박사팀이 주축이 된 쿠바의 국립생명과학연구소 태반요법센터에서 20여년 간 사람 태반 연구를 통해 개발된 화장품은 주름 개선과 뛰어난 피부재생, 미백 효과로 ... ...
차가운 과일이 더 달콤한 이유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가능하다. 이성질체란 화학식은 같아도 구조가 달라 물리적 또는 화학적 성질이 다른
물질
을 말한다. 고리 모양의 과당 분자는 항상 일정한 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사슬 모양으로 풀렸다가 다시 다른 구조의 이성질체로 쉽게 바뀌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이 중 베타형 이성질체가 ... ...
반
물질
을 로켓 연료로 사용하면?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한편 반
물질
은 10-15년 정도 지나면 병을 치료하는데 유용할 전망이다. 과학자들은 반
물질
이 암 종양을 죽이는데 X선보다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 ...
통증 관여하는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역할을 한다. 다이노르핀은 통증이 발생하면 몸속에서 이에 대항하기 위해 만드는
물질
이다. 그런데 DREAM 유전자 때문에 충분한 양이 만들어지지 못하고, 결국 환자는 통증에 시달리게 된다는 것이다.연구팀은 이를 증명하기 위해 쥐의 DREAM 유전자를 제거했다. 그러자 쥐의 척수에서 상당한 양의 ... ...
이전
557
558
559
560
561
562
563
564
5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