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6 광자공학재료 광컴퓨터가 탄생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단계는 전자소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 광소자만으로 된 집적회로의 시대이다. 광소자나
빛
의 전송로를 구성하는 재료 그리고 그것들의 제작방법은 앞으로 개량을 거듭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광자공학재료의 신뢰성도 대폭 개선되어 Ⅲ-Ⅴ족반도체로 된 소자의 가격도 떨어지게 될 것으로 ... ...
액정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가장 실용적이다. 분자배열이 콜레스테릭상(相)인 액정중에는 온도에 따라 통과하는
빛
의 파장을 민감하게 바꾸는 것이 있다. 그러면 인간의 눈에는 액정의 색이 변화되어 보인다. 이것을 금속표면에 칠해서 가열하면 내부의 균열존재여부를 알 수 있다. 또 이 액정으로 잉크를 만들어 수영복에 ... ...
PART5 전자재료 실리콘 시대가 붕괴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디스크 상의 한점에 레이저
빛
의 펄스를 쪼이는 것이다. 레이저
빛
은 이 점을 가열시키고 자계가 이곳을 자화한다. 이렇게 되면 헤드 없이도 자기디스크에 비해 어마어마한 양의 정보를 기억시킬 수 있고 또한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 ...
PART1 하이테크에서의 일본의 기술력 세계제일은 시간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선두경쟁에 뛰어들었다. 1979년 석영섬유의 이론 한계치에 근사한 0.2dB(1km당
빛
의 투과율 97.6%)의 극저손실 광섬유를 개발, 10년 가까이 지속되었던 이 분야의 기술개발경쟁에 종지부를 찍었다.이를 가능하게 했던 것은 미국의 MCVD법과는 다른 독창적인 VAD법. 이는 연속적 생산이 가능하고 투명도를 ... ...
인체 내부를 들여다보는 내시경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안팎이다.연성내시경은 광섬유로 돼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자유자재로 구부릴 수 있으며
빛
을 그대로 전달하는 광섬유의 특성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도 내부에서 관찰된 상(像)을 외부에서 정확히 볼 수 있다.연성내시경은 끝부분에 광원장치가 부착돼 있으며 대물렌즈가 달려있다. 따라서 외부의 ... ...
고성능 256KS램 개발 주역 김 창수 박사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이번 패스트2백56KS램 개발기술은 1MD램 양산체제를 갖출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요즘 매스컴에 자주 오르내리는 과학기술용어 가운데 첫 손가락에 꼽 ... 개인의 노력만 갖고 되는 것은 아니지만 탄생된 스타를 국제무대에 내놓아 더욱더 그
빛
을 발하게 하는데 그의 역할은 무척 클 것 같다 ... ...
PART2 로보토피아의 실현 새로운 산업사회와 메카트로닉스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데블'(Devol)씨에 의해 처음 고안 되었지만, 한동안 미국 경영인들에게 외면당해
빛
을 보지 못하다가 1967년 일본의 '가와사키'중공업이 이 로보트를 일본에 수입, 전파 시킴으로써 본격적으로 로보트시대가 열리게 되었다.그 후 메카트로닉스 기술의 가속적 발전과 더불어 사회적인 제반 여건의 ... ...
눈은 왜 육각형 모양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결정(結晶)이다. 이를 눈결정이라한다. 눈결정은 매우 섬세한 구조를 이루고 있어서
빛
이 반사하거나 굴절할 수 있는 면을 무수히 가지고있다. 그 모양은 침상(針狀), 각주상(角柱狀), 판상(板狀) 등 여러가지다. 크기는 보통 2mm정도로 내릴때 서로 엉겨 눈송이를 이룬다. 눈송이의 크기는 보통 1cm ... ...
생체전자공학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비등점 즉 77˚K정도까지 올릴 필요가 있다.또한 많은 구멍을 뚫는 데 필요한 파장의
빛
을 광범위하게 발산하는 고능률 레이저가 개발될필요가 있다.많은 구멍을 효율적으로 뚫으려면 재료선택도 중요하다. 각각 구멍의 폭이 좁아져야 된다. 속에 녹아들어가는 분자뿐 아니라 매질이 되는 유리도 ... ...
주사형 터널링 전자현미경(STM) 육안으로 원자를 본다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노력에 비유할 수 있다.원자의 구조를 탐색하는 것이 처음으로 가능했던 것은,
빛
이라는 어떤 종류의 에너지가 입자와 파동의 두가지 성질을 모두 가진다는 양자역학적 발견이 있고 나서였다. 1927년 벨 연구소의 '데이비슨'과 '가머'는 전자의 파동성을 확인하고, 고에너지의 전자의 파장이 ... ...
이전
556
557
558
559
560
561
562
563
5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