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한민국
코리아
korea
대한
남한
Korea
대한 민국
스페셜
"
한국
"(으)로 총 679건 검색되었습니다.
“융합형 뇌 연구는 시대의 흐름…대형 연구소 세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의대 약리학교실 교수 2005년~현재 국제인간프론티어과학기구 본부이사 2008년~현재
한국
뇌연구원설립추진기획단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와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지원을 받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미래 생명공학정책 설립을 위한 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 ...
“바이오기술 2012년까지 R&D 15%로 확대…”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바이오산업단지의 발전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첫 패널로 참석한 이상원
한국
보건산업진흥원 수석연구원은 “성공적인 클러스터가 되려면 먼저 앞선 핵심기술을 보유한 주체와 함께 사업화 능력이 뛰어난 기업, 클러스터간 네트워크를 유지하는 전문 지원조직이 필요하다”고 ... ...
“유전체 연구분야 국가위상 높여야…통합조정기관 설립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뛰어난 연구자들이 함께 모여 특화된 연구를 추진하는 시스템이 필요해요. 이 분야만은
한국
이 최고라고 인정받을 수 있는 분야를 키워야 하는 거죠.” 미국 샌디에이고에 있는 스크립스 연구소는 해양학이나 면역학에 특화됐다. 생물 전 분야가 아닌 특정 분야에 집중하면서 해당 분야에서 ... ...
1억원짜리 독성시험 760만원에 해결...“효과적 지원이 신약사업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시스템 강화. ④임상시험 인프라 강화=국가 지원보다 민간의 CRO 능력을 높이도록 지원.
한국
·중국·일본 공동시험 인프라 구축 등 외국 전문인력 및 기업 연계. 임상 이행연구 강화. ※ 이 좌담회 시리즈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의 공동기획에 의해 취재, 보도되고 있습니다 ... ...
“‘내셔널 아젠다’ 집중하면
한국
BT 미래 밝아”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2006~2007 CJ(주) 부사장/바이오고문 2008.1~7 (사)
한국
공학교육인증원 행정부원장 2008.8~현재
한국
생명공학연구원 원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지원을 받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미래 생명공학정책 설립을 위한 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무단 전제, 재배포를 ... ...
현장의 목소리로 들어본
한국
생명공학의 미래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연재합니다. 이번 기획은 국내 생명과학자와 과학계 오피니언 리더의 목소리를 통해
한국
생명공학의 미래를 내다보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지금까지 정부의 정책 연구는 대부분 몇몇 전문가들의 소규모 자료조사를 통해 이뤄졌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정책연구 결과가 ... ...
“
한국
나노산업엔 디딤돌 필요… 색다른 관점으로 상용화 이끌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늘고 있는 것입니다.” ● 원천기술을 상용화로 이끄는 별도의 플랫폼 필요 박 단장은
한국
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광촉매인 이산화티타늄을 꾸준히 연구해온 인물이다. 순수 연구자의 길을 걷던 사람이 산업통상자원부(지식경제부)의 기업나노지원사업인 ‘나노융합2020’ 사업단장을 맡게 된 ... ...
나노 원천기술 개발 비결은? “공동연구가 해법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지적을 받는 경우도 왕왕 있다. 12일 대전
한국
생명과학연구원(생명연)에서 만난 정봉현
한국
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나노연구센터장은 나노기술이 이런 지적에 받는데 대해 불만을 표시했다. 나노기술은 사실상 ‘만능기술’로서 대우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생명연의 나노분야 연구를 총괄하는 ... ...
세상을 바꾸고, 미래를 선도하는 혁신기술_반도체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1948년, 트랜지스터의 발명은 전 세계를 요동치게 만들었고 이후 IT업계의 판도를 완전히뒤바꾸어 놓았다. 집적회로 개발 이후 반도체 기술은 빠 ... 기술적 토대를 완전히 바꾸어놓을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 수 있습니다. 우수한
한국
의 인재들이 새로운 혁신을 이루기를 기대합니다.” ... ...
KAIST 유일의 축구 동아리 허리케인(HURRICANE)
KAIST
l
2013.04.30
한국
인이 가장 좋아하는 스포츠 중 하나인 축구. KAIST 학생들 역시 축구를 좋아하고 즐긴다. 그 중심에는 27년 역사의 단 하나뿐인 KAIST 축구 동아리, 허리케인(HURRICANE)이 있다. 2012년도 허리케인 회장을 통해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Q1 간단히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 KAIST 축구 동아리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