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래
밑
뉴스
"
하
"(으)로 총 1,483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정부의 과학기술계 비정규직 해결의 모순
2020.12.17
모두가 무시
하
는 이 기초연구가 인간의 시간인지를 이해
하
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주장
하
고 다닌다. 과학자가 되는 새로운 방식의 플랫폼, 타운랩을 준비 중이다. 최근 초파리 유전학자가 바라보는 사회에 대한 책 《플라이룸》을 썼다. ... ...
네이처 ‘올해의 10대 과학 인물’
동아사이언스
l
2020.12.16
질병예방통제센터(CDC) 차기 센터장 로셸 발렌스키와 금성에 거주
하
는 생명체 여부를 연구
하
고 있는 제인 그리브스 영국 카디프대 교수도 함께 선정됐다. 네이처 제공 ... ...
[전문용어의 벽, 어떻게 허무나](
하
) '프랑켄푸드'의 파급 효과…과학자와 대중의 거리 좁히기
동아사이언스
l
2020.12.12
기간에 코로나19에 감염된 사람의 수로 이를 통해 전체 인구의 발병률을 가늠할 때 사용
하
는 용어다. ※이 기사는 문화체육관광부와 국어문화원연합회의 '쉬운 우리말 쓰기' 사업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 ...
전국 선별진료소서 무료검사 실시…수도권 150곳에 임시 선별검사소 설치
동아사이언스
l
2020.12.11
지역 위험상황에 따라 단계적으로 배치한다. 윤 방역총괄반장은 “보건소별 방역관 지휘
하
에 신속한 접촉자 조사와 자료관리 업무,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운영지원 업무 등을 수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중환자 계속 느는데 수도권 병상 9개뿐..."체육관 활용한 대형임시병원 구축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0.12.09
코로나19 중환자가 증가
하
는 가운데 이들의 병상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 연합뉴스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확진자가 늘어나 ... 있다"며 "수도권에 밀집된 민간 상급종합병원부터 중증 환자 대응을 위한 병상을 제공
하
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 ...
우주탐사선 기록 제조기
하
야부사2
동아사이언스
l
2020.12.08
탄소질 류구에 착륙
하
는 소행성 탐사선 '
하
야부사2' 상상도. JAXA 제공 지구에서 3억km 떨어진 소행성 '류구'의 시료를 담은 캡슐이 6일 오전 ... 처음 지구를 떠났을 때의 연료를 절반밖에 쓰지 않았다.
하
야부사2의 1009KY26에 도착
하
는 날짜는 현재 2031년 7월로 예상된다. 대략 10년 정도가 남았다 ... ...
사회 발전 막는 '국가 난제' 해결 방안 모색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8
온라인 생중계로 진행한다. 유튜브나 페이스북에사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을 검색
하
면 시청할 수 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가 2019년 선정한 39개의 국가 난제. STEPI ... ...
스페이스X 유인우주선·화물선,동시에 ISS 머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7
허가
하
지 않았지만, 이번에 최초로 승인했다. 이번 비행은 팔콘9의 100번째 비행이기도
하
다. 카고드래건2는 ISS에서 35일 동안 머물다가 고장이 났거나 쓸모없어진 장비를 싣고 지구로 귀환할 예정이다. 카고드래건2 발사 장면(발사 시작 21:00). 출처: https://youtu.be/4xJAGFR_N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잘못된 정보에 휘둘리지 않으려면
2020.12.05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대학 졸업 후 한참 연락이 안 되었다가 오랜만에 소식이 들려온 친구가 있다. 수상한 종교단체에서 활동
하
고 있다고 했다. 한동안 힘든 일들을 겪고 방황
하
...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에서 자기 자신에게 친절해지는 법과 겸손, 마음 챙김에 대한 연구를
하
고 있다. ... ...
노벨물리학상·007시리즈 배출한 아레시보 전파망원경 세월 앞에 무너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2
회전
하
는 중성자별인 쌍성 펄서를 발견했다. 이 발견을 토대로 쌍성의 공전 주기가 감소
하
고 있으며, 이 감소율이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 예측과 매우 잘 일치한다는 사실을 확인해 1993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붕괴된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의 모습. 출처: 유튜브 채널 D.A.S. DRONES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