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향
여파
효과
반향
뉴스
"
영향력
"(으)로 총 901건 검색되었습니다.
뇌과학자-공학자 머리 맞대고 인체 ‘블랙박스’ 뇌 비밀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7
발견을 가속화하는 시대에 공학자들이 아무도 쓰지 않을 기술을 개발해서는 아무런
영향력
을 발휘하지 못한다”며 “‘고객’인 뇌과학자와 긴밀히 협조하며 요구를 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뇌과학자와 공학자들은 이제 수시로 만나며 협력 연구를 늘리고 있다. 한국에서 처음 열린 ICAN도 그 사례 ... ...
[표지로 읽는 과학] 통합으로 번성한 유럽 과학기술, 갈림길에 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5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다. 네이처는 유럽 대륙의 연구는 여전히 높은 인용수를 갖고
영향력
을 유지하고 있지만 세계 과학과 연구비 지출에서 비중이 줄어들고 있다고 분석했다. 2008년 있었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스페인과 같은 국가들이 이전의 연구 지출 수준과 과학자 수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보이지 않는 기술자
2019.05.24
평가할 방법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노벨상 위원회는 과학 논문을 기준으로 그
영향력
과 기여를 평가하며 오래된 과학계의 관행 속에서 기술자들은 논문에서 제외되어 왔기 때문이다. 현대 생물학 실험실은 기술직 혹은 테크니션이라 불리는 직업군이 없으면 기능할 수조차 없다. 하지만 역사 ... ...
뇌 신경공학에도 '무어의 법칙'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2
“공학자가 만약 자신들끼리 연구해 아무도 쓰지 않을 기술을 개발하면 임팩트(
영향력
)가 없다. ‘고객(뇌과학자)’이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들어야 임팩트 있는 연구를 할 수 있다. 그게 내가 IPAN을 시작한 이유”라고 강조했다. 윤 교수가 뇌공학과 뇌과학 연구 및 교육의 가교 역할을 자청한 ... ...
재료과학 분야 세계적 학술지 UNIST에 주목
동아사이언스
l
2019.05.17
창간된 어드밴스드 머티리어즈는 재료과학 분야를 다루는 세계 정상급 학술지다. 2017년
영향력
지수(IF)가 21.950에 이르는 해당 분야 1~2%에 속한다.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가 특별호를 통해 국내 대학의 연구를 다룬 경우는 서울대를 이어 두번째다. 특정 대학이나 기관을 다룬 경우는 이번 호를 ... ...
KIST, 용역직 출연연 공동자회사 참여 합의…실타래 풀리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5.17
합의를 이끌어내기가 쉽지 않다는 전망도 나온다. 대전 소재 기관들은 공공연구노조의
영향력
이 크다. 공공연구노조는 공동자회사보다는 직접고용안을 고수하는 강경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초 21개 출연연이 마련한 공동자회사의 구체적인 운영 방안이 현재 ... ...
UNIST, 3년 연속 ‘라이덴랭킹’ 국내 1위
동아사이언스
l
2019.05.16
평판도, 졸업생 평가 등 주관적 요소가 포함되는 다른 대학평가와 달리, 라이덴랭킹은
영향력
이 높은 논문의 비율을 기준으로 평가한다. 대학이 가진 연구 성과의 질적 우수성을 중점적으로 보는 것이다. 올해에는 전 세계 최근 4년간(2014~2017년) 국제학술지에 논문을 1000편 이상 발표한 대학 총 96 ... ...
가장 위험한 키스
팝뉴스
l
2019.05.14
돌아다니면서 낭만적인 사진을 촬영해 인스타그램에 공개하고 있다. 주목도도 높고
영향력
도 높은 인스타그램 인플루언서인 것이다. 그런데 위 사진은 나쁜 반응을 일으키고 있다. 두 사람은 스리랑카에서 달리는 기차 밖으로 몸을 내밀고 키스를 했다. 요즘은 SNS에서 주목받기 위해 위험한 ... ...
어벤져스 아이언맨의 초절정 인기
팝뉴스
l
2019.05.09
파워와 인기를 실감하게 된다고 말한다. 영화의 주요 여성 배우들을 다 모아 놓은 그의
영향력
을 입증하는 사진이라는 것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 ...
유력 나노과학 학술지 KAIST 나노 연구에 주목
동아사이언스
l
2019.05.02
게재했다고 2일 밝혔다. ACS나노는 2007년 8월 첫 발간, 2017년 기준 피인용지수가 13.709인
영향력
있는 나노과학 분야 전문 학술지다. ACS나노에 소개된 사설 작업에는 홍승범·정우철·이혁모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가 함께 참여해 주목할만한 나노과학 연구 성과를 소개했다. KAIST는 지난 7년간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