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야외
자생
뉴스
"
야생
"(으)로 총 1,046건 검색되었습니다.
[애니멀리포트] 반려동물 고슴도치에게 겨울잠은 해가 된다
2019.05.04
전략입니다. 반려동물로 키우는 고슴도치에겐 겨울잠이 오히려 해가 될 수 있습니다.
야생
고슴도치는 겨울잠을 자기 전에 충분한 영양분을 섭취합니다. 하지만 매일 똑같은 양의 사료를 먹는 반려동물 고슴도치는 미리 살을 두둑이 찌워 놓을 기회가 없습니다. 영양분을 충분히 섭취하지 않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소로가 사랑한 월든 호수 모습을 바꾼 지구온난화
2019.04.30
소로에 대하여’라는 글이 함께 실려있다. 이 글에서 안젤로는 소로가 얼마나
야생
화 관찰에 몰두했는가를 아래의 일기 구절을 인용해 보여주고 있다. 이런 노력으로 모은 자료가 160년 뒤 나온 논문에 쓰일 걸 소로는 상상이나 했을까. “스스로 항상 아래쪽만 쳐다보고 시선을 꽃에만 가두는 ... ...
파리가 얼룩말 줄무늬 보고 도망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19.04.09
알려졌지만, 그 이유가 밝혀진 건 처음이다. 팀 카로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데이비스)
야생
동물·어류및보존생물학부 교수팀은 실외에서 얼룩말 3마리와 줄무늬가 없는 일반 말 9마리를 16시간 동안 관찰하고 영상으로 촬영했다. 그 결과, 얼룩말과 일반 말 주위에서 날고 있는 말파리의 수는 ... ...
철새가
야생
진드기 옮긴다?…베트남서도 SFTS 환자 첫 발생
연합뉴스
l
2019.04.08
SFTS 감염에 주의해야 함을 보여주는 연구결과"라며 "동남아 지역을 관광할 때도 숲속에서
야생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기피제와 긴 소매 옷 등을 준비하고, 급성 열성 질환의 증상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TV 제공 ... ...
'
야생
동물 천국' 세렝게티, 인간 활동으로 몸살
동아사이언스
l
2019.03.29
이상으로 주변의 인간 활동에 영향을 받는다”고 경고했다. 사이먼 음두마 탄자니아
야생
동물연구소장은 “이번 연구로 세렝게티를 둘러싼 인간 활동이 세렝게티에 연쇄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증명됐다”며 “탄자니아 정부는 국가적 차원에서 이 문제를 다룰 계획”이라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딸기가 지구를 한 바퀴 돈 사연
2019.03.19
크기를 부여한 칠레딸기는 18세기 초 칠레에서 프랑스로 가져간 종이다. 이 딸기는
야생
이 아니라 현지인들이 재배한 딸기로 보인다. 수백 년에 걸쳐 과일이 커지게 품종을 개량했다는 말이다. 남미에서는 유럽인이 들어오기 수백 년 전부터 흰딸기도 재배했다고 한다. 지난해 학술지 ‘사이언티픽 ... ...
음식 변화로 바뀐 안면구조가 F발음 낳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7
시대부터 농사를 짓고 불로 요리를 하게 된 점에 주목했다. 이때부터 인류는 날고기나
야생
과일처럼 질기고 단단한 음식보다는 농작물과 불에 익힌 요리처럼 부드러운 음식을 주로 먹어왔다. 연구팀은 이 때문에 인류가 주요하게 사용하는 저작방법이 달라지면서 안면구조도 함께 변했고, 새로운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인간은 본능적으로 괴담에 잘 빠진다
2019.03.16
보여주면 깜짝 놀랍니다. 한 번도 본 적이 없지만 두려워합니다. 타고난 본성입니다.
야생
에서 자주 접하는 위협에 대해서는 처음부터 공포 반응을 가지고 있는 편이 유리합니다. 그러나 보송보송한 토끼 인형을 보여주면 놀라지 않습니다. 전기 자극과 함께 토끼 인형을 보여주면 공포 반응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아한 도둑 파랑새 큰애니
동아사이언스
l
2019.03.09
것이다. 크리스티나 리엘 미국 프린스턴대 생태학및진화생물학과 교수팀은 파나마
야생
에서 11년간 큰애니를 관찰했다. 그리고 큰애니가 번식을 할 때 어미새들이 모여서 한 둥지에 낳거나, 또는 다른 새 둥지를 훔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큰애니는 보통 두 마리 이상이 모여 한 둥지에 알을 ... ...
한 세기 민족과 운명 함께 한 한반도 고유종 미선나무
동아사이언스
l
2019.03.02
다른 별개의 종이라는 것을 밝힌 연구에 참여하기도 했다. 당시 연구는 세계 처음으로
야생
식물의 유전체를 완전해독한 연구로 주목받기도 했다. 특산식물은 활용 측면에서도 가치가 높다는 주장도 나왔다. 생물자원을 활용할 때의 국가 간 이익을 공유하는 지침을 담은 나고야 의정서가 2010년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