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영
반영
반향
영향
성찰
고찰
숙고
뉴스
"
반사
"(으)로 총 958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3만6000㎞우주서 한반도 날씨를 감시한다 '천리안 2A호'
과학동아
l
2018.12.02
가장 먼저 펴진다. 위성 내 모든 전자장비에 전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태양전지판에
반사
된 태양빛이 온도에 민감한 기상 관측 장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쪽에만 설치했다. 본체 : 금색 다중열차단막(MLI·Multi Layer Insulation)으로 포장돼 있다. 내부에는 연료가 2t가량 들어있어, 이것으로 임무를 ... ...
[우주재난]예측불허 태양흑점 폭발 문명 위협하는 재앙이 되다(상)
동아사이언스
l
2018.11.28
약 2.3~3000메가헤르츠(㎒·1초당 100만 번 진동)까지의 단파장 대역의 전파는 전리층에서
반사
되는 성질을 갖고 있는데, 이를 통신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하고 있다. 선박이나 항공기에서 쓰는 단파통신은 태양폭발과 같은 우주재난이 발생하면 장애가 발생하기 쉽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현재 약 2 ... ...
초음파로 지문인식하는 메타렌즈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3
기술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모든 음파는 물체에 부딪힌 다음 그 정보를 담은 채로
반사
되는 소멸파를 생성한다. 소멸파는 거리에 따라 빠르게 세기가 감소한다. 정보도 사라져 버리는 것이다. 하지만 음향 메타렌즈에 통과시키면 정보가 없어지지 않고 이미지 형태로 만들 수 있다. 공진 ... ...
빛 마음대로 조절하는 ‘초박형 렌즈’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8.11.19
설계한 디스플레이 영상은 렌즈를 통과하며 의도에 따라 조절되고, 이것이 유리(차창)에
반사
되며 눈앞에서 입체로 변했다. 실제로 보니 몸이나 고개를 어느 정도 움직여도 영상이 유지됐고, 유리 밖 풍경과도 잘 어울려 어지럽지 않았다. 연구팀이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해 실제 화면에 입체 ... ...
[여기에 과학] 새에게 개기일식은 '큰 폭풍의 서막'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7
있는 레이더로 지상 0m부터 5000m 상공까지 레이저를 발사한 다음 살아있는 생물에서
반사
돼 오는 값을 본 것입니다. 개기일식이 최고조가 되기 전후 2시간씩 4시간 동안 이 값을 측정했고 19~20일과 22~23일 등 개기일식 당일을 기점으로 전후로 이틀간의 측정값과 비교했습니다. 개기일식은 낮의 대기 ... ...
카멜레온처럼 색깔 변하는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4
간격을 조절한다. 광결정은 특정 파장의 빛만
반사
시키는데, 광결정 구조의 간격에 따라
반사
시킨 빛의 색깔이 다르게 나타난다. 최근 이런 광결정 기반 색 변화를 모사하려는 연구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기존 기술로는 광결정 구조를 변화시키려면 액체 물질이어야만 가능했다. 단단한 껍질 ... ...
초저전력 스포츠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1
심박과 산소포화도 센서는 빛을 이용한다. 인공조명을 손목에 비춘 다음, 혈관에
반사
돼 나오는 빛을 분석한다. 혈관색이 변하는 주기를 확인하면 심박수를, 혈관의 색깔을 보면 산소포화도를 알 수 있다. 빛은 피부에서 산란하기 때문에 정확히 신호를 확인하려면 강한 빛이 필요하고 그만큼 ... ...
핵전쟁부터 AI까지 인류 생존 위협하는 10가지 위험
연합뉴스
l
2018.11.06
있다면 파리협정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태양 지구공학도 열을 우주로
반사
해 지구의 기온을 낮출 수 있지만 CO2 흡수 지구공학과는 달리 위험한 측면이 있다. 실용화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된 것은 아니지만 오존층에 해를 가할 수 있으며 생태계를 교란시켜 식량공급에 차질을 ... ...
메타물질로 빛 주파수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4
표면에 빛의 파장보다 크기가 더 작은 특수한 무늬를 새겨 형상에 따라 부딪힌 빛이
반사
되는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전까지 메타물질 연구는 빛의 굴절률에 변화를 주는데 그쳤다. KAIST 연구진은 이런 메타물질 두 개를 동시에 사용해 빛의 속도를 높이거나 낮추도록 만들었다. ... ...
[화보]독도엔 누가 살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0.25
수면에 공기 주머니가 생긴다. 동굴 윗면에 거꾸로 자란 원통뿔산호가 공기 주머니에
반사
된 모습을 포착했다. 원통뿔산호 - 사진 김지현 박사 ● 김지현 박사 인터뷰 “독도 사랑은 독도를 아는 것에서부터!” 카메라에 담긴 독도의 모습은 하루 아침에 완성된 게 아닙니다. 김 박사님이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