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뉴스
"
미생물
"(으)로 총 1,618건 검색되었습니다.
침팬지 벌레 잡아 다친 상처에 바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08
결론을 얻었다고 7일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 동물은 균이나
미생물
과 싸우기 위해 식물이나 흙 등을 활용하기도 한다. 침팬지도 구충제 역할을 하는 식물 잎을 먹기도 한다. 그러나 동물이 치료를 위해 동물을 활용하는 사례는 처음 관찰됐다. 피카 연구원은 “병균이나 ... ...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세기의 특허 전쟁 2라운드 불붙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07
교수 연구팀은
미생물
의 면역 시스템인 크리스퍼와 절단 단백질 캐스나인(cas9)을 활용해
미생물
유전자를 정밀 교정할 수 있는 크리스퍼-Cas9를 고안해 2012년 6월 28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당시 논문에서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가 약물 개발에 필수적인 진핵세포에서 작동할 수 있는지를 보이지는 ... ...
반년간 긴 겨울잠 자면서 굶어죽지 않는 비결은 '장내
미생물
'
동아사이언스
l
2022.02.07
내장에서 다시 흡수하도록 했다. 다람쥐의 겨울잠이 길어질수록 요소 분해효소를 만드는
미생물
유전자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요소를 재활용하는 다람쥐의 전략을 연구하면 근위축 장애와 같은 질환에 활용하거나 미세중력 노출로 근손실이 발생하는 우주비행사의 근육을 ... ...
어린이는 오미크론 변이에 취약할까...어린이 입원 비율 높아져
동아사이언스
l
2022.02.06
면역 반응을 약화시키는 돌연변이가 발견됐다고 밝혔다. 면역체계가 접하지 못한
미생물
에 강력하게 반응하는 선천 면역 반응은 성인보다 어린이가 코로나19에 강한 이유로 꼽혀 왔다. 그러나 오미크론 변이가 이 면역체계를 피할 수 있다면 어린이도 안심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반면 백신 접종 ... ...
코로나 감염에 백신 접종 더하면 ‘슈퍼면역’...풍토병화 예상도
동아사이언스
l
2022.01.28
바뀔 수 있다는 관측도 조심스럽게 나온다. 피커두 타페세 미국 오리건보건과학대 분자
미생물
학 및 면역학 교수팀은 이같은 분석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면역학’에 26일 공개했다. 연구팀은 미국 화이자 백신을 접종한 오리건보건과학대 관계자 104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 ...
고대 화성 적어도 약 20억년 전까지 물 갖고 있었다
연합뉴스
l
2022.01.27
액체 상태 물의 존재를 입증하는 첫 광물 증거로 제시했다. 이는 화성에 고대
미생물
이 존재했다면 언제까지 생존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새로운 의문을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지적됐다. 연구팀은 분광 이미지로 광물 분포를 확인할 수 있는 MRO의 '크리즘'(CRISM) 장비를 이용해 점토가 많은 남반구 ... ...
[인포그래픽] 오미크론 확산에 따른 코로나19 진단검사 이렇게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27
감소 효과 30%로 하향 국내서 개발하는 코로나19 치료제 오미크론 변이도 대응한다 장내
미생물
'먹는 코로나19 백신' 희망될까 독감·결핵 백신 코로나19 예방 효과 있다 전망 오미크론, 코로나19가 인류와 공존 위한 풍토병 첫 신호탄 가능성"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 속 '우려반 기대반' "코로나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생물의 이름에 남겨진 보통과학자의 기억
2022.01.27
300만에서 1억 종으로 다르지만, 여기에 진정한 지구의 지배자인 박테리아를 더하면
미생물
의 종류만 1조가 넘어갈 것이라고 추측이 가능하다. 만약 추정치를 멸종한 생물 모두로 넓히면 수백조가 넘는 생물이 지구 상에 살아왔고, 또 살아가고 있는 셈이다. 서구 기독교 신화는 최초의 인간 아담이 ... ...
화성 탐사 로버가 찾아낸 가벼운 탄소…생명체 존재 증거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1.18
다만 큐리오시티가 아직 지표에서 고대
미생물
의 흔적을 발견하지 못한 만큼 지하
미생물
이 만일 메탄을 방출했다면 이를 자외선이 분해해 탄소-12가 대기에 포함됐을 수도 있다고 봤다. 하지만 자외선이나 성간 구름 등 비생물학적 원인으로 탄소 동위원소가 생겨났을 가능성도 고려해야 ... ...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검사 방식 변경 논란 왜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1.17
방법에서는 그렇지 못할 것으로 분석했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달 15일 국제학술지 '임상
미생물
학지'에 실렸다. 여러 연구결과가 나오는 가운데 전문가들도 비인두 검사를 대체할 만큼 구인두 검사가 효율적인지에 대해 쉽게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메리 헤이든 미국 러시대 의대 감염내과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