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굵기
층
겹
굵음
두꺼움
밀집
뉴스
"
두께
"(으)로 총 1,14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의 생각 읽고 뇌 질환 치료 돕는 초소형 ‘브레인칩’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빛이 나고 주사바늘처럼 약물이 나오는 구조다. 기존에 개발된 브레인칩과 비교해
두께
가 5분의 1 수준으로 심을 때 뇌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했다. 연구팀은 “뇌조직 손상이 줄어들었음을 조직 면역 반응 염색을 통해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생쥐의 기억을 담당하는 뇌 속 해마 부위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달걀 감별하는 시대
2019.08.21
해결하기 위해 난각막은 남겨두고 겉의 껍질만 없애는 방법을 개발했다. 난각막은
두께
가 6㎛(마이크로미터. 1㎛는 100만분의 1m)에 불과하기 때문에 근적외선이 투과하면서도 알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현재 연구자들은 AAT라는 회사와 손을 잡고 시제품을 만드는 단계에 있다고 한다. 달걀에 전혀 ... ...
팔라듐 이용해 수소생산 효율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있는 팔라듐 포일막의 5분의 1 수준인 5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0만 분의 1m) 이하의
두께
로 코팅해도 우수한 수소 정제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생산·정제 기술은500~550℃에서 가동이 가능하며 별도의 정제 공정 없이도 합성가스 중 수소만을 선택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것으로 ... ...
콘크리트 이송관 수명 늘린 중소기업, 재료硏 도움으로 해외 진출
동아사이언스
l
2019.08.14
견디는 고경도 육성층을 형성한 일체형 구조다. 제품을 생산할 때 고경도 육성층의
두께
를 제어할 수 있다. 마모가 심한 부분을 두껍게 해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다는 얘기다. 또 기존 이송관의 한계를 극복해 콘크리트를 총 8만 세제곱미터 이상 이송할 수 있을 만큼 수명을 늘렸다. 충격과 ... ...
비싼 희토류 사용 줄인 값싸고 강한 차세대 자석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12
100만 분의 1m)인 사마륨-코발트 나노섬유를 만들었다. 여기에 연자성 철-코발트를 수 nm
두께
로 코팅해 효율 높은 새로운 자석을 개발했다. 소결형 교환스프링자석 제조 공정을 단계별로 표현했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연구팀의 성능 실험 결과 이 자석은 기존 희토류 자석에 비해 단위 부피당 내는 ... ...
원자력연구원, 방폐물 분석 오류로 10억 원 과징금
동아사이언스
l
2019.08.09
한국수력원자력의 계획도 보고됐다. 지난달 한빛 4호기 원자로 격납건물에서 건물
두께
에 불과 11㎝ 모자란 깊이 157㎝의 빈틈(공극)이 발견되면서 원전 안전에 의한 우려가 제기됐다. 원안위에 따르면 지금까지 원전 공극은 총 240개가 발견됐다. 이중 한빛 3,4호기에서만 공극이 200개 발견됐다. ... ...
폭염 속 전기 없어도 시원한 빌딩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9
00만분의 1m)
두께
의 초박형 물질에 이산화규소와 산화하프늄을 불규칙적인
두께
로 덧씌어 마치 거울과 같은 초박형 다층구조 물질을 개발했다. 이 물질의 내부 구조는 특정 주파수 적외선을 외부로 내뿜도록 설계했다. 연구진은 이런 방식으로 열 방출과 태양빛 반사를 결합해 낮 시간 ... ...
스마트폰앱 버튼 누르니 뇌에 칩 심은 쥐가 움직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8
KAIST 제공 연구팀은 중합체 미세유체관과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를 결합해 머리카락
두께
의 유연한 탐침을 만들었다. 이를 소형 블루투스 기반 제어 회로와 교체 가능한 약물 카트리지와 결합했다. 그런 다음 스마트폰 앱을 통해 무선으로 마이크로LED와 약물전달을 제어하는 무게 2g의 뇌 이식용 ... ...
백금촉매에 탄소껍질 씌워 수소차 핵심 연료전지 수명 4배 늘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7
결합해 대량생산에 용이한 열처리 단일 공정을 통해 약 1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
두께
의 탄소껍질로 둘러싸인 균일한 백금 나노촉매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우선 아닐린이 백금 이온과 항상 일정한 비율로 결합해 화합물을 형성한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백금 촉매의 탄소 나노캡슐화에 ... ...
박호석 성대 교수 8월의 과학기술인상…‘포스포린’의 에너지 저장 가능성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19.08.07
데 성공했다. 인(P)에 고온고압을 가하면 흑린이 되는데 이 흑린 표면을 원자 한층
두께
로 떼어낸 2차원 물질이 포스포린이다. 포스포린은 상용 흑연보다 전기용량이 7배나 높지만 전기전도도가 낮아 고용량 발현이 어렵고 충방전 안정성이 떨어져 에너지 저장 소재로 활용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