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뉴스
"
가능성
"(으)로 총 10,79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게시판] '개척자들 달의 문을 열다, 다누리의 2년!' 토크콘서트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2.11
단위 물질로 전환하는 플라즈마 공정 등 핵심 기술들을 공개하고 기업 관계자들과 협력
가능성
을 논의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1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앰배서더 호텔에서 올해 글로벌 연구개발(R&D)을 통해 창출된 우수성과들을 공유하고 확산하기 위한 '2024 글로벌 R&D 성과공유회'를 ... ...
첨단산업 필수 희토류 회수하는 고성능 흡착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11
구축과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이산화탄소 포집 분야에도 적용
가능성
이 높을 것으로 예상했다. 정 책임연구원은 "새로운 캡슐형 흡착 소재는 희토류 금속의 자원순환시스템 구축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흡착 소재를 대형화하고 물속과 대기 중 오염물질 제거 등 다양한 환경 ... ...
"도전혁신형 R&D 한다는데 구체적인 제도 설계는 부족"
동아사이언스
l
2024.12.11
및 평가 체계는 도전혁신형 R&D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해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할
가능성
이 크다"고 별도 관리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보고서 '과학기술정책 Brief' 제41호 표지. STEPI ... ...
반도체 공정으로 차세대 에너지 장치 효율·내구성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11
수소 기술은 전혀 다른 분야처럼 보이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두 기술을 융합해 새로운
가능성
을 확인했다”며 “이미 규모의 경제를 실현한 원자층 레벨의 첨단 반도체 공정 기술을 통해 에너지 소자 분야의 효율-내구성 간 딜레마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 ...
GPS 없이 자율 비행하는 드론, 실종자 수색 실증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12.11
자운대 솔밭공원에서 드론 3대를 활용한 자율비행 실증 시험을 수행해 현장 적용
가능성
도 확인했다. 실증을 통해 받은 피드백을 시스템에 반영해 보완할 예정이다. 2027년까지 시스템 개발을 완료해 산악지역 실종자 수색을 위한 시범 사업도 추진한다. 연구팀은 개발된 기술이 실종자·조난자 ... ...
"우주, 기존 예측보다 빠르게 팽창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우주를 나타낸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우주가 기존에 예측한 것보다 더 빨리 가속팽창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011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아담 리스 미국 ... 우주를 이루는 암흑 에너지, 암흑 물질의 성질 등 예상치 못한 변수를 계산하지 못할
가능성
이 있다는 것이다. ... ...
'생직교 화학 반응' 활용한 '암세포 표적 광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개발된 산소 비의존적 광촉매는 암세포의 에너지 대사 억제함으로써 획기적인 암 치료
가능성
을 제시한 사례”라며 “빛을 이용한 암 치료 기술에 중요한 진전을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지’에 지난달 30일 온라인 게재됐다. - pubs.acs.org/doi/full/1 ... ...
셀리드 "코로나19 백신 항원 플랫폼 기술, 日 특허 등록 결정"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후 스파이크 단백질이 체내에서 생성되면 퓨린 절단 부위가 체내 효소에 의해 절단될
가능성
이 높아지고 단백질의 체내 유효 기간이 짧아진다. 셀리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퓨린 절단 부위를 무력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그 결과 스파이크 단백질의 안정성을 높이고 발현도를 증진시키는 ... ...
천문학자부터 변호사까지…네이처 선정 올해 과학계 빛낸 10대 인물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면역세포를 이용하면 대량 생산할 수 있다. 상용화한 치료제로 자가면역질환 치료
가능성
을 제시한 것이다. 웬디 프리드먼 미국 시카고대 교수. 네이처 제공 웬디 프리드먼 미국 시카고대 교수는 지난 4월 제임스웹우주망원경(JWST) 관측 데이터로 새로운 '허블 상수'를 계산해 올해 과학계의 ... ...
일상 움직임으로 웨어러블 기기 충전하는 에너지 수확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수확 원리를 깊이 이해함으로써 설계 가이드라인을 도출할 수 있었고 이는 상용화
가능성
을 크게 높였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10월 19일 온라인 게재됐다. 10.1038/s41467-024-53235-z 일상적 움직임으로 에너지를 수확하는 기술이 도입된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