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한글"(으)로 총 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저와 저의 토론 '영웅이 과연 이 역사를 짊어지고 이끌어 나가는 것인가?'기사 l20140325
- 번 생각해 보세요. 만약 이순신 장군이 임진왜란 때 없었으면 우리는 일본에게 쫄딱 망했을 것이고 세종대왕이 아니었다면 우리는 이 한글을 쓰지 못합니다. 이렇게 영웅은 우리의 역사를 바꿔줍니다. 이상입니다. 반대 안녕하세요? 반대팀 입론자 김지우입니다. 저희 중장은 ‘민중이 역사를 이끌어 간다’입니다. 영웅이 역사를 이끄는 것이 아닌 민중이 역 ...
- 학교 도서실의 애용자가 되어보세요. 책벌레가 드리는 작은 팁기사 l20140321
- 수 있어요. 저의 경우는, 엄마가 책을 빌릴때 영어와 한글책의 갯수가 같지 않으면 책을 못빌리게 하셨어요. 어쩔 수 없이 영어와 한글 책을 같이 빌려 읽었는데, 그것이 영어공부에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여러분도 학교 끝나면 한번 학교 도서실에 가보세요. 많은 좋은 책들이 여러분을 반길 거여요 ... ...
- 거중기야 넌 누구니? 거중기와 도르래의 과학원리기사 l20140309
- 일한 만큼 돈을 주려면 얼마 만큼 일을 했는지 꼼꼼히 기록해야 했습니다. 농민과 노비들의 한글 이름이 적혀있는 기록서는 나중에 한글이름 연구에 큰 도움을 주기도 했답니다. 예를 들면 윤어떤놈, 박착한놈, 이작은놈, 김큰놈 같은 이름들이 있었습니다. 아마 거중기가 세상에 없었다면 우리의 멋진 문화재인 수원화성을 불 수 없었을 것입니 ...
- 한글의DNA를 찾아서(2)어린이과학동아 l20080930
- [소제시작]한글의 DNA 2_탁월한 정보화 DNA[소제끝] 한글은 정보를 전달하기에 뛰어난 DNA를 가지고 있어. 한눈에 많은 정보를 전달해 주고 가로로 써도 세로로 써도 쉽게 읽히거든. 또 한글의 조합 원리는 IT 시대에 필수품인 컴퓨터, 휴대전화 ... 쓸 것인지도 연구해야 하지요. 구두점이나 쉼표 등 한글 ...
- 한글의DNA를 찾아서(1)어린이과학동아 l20080930
- 으으~, 난 우주회의 의장인 외계인 1443호야. 우주회의가 열릴 때면 항성마다 제각각의 외계어를 사용해서 골치가 아파. 물론 최첨단 통역기가 있지만 가끔 최첨단 통역기가 먹통이 될 때면 정말 곤란하다구. 게다가 음성으로 회의 내용 ... 날며 울고 있는 장면을 떠올리는 것처럼 한글의 의성어와 의태어를 보면 동영상을 보는 것 같은 반응이 일어나 ...
- 일본까지 날아간 현수막?!어린이과학동아 l20070531
- 내려 보냈스무니다. 저기 보십시오!” 하늘이 감동했다니? 그러고 보니 바닷가에 현수막이 펄럭펄럭 떨어지고 있고, 그 현수막에는 한글로 ‘서영아 사랑해!’라고 써 있다. “닥터고글, 전 다나카 상이랑 사귈 맘이 전~혀 없어요. 그런데도 자꾸 다나카 상이 쫓아 다녔어요. 그래서 오늘은 싫다고 말하려고 만났다구요.” “서영 상, 하지만 서영 상이 말 ...
- 다무리아 마을에 나타난 악당 '무라카와 쓰지마'어린이과학동아 l20061031
- 빼놓은 것이다. 하지만 아무것이나 끼우는 게 아니라 자리에 맞는 특별한 밸브를 끼워야 한다. 무라카와 쓰지마는 각각의 밸브에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적고 물이 지나는 순서대로 어떤 말이 되도록 해놓았다. 어떤 밸브 가 어디에 들어갈지 맞혀 보도록 하자. mission 3 물탱크 짜 맞추기 자물쇠를 열고 수도관까지 연결했다. 이제 물을 마을로 가져 ...
- 세종대왕릉의 비밀 통로어린이과학동아 l20050927
- mission 3 자음 열쇠를 모아라~! 초상화가 이끄는 대로 따라가 보니 커다란 또 하나의 통로가 나타났다. 이번에는 기역에서 치읓까지 한글의 자음 열쇠가 놓여 있는 통로로, 각각의 자음 열쇠를 모두 모아 빠져나가도록 되어 있었다. 단 같은 곳을 두 번 지나서는 안 되고, 하나의 자음 열쇠라도 빼고 지나쳐도 안 된다. 또 열쇠가 아닌 다른 ...
- 우리를 위협하는 기상 현상 - 태풍 (4)어린이과학동아 l20050811
- ‘너구리’, ‘고니’, ‘메기’, ‘나비’등의 태풍 이름을 제출했고, 북한에서도‘기러기’등 10개의 이름을 제출했으므로 한글 이름의 태풍이 많아졌어요. 태풍과 토네이도의 차이점은 뭐죠? 바다에서 태어난 강력한 폭풍우가 태풍이라면 토네이도는 육지의 태풍이라고 할수 있어요. 주로 북아메리카에서 발생하는 토네이도의 지름은 100~500m에 이르고 ...
이전51525354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