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컴퓨터그래픽스
CG
그래픽
콤퓨타그래픽
그래픽스
컴퓨터
d라이브러리
"
컴퓨터그래픽
"(으)로 총 714건 검색되었습니다.
화면속에 뛰어들어 실제체험 느끼는 가상현실의 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아이폰을 쓴 사람이 가공의 집 안으로 들어가 수도꼭지를 틀면 물이 쏟아진다.얼마 전 국내에서 상영됐던 '토탈 리콜'(Total recall)이란 공상과학영화에서는 주인공의 과거가 헛갈리는 장면이 자주 나온다. 자신의 실제과거와 누군가가 주입시킨 '가상의 과거'가 겹치면서 큰 혼란에 빠져드는 것이다. ... ...
컬러인쇄 가능한 그래픽 워드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사임당에는 기존 글씨체 외에 「파도체」라는 독특한 글자꼴이 지원된다. 최초의 그래픽워드프로세서 '사임당'을 발표해 관심을 모았던 한컴퓨터연구소가 최근 기능이 향상된 1.5버전을 내놓았다. 사임당 1.5판은 △컬러지원기능 △새로운 글자꼴 '파도체'지원 △주소록기능 △다른 워드프로세서 ... ...
컴퓨터 그래픽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있다. 방공망에 첫 활용요즘은 그래픽 기술과 접목되지 않은 컴퓨터는 사라질 정도로
컴퓨터그래픽
은 그 영역을 활발히 넓혀가고 있다. 이전에는 값비쌌던 윈도우 제어용 그래픽 프로그램들이 이제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에 표준으로 장착되어 나온다.예를 들어 중형 이상의 시스템을 구입할 때 ... ...
(2) 「서비스 질」개선, 회원확보의 열쇠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뿐만 아니라 입체감까지 표현되어 코텔보다 훨씬 실감나게 통신대국을 즐길 수 있다.
컴퓨터그래픽
이나 미술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이 통신망으로 화상자료를 마음껏 주고받을 수 있다. 안방에서 화랑에 있는 미술작품을 감상할 시대가 온 것이다.IC네트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AT기종 이상의 컴퓨터와 ... ...
로봇 3형제의 묘기대행진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또 박람회장에는 우리나라 사람만 있는 것이 아니라 외국인도 많을 것이므로 레이저와
컴퓨터그래픽
을 동원, 사물의 소리 이미지를 영상화 시켜 보여줄 계획도 수립해놓고 있다. 아무래도 외국인들은 사물이 내는 소리에 익숙치 못하므로 꽹과리의 고저 강약을 영상화시켜 보조시스템으로 ... ...
(3) 정보 교환과 그룹지도 활발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PC서브 통신동호회로 3년의 역사를 가진 「셈틀 소리」와 작년말 경원대 연주회를 계기로 민간 BBS로 출발한 「소릿골」컴퓨터 사용자라면 누구나 컴퓨터가 할 수 있는 기능들에 대해 더 넓게, 더 깊이 알고싶어 한다.일반 사무용 프로그램이나 유틸리티는 많이 알려져 있고 관계서적도 많은 편이나, ... ...
확대축소가 자유로운 그래픽 에디터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일원이었던 김택진, 서울 법대 출신으로 고시공부를 마다하고 컴퓨터에 미친 김성수,
컴퓨터그래픽
에 일가견이 있는 하한수 등 쟁쟁한 프로그래머들이 한데 뭉친 한메소프트는 국산 소프트웨어개발에 새로운 바람을 일으켰다.지난 1월 15일 제품을 발표한 후 사용자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었지만 ... ...
마우스가 펼쳐내는 마술의 창(窓)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컴퓨터를 처음 배우는 어린이도 게임만큼은 쉽게 배워 즐긴다. 윈도우는 게임처럼 쉽게 익힐 수 있게 만들어진 프로그램이다. 인간을 위해 개발된 기계에 인간이 맞춰가야 한다면 잘못돼도 한참 잘못된 일이 아닐 수 없다. 인간을 위해 봉사하지 않는 기계는 있을 필요가 없다. 그런 의미에서 「사 ... ...
큰 글씨도 매끄럽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프린터마당을 이용해 프린터의 숨겨진 기능을 활용해 보자. 컴퓨터 이용자들이 초보시절에 가장 애를 먹는 부분 중의 하나가 인쇄(프린터)다. 어찌어찌해서 프로그램을 짜거나 문서를 작성했더라도 마음 먹은대로 인쇄가 되지않아 골치를 썩은 경험을 누구나 한두 번은 했을 것이다.엄희태씨(28, ... ...
컴퓨터 선거전략의 핵심참모로 큰 활약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개발해두었다가 데이터가 입력되는 즉시 화면에 표현한다.KBS 기술연구소 이종근 차장은 "
컴퓨터그래픽
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있어 지난 총선때만 하더라도 3차원 그래픽은 10% 정도밖에 활용되지 못했지만 올해에는 시각적으로 다채로움을 주는 3차원 영상기술이 개표방송의 성패를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