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찾기"(으)로 총 2,5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식물 속 동물 찾기] 줄기가 뱀처럼 자라는 '뱀딸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요즘 논밭과 숲, 들판의 양지바른 곳에 가면 도톰하고 둥근 빨간색 열매를 볼 수 있어요. 바로 ‘뱀딸기’지요. 뱀딸기는 산에 가면 흔히 보이는 산딸기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산딸기가 나무인 것과 달리 뱀딸기는 풀이에요. 또 산딸기가 꽃줄기마다 2~6개의 흰색 꽃을 피우는 반면, 뱀딸기는 꽃줄기 ... ...
- 어디에 쓰이는지 알면 깜짝 놀랄걸! 수학재밌데이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참가자 100여 명이 수학의 재미를 공감하는 시간을 가졌죠. 수학재밋네? #1. 최단경로 찾기가 원자력발전과 무슨 상관?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원용설 연구원은 여러 회사 사람들을 만나 그들이 가진 문제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 일이 많다고 합니다. 현장의 어려움을 수학 문제로 바꿀 수 있는지 ... ...
- 알고 리의 나 혼자 산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좋아하는 콘텐츠를 서로에게 추천하는 기술이에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사용자를 찾기 위해선 ‘유사도’를 구해야 합니다. 유사도를 구하는 방법은 유클리드 거리, 피어슨 상관관계, 타니모토 계수 등 다양하지만, 오늘은 ‘코사인 유사도’에 관해 설명할게요. 코사인 유사도는 두 벡터가 만드는 ... ...
- [화보] 생태연구자 봄을 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일어나서 가장 먼저 하는 일은 종족 번식이지요. 울음소리도 짝짓기를 할 짝을 찾기 위해서 내는 거랍니다.그런데 개구리와 같은 양서류의 짝짓기 시기가 점점 당겨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어요. 지구온난화로 봄이 일찍 오고 있기 때문이지요. 한국에서도 이런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 ...
- Google 진실을 말해줘~ 1만 년 걸릴 연산 200초 만에 한 거 실화임?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양자컴퓨터가 개발되면 초기에는 수학적 난제를 풀거나 암호해독, 신약 후보 물질을 찾기 위한 단백질 구조분석과 같은 특수 분야에 제한적으로 쓰일 것”이라고 설명합니다.양자컴퓨터와 함께 언급되는 양자통신 기술은 양자전송(quantum teleportation)이라는 이름으로 오래전부터 주목받고 ... ...
- 좌충우돌 보드게임 제작기수학동아 l2019년 11호
- 덕분에 성공적으로 도전을 마칠 수 있었답니다. 1단계. 보드게임 즐기며 형식 찾기 #규칙_찾기각자 경험한 여러 종류의 보드게임 중에서 가장 재밌었던 것 딱 세 가지만 떠올려 보세요. 예를 들어 부루마블, 젠가, 루미큐브가 떠올랐다면, 이 중에서 새로운 보드게임을 만들만한 놀잇감을 골라보세요 ... ...
- [알고리듬 시그널] 정보의 바다에서 데이터 찾기, 탐색 알고리듬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있어요. 여러분이 원하는 어떤책이든 읽을 수 있죠. 그런데 책이 많아도 너무 많아 찾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어요. 검색대 조차없다면 어떤 방법을 쓰면 될까요? 이럴 때 사용하는 방법이 검색대에 쓰이는 알고리듬인 ‘탐색 알고리듬’이에요. 현대 사회에서는 수많은 정보 중 원하는 정보를 ... ...
- 세포 15개면 잡아낸다 0.1ng의 과학, DNA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한계다. DNA 검사가 매우 강력한 증거라는 점은 명백한 사실이다. 만약 일치하는 프로필을 찾기만 한다면 틀릴 확률이 0%에 가까운, 거의 완벽한 증거다. 하지만 DNA 프로필을 항상 완벽하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증거물이 오래돼 부패했거나 수집된 증거가 부족한 경우, STR 마커를 일부만 ... ...
- 나는 입이 없다 그리고 나는 비명을 질러야 한다 vs. 아이, 로봇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위해 일하던 로봇들이 인간을 구속하고 통제하기 시작합니다. 스푸너는 음모의 원천을 찾기 위해 US로보틱스에 침투합니다. AM이 수많은 인간 중에서 이 5명을 괴롭히는 건 이들이 AM에게 의식을 준 장본인이기 때문입니다. 미소 냉전이 심화돼 제3차 세계대전으로 이어졌고, 미국과 소련, 중국은 ... ...
- 조상의 지혜로 만든 바다의 보물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쓰게 되겠죠. 전통지식을 모으는 건 지금 당장 과학적으로 옳고 그름을 가리거나 쓸모를 찾기 위해서만은 아니에요. 미래에 생물 자원을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한 투자이기도 하답니다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