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하"(으)로 총 2,779건 검색되었습니다.
- 네 감정을 맞혀볼까? 취조실에 나타난 표정분석기수학동아 l2017년 09호
- 표정 분석 결과, 임요환 선수 표정에 행복 비율이 처음엔 44.8%였으나 패배한 뒤 1% 이하가 됐습니다. 추억의 게임을 즐길 생각에 행복했지만, 막상 지고 나니 그 마음이 사라졌다고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꽤 그럴듯합니다. 그런데 감정을 숨겼다면 어떨까요? 2017년 2월호에 실린 이다솔 기자의 사진을 ... ...
- 여성 최초 필즈상 수상자 미르자카니 눈을 감다수학동아 l2017년 09호
- 4년에 한 번씩 열리는데, 하이라이트는 필즈상 시상식이다. 필즈상은 만 40세 이하의 수학자만 받을 수 있고, 세계수학자대회가 열리는 국가의 원수가 수상자에게 필즈 메달을 수여한다. 2014년 세계수학자대회 및 필즈상 시상식은 우리나라 서울에서 열렸다. 이날 4명의 필즈상 수상자가 나왔다. ... ...
- Part 1. Back to the Moon, 다시 불붙는 달 탐사 경쟁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오리온(Orion)’ 우주선을 2019년 달 궤도에 안착시키는 ‘탐사 임무(Exploration Mission)-1 (이하 EM-1)’을 계획하고 있다. 길이가 98m에 달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로켓 SLS의 첫 번째 임무다. NASA의 유인 탐사및운영위원회 윌리엄 게르스텐마이어 부위원장은 올해 5월 미국항공우주국(NASA) 홈페이지에서 . ...
- [Focus News] 햄버거병, 햄버거는 억울하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치료받은 환자 443명 중 24명(5.4%)이 HUS로 발전했다. 그 중 70.8%가 9세 이하의 어린이였다.O157이라는 낯익은 이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햄버거가 유일한 매개체가 아니다. 오염된 소고기가 주된 원인이지만, 살균되지 않은 우유, 조리도구나 요리사의 손등에 의해 2차적으로 오염된 채소 등 다양한 ... ...
- [수학뉴스] 수학의 변신은 무죄! 예술이 된 난제수학동아 l2017년 08호
- 111번을 반복해야 1이 돼요. 벨로스는 수학예술가 에드먼드 해리스의 도움을 받아 1만 이하의 자연수가 1이 되는 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그래프를 만들었어요. 어떤 수를 정하든 연결된 선이나 붙어있는 수를 따라 가면 1이 되는 과정을 볼 수 있어요. 마지막으로 그래프의 숫자를 없애고 숫자가 ... ...
- 본 色(색)을 드러내다수학동아 l2017년 08호
- 할 수 없으니까요.그래서 1931년 색, 빛, 조명의 표준을 관리하는 국제조명위원회(이하 CIE)는 ‘CIE1931 색공간★이라는 국제 표준을 만들어 발표했어요. 사람이 색을 어떻게 인지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수학적으로 정의한 최초의 색의 기준이었습니다. 현재까지도 국제적으로 사용하는 색 ... ...
- [Future] 조작이 불가능한 선거, 블록체인으로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어떻게 신뢰성을 확보했을까블록체인을 적용한 선거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이하 선관위)가 없다. ‘선관위가 없으면 투표는 어떻게 하고, 개표는 누가 하지?’ 벌써 머릿속에 수많은 질문들이 오고 갈 것이다. 블록체인은 중개기관 없이 참여자가 서로의 신원이나 거래 내역과 같은 중요한 정보들을 ... ...
- 나 혼자 산다 쌍곡 평면 편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밖에서는 각 변을 삼각형 안으로 눌러놓은 것처럼 보인대. 이 삼각형은 내각의 합이 180° 이하야.가우스가 연구하고 헝가리 수학자 보여이야노시가 발표한 쌍곡기하학은 분명 획기적이었어. 그렇다고 해서 쌍곡 평면에 대해 모두 알 수 있었던 건 아니야. 지금도 ‘쌍곡 평면이 어떻게 생겼는지’ ... ...
- [에디터 노트] 에디터 토크 6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가상현실입니다. 1 먼저 특집을 빼놓을 수 없겠죠. 최지원 기자 나왔습니다.편집장(이하 편) : 과학수사는 과학잡지에서 수도 없이 우려먹은 사골템인데, ‘이것이 다르다’라고 말할 만한 게 있는지?최지원 기자(이하 최) : 당연하지. 예를 들어볼까. 집쟝님이 범죄를 저질렀다고 해보자. ... ...
- [Future] ‘작은 것’들의 반란 나노카 레이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열렸다. 금이나 은으로 만들어진 영하 268℃의 경기장에서 5nm(나노미터, 10억 분의 1m) 이하 크기의 나노카들이 무려(?) 100nm(0.0001mm)의 트랙을 최대 38시간 동안 달렸다. 나노카들은 지난 2016년 노벨화학상을 받은 분자기계와 같은 원리로 만들어졌다. 분자기계는 빛이나 열, 전자와 같은 외부 자극에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