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자같은소년
sissy
d라이브러리
"
여자같은남자
"(으)로 총 640건 검색되었습니다.
문화 전승 발전 두뇌는 '좌뇌형'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사물을 좌뇌형은 연역적으로, 우뇌형은 귀납적으로 처리한다. 조상들의 뛰어난 업적은 우뇌의 직관력 창의력이 우수한 때문이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는 이를 잘 계승 발전시키지 못했다. 문화를 간직하고 다듬어 다양화하는 좌뇌형 인구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좌뇌형이 많은 사회는 교육을 통해 만 ... ...
컴퓨터 시대의 반항아 '사이버 펑크'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SF에서 태동한 사이버펑크는 빠른 속도로 영화 음악 연극 등 문화 전반에 스며들고 있다. 이들이 묘사하는 사이버스페이스에서는 잡다한 일상사를 초월해서 순간적인 무아경에 빠질 수 있는 전자환각제가 등장하기도 한다.정치인 중에서 미국의 앨 고어 부통령만큼 컴퓨터 잡지에 자주 거론된 사람 ... ...
(1) 세포 상호 의사소통, 생체기능 조절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넓은 의미에서 호르몬은 세포와 세포사이, 기관과 기관 사이에 정보를 전달해줌으로써 생명활동을 유지시키는 화학적 메신저이다. 그래서 호르몬을 이해하면 생명현상 자체를 이해할 수 있다.생명체는 생명의 기본단위인 세포들로 구성된 극히 복잡한 모습을 하고 있다.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모 ... ...
미남·미녀기준 서구형으로 대변신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한국인 평균얼굴은 호남지방 출신들의 평균수치가 가깝다. 그러나 한국인답다고 보는 얼굴들의 평균은 영남지방 출신들의 평균수치에 가깝다. 이는 한국인 얼굴이 다른 주변민족들에 비해 턱이 크고 눈이 작다는 고정관념을 증폭 해석한 때문이다. 이같은 고정관념은 한국인 자신의 얼굴을 제대로 ... ...
화학- 물위에 물 쌓기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2월에는 우리 고유의 명절 설이 들어 있습니다. 어린 시절에는 색동저고리를 입고 설을 즐겁게 보냈겠죠. 올해 설에는 그때를 회상하면서 액체로 색동옷을 만들어 봅시다.물만을 가지고 탑을 쌓을 수는 없을까요? 소위 '물 위에 물을 쌓는다'는 마술과도 같은 일에 여러분이 직접 도전해 보기를 바랍 ... ...
생활속의 '순간벼락' 정전기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건조한 날씨에 자주 발생하는 정전기는 불쾌감 뿐만 아니라 피부병을 유발할 수도 있다. 정전기가 발생하는 이유와 함께 간단히 응용할 수 있는 예방책을 살펴보자.자동차 문을 열거나 옷을 벗으려할 때 '빠지직' 소리를 내며 몸에 전달되는 불쾌감, 혹은 스타킹과 스커트가 달라붙을 때의 당황스러 ... ...
생물- 확률 3억분의 1이 펼치는 우연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생명의 탄생에는 수없는 운명의 장난이 작용한다.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이 이루어지기까지 생명체 안에서는 어떤 드라마가 펼쳐질까.아기를 낳기 위해서 남자어른의 몸에서 만들어지는 것이 정자고, 여자어른의 몸에서 만들어지는 것이 난자다.건강한 남자는 한번에 약 3억 마리의 정자를 사정 ... ...
장기기억은 시냅스에 깊이 새겨져 오랫동안 존재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인간 정신기능의 기초가 되는 기억. 기억은 어떻게 생성되고 보존되나. 기억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알츠하이머병은 무엇일까.기억은 인간의 지적발달과 인류문명의 창조를 가능케 해주는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기능이다. 고도의 사고 기능과 학습기능은 기억을 바탕으로 대뇌에서 이루어진다.인 ... ...
인체속 소금의 기능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예로부터 생존의 필수품으로 인식돼온 소금. 매일 섭취하면서도 무심결에 지나쳐온 이 백색의 광물질이 몸에서 맡은 역할을 살펴보니… 인간을 비롯한 동물들에게 절대적으로 필요한 영양소인 소금(NaCl)은 지구상에서 가장 흔한 식품의 하나다. 흔히 소금은 바닷물을 증발시켜 만드는 것으로만 알 ... ...
잠과 건강, 신비의 관계 벗겨진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잠을 자지 않으면 건강을 해친다는 생각은 경험적 상식으로 통용된다. 과연 잠에는 어떤 과학적 작용이 있어서 그런 걸까? 뉴욕타임스가 보도하는 잠에 대한 최신정보.한 대학생이 벼락치기로 시험공부를 하기 위해 두 밤을 꼬박 새고 셋째 날 드디어 감기로 앓아눕게 된다. 어떤 고용인이 밤을 꼬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